[금융위, 가상자산 보이스피싱 대책 발표..."암호화폐 계정 즉시 지급 정지"]
금융위원회가 28일 '금융분야 보이스피싱 대책'을 발표하고, 암호화폐 등 가상자산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할 경우, 가상자산거래소에도 금융회사와 동일한 피해구제 절차를 적용해 피해자를 보호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보이스피싱 피해금이 가상자산으로 바뀐 경우 거래소는 즉시 범인의 계정을 정지하고 채권 소멸이나 피해금 환급 등의 구제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이는 법을 바꿔야 하는 사항이다. 오는 4월 중에 의원입법을 통해 보이스피싱법 개정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더리움, 세폴리아 테스트넷서 샤펠라 업그레이드 적용 완료]
이더리움(ETH) 클라이언트 네더마인드(Nethermind) 팀 리더 마렉 모라진스키(Marek Moraczyński)가 방금 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세폴리아 테스트넷에 샤펠라(Shapella) 업그레이드를 성공적으로 활성화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더리움 재단은 한국시간 기준 2월 28일 13시 04분 세폴리아 테스트넷 56,832 번째 에폭에서 샤펠라 업그레이드를 활성화한다고 예고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코인데스크는 "세폴리아 테스트넷은 상하이 업그레이드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행될 3개의 테스트넷 중 두번째 테스트넷이다. 다음 테스트넷 업그레이드는 골리(Goerli) 테스트넷으로 3월 21일경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메인넷 상의 상하이 하드포크가 4월로 연기될 수 있다"고 전했다.
[위믹스, 300만 위믹스클래식 소각 예고...GDAC 거래소 정기 스왑 및 소각 작업]
위믹스(WEMIX)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GDAC 거래소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기 스왑 및 소각 작업에 따라 회수 예정인 300만 위믹스 클래식(메인넷 출시 전 클레이튼 기반 WEMIX 토큰)을 소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위믹스 측은 "GDAC 스왑으로 회수되는 300만 위믹스클래식의 소각으로, 일시적으로 증가했던 유통량은 정상화된다. 회수된 위믹스클래식은 클레이튼 체인에서 소각된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WEMIX는 현재 2.77% 내린 2.2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 초기 개발자 "누군가 내 이름 도용해 NFT 발행 및 판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코인 초기 개발자 중 한 명인 Luke Dashjr가 "누군가가 내 동의 없이 내 이름과 내가 작성한 코드 이미지가 포함된 NFT를 발행, 경매 사이트에서 0.41 BTC에 판매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어 그는 "나는 이러한 NFT 발행, 판매를 동의한 바 없으며 관여하지도 않았다. 경매 관계자가 내게 연락해 수익금의 90%를 주겠다고 제안했지만 거절했다"고 덧붙였다.
[코오롱그룹 "이웅열 명예회장 '가상자산거래소 건립설' 아직 섣부른 얘기"]
뉴시스에 따르면 코오롱그룹이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의 가상자산거래소 설립 보도와 관련해 '섣부른 예측'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코오롱그룹 관계자는 "(가상자산거래소 설립은) 바이낸스가 하는 것이지 이웅렬 명예회장이 하는 게 절대 아니다. 설령 개설을 한다고 해도 일부 투자를 하는 것이면 몰라도 마치 명예회장이 직접 추진하는 것처럼 보는 것은 맞지 않다. 물론 명예회장께서 블록체인이나 가상자산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일부에서 보도한 상황은 아직 너무 섣부르고 앞서 간 이야기"라고 말했다. 앞서 이웅열 명예회장은 퇴임 당시 임직원에게 보낸 서신에서 블록체인이 퇴임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퇴임 이후 기자 간담회에서도 미국 실리콘밸리에 가서 블록체인을 공부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이날 한 미디어는 이 명예회장이 최근 바이낸스와 손잡고 국내에 신규 가상자산거래소를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솔라나 창업자 "온체인 투표로 인한 네트워크 중단, 사실 아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아나톨리 야코벤코 솔라나(SOL) 공동 창업자는 최근 발생한 솔라나 네트워크 중단이 대량의 검증자 메시지와 온체인 투표 시스템 때문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순수한 무지에서 비롯된 주장"이라고 트위터를 통해 반박했다. 그는 "투표 시스템은 보안 수준을 높이고 처리량도 개선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그는 솔라나 트랜잭션의 90~95%가 검증자 메시지 및 온체인 투표로 구성돼 있다는 주장에 대해선 반박하지 않았다. 앞서 트위터 유저 DBCryptoX는 "검증자가 오프체인 수단을 통해 합의에 도달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네트워크 중단이 20시간 동안 지속됐다"고 주장했었다.
[비탈릭 "모바일 지갑, 단순하고 견고한 UI가 화려함보다 낫다"]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가 28일(현지시간)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모바일 지갑은 단순하고 견고한 UI(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려하고 '세련된' UI보다 낫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2021년 아르헨티나의 한 커피숍에서 난 계산을 하려했다. 당시 커피숍에서는 나를 알아보고 이더리움(ETH) 결제를 권했다. 당시 가장 일반적인 암호화폐 결제는 거래소 계정을 통한 자산 이체였다. 하지만 커피값으로 나온 0.003 ETH보다 거래소의 최소 이체 금액인 0.01 ETH가 높아 거래가 승인되지 않았다. 이에 나는 0.007 ETH를 팁으로 지불하고 암호화폐 결제를 마쳤다. 2022년에도 비슷한 상황에서 트랜잭션이 승인되지 않아 가스비만 날린 경험이 있다. 당시 사용했던 모바일 지갑에는 가스 한도를 설정할 수 없었고, 나는 결제를 포기했다. 결국 꼭 필요한 기능이 담긴 UI가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덧붙였다.
[2월 이더리움 기반 NFT 월간 거래량, 8개월 만에 10억 달러 돌파]
더블록 데이터에 따르면 27일 기준(현지시간) 이달 이더리움(ETH) 기반 NFT 거래량이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더리움 기반 NFT 거래량이 10억 달러를 넘어선 건 지난해 5월 이후 약 8개월 만이다. 다만 더블록 데이터 연구원 레베카 스티븐스는 이는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BLUR)의 거버넌스 토큰 BLUR 출시 영향으로, 이를 제외한 거래량은 지난해 5월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해석했다.
[NFT 마켓 슈퍼레어 공동창립자 "로열티 정책 폐지 계획 없다"]
디크립트에 따르면 NFT 마켓플레이스 슈퍼레어(SuperRare) 공동창립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조나단 퍼킨스(Jonathan Perkins)가 "다른 NFT 마켓과 달리 우리는 현재 시행 중인 로열티 정책을 폐지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크리에이터에게 수익을 제공하는 로열티 정책을 이미 5년 전에 구상하고 시행했다. 우리의 로열티 정책이 업계 표준이 될 것이라는 일종의 사명감, 책임감이 있었다. 물론 당시에는 크리에이터에게 로열티를 지불하는 문제를 두고 논란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그들을 도울 수 있다면 로열티 정책은 시도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최근 오픈씨와 블러를 필두로 한 로열티 정책 문제는 신규 시장이 흔히 겪는 혼란 중 하나일뿐"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오픈씨와 블러 등 NFT 마켓플레이스들은 로열티 정책을 경쟁적으로 조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오스네트워크재단 대표 "EOS EVM, 4/14 메인넷 베타 버전 출시"]
이브 라 로즈(Yves La Rose) 이오스네트워크재단(ENF) 대표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오스(EOS) EVM은 오는 3월 27일(현지시간) 마지막 테스트넷을 거친 뒤 4월 14일(현지시간) 메인넷 베타 버전이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ENF는 최근 개최된 월례 회의에서 EOS EVM을 오는 3월 말 메인넷에서 출시할 전망"이라고 밝힌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EOS는 현재 2.54% 오른 1.1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아발란체, 텐센트 클라우드서 풀노드 출시]
아발란체(AVAX) 개발사 아바랩스가 28일 공식 채널을 통해 텐센트 클라우드에서 아발란체 풀노드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아바랩스 측은 "해당 노드는 아발란체 퍼블릭 체인과 동기화되며, 아태(아시아태평양) 지역 개발자 및 검증자들에게 보다 빠르고 효율이 높은 노드 배치를 지원한다. 양사는 향후 아발란체 산하 체인 관련 솔루션, 전통 기업에 웹3 기술 응용 사례 구축 등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애널리스트 "美 당국 규제 이후 60억 달러 규모 BUSD 소각"]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난센(Nansen) 애널리스트 앤드류 서먼(Andrew Thurman)이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뉴욕금융감독국(NYDFS)의 제재 이후 60억 달러 상당의 BUSD가 소각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단순 계산으로 상위 20개의 암호화폐가 사라지고 있는 것과 같은 수준이다. 아울러 110억 달러 상당의 BUSD가 현재 유통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97억 달러 상당은 바이낸스에 예치돼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SEC는 팍소스에 'BUSD는 증권에 해당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해명 요구서(웰스노티스)'를 전달했으며, 팍소스는 뉴욕금융감독국(NYDFS) 명령으로 BUSD 발행 중단을 결정한 상황이다.
[분석 "셀시우스→팔콘엑스 이체 $2.5억 상당 WBTC 소각 예정"]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펙실드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파산한 암호화폐 대출 업체 셀시우스(CEL)가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주소에서 팔콘엑스 거래소 주소로 이체된 11,500 WBTC(약 2.7억 상당)가 'Wrapped Bitcoin: Controller'라는 주소로 이체돼 소각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WBTC 소각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해당 물량의 BTC 환전을 의미한다.
[OKX 창업자 "CELT 등 '쓰레기코인' 상장폐지 검토...상장 표준 재정비"]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X의 창업자 쉬밍싱이 방금 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셀레스티얼(CELT)과 같은 쓰레기코인(Shitcoin)들이 상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장 표준을 재정비하고 CELT 상장폐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OKX는 중립적인 거래소로, OKB, OKT를 제외한 모든 토큰과 관계가 없다"고 강조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CELT는 현재 52.66% 내린 0.00188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어댑터토큰 운영사 시니스트, 인공지능 기업 아임클라우드 인수]
게임톡에 따르면, 어댑터토큰(ADP) 운영사 시니스트가 인공지능 기업 아임클라우드를 인수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시니스트는 지난 1월 16일 아임클라우드 지분 인수계약을 체결하며 인수합병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를 통해 아임클라우드의 빅데이터, AI챗봇기술, 메타버스 등을 어댑터 생태계에 도입할 계획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ADP는 현재 0.74% 내린 0.00854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 재단, '계정 추상화' 개발자 지원 프로그램 출범...총 $30만 지원]
이더리움(ETH) 재단이 공식 사이트를 통해 이더리움의 계정 추상화(Account Abstraction) 인프라 개선에 기여하는 개발자들에게 보조금을 제공하기 위한 그랜트 프로그램(Grant Programme)을 출범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2월 27일(현지시간)부터 3월 31일(현지시간)까지 참여 신청을 접수 받으며, 최대 30만 달러를 지원할 계획이다. 제안이 선정된 개발자에게는 5만 달러가 지원된다. 이와 관련 재단 측은 "계정 추상화는 이더리움의 사용자 경험(UX) 개선, 지갑 혁신을 견인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누구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지만, 보조금 지원 대상은 비상업적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제한한다"고 설명했다.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다무스, 게시물에 비트코인 후원 기능 추가]
잭 도시 트위터 창업자가 주도하는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프로토콜 노스트(Nostr, Notes and Other Stuff Transmitted by Relays)의 iOS 버전 클라이언트인 다무스(Damus)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최근 업데이트를 통해 게시물에 비트코인을 후원할 수 있는 '잽 기능'(zaps feature)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다무스 측은 "업데이트 완료 후 글로벌 피드에서는 스팸 게시물이 자동으로 필터링되며 알람 기능이 개선됐다"고 덧붙였다.
[디파이라마, 옵티미즘 최적화 유니스왑V3 라우터 출시]
디파이라마 창업자(@0xngmi)가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ETH) 레이어2 네트워크 옵티미즘(OP)에 최적화된 유니스왑V3 라우터 '라마집(LlamaZip)'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라우터를 통해 가스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게 디파이라마 측의 설명이다.
[옵티미즘 기반 NFT 마켓 퀵스, 운영 중단 선언 철회]
이더리움(ETH) 레이어2 네트워크 옵티미즘(OP) 기반 NFT 마켓플레이스 퀵스(Quix)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운영 중단 선언을 철회했다. 이와 관련 퀵스는 "퀵스 마켓은 종료되지 않는다. 아직 많은 내용을 공개할 수는 없지만, 웹3 게임 부문의 유명 플레이어가 퀵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퀵스는 지난해 11월 경영난으로 인해 2023년 2월 28일부로 운영을 중단할 예정이라고 공지한 바 있다.
alice@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