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랩스 CLO "SEC 약식재판 패소 시 즉시 항소"]
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리플랩스 최고법률책임자(CLO) 스튜어트 알데로티는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와의 약식재판에서 만약 리플이 패소할 경우 즉시 항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트킵, 옵티미즘 기반 크로스체인 스왑 지원]
웹3 멀티체인 지갑 비트킵(BitKeep)이 공식 채널을 통해 산하 암호화폐 스왑 플랫폼 비트킵 스왑에서 이더리움(ETH) 레이어2 네트워크 옵티미즘(OP) 기반 자산들의 크로스체인 스왑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비트킵 스왑은 16개 블록체인 간의 크로스체인 자산 스왑을 지원하고 있다. 또 이날 비트킵 스왑은 '가스 수수료 대출'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크로스체인 자산 스왑 시 가스 결제를 위한 메인체인 토큰이 없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게 비트킵 측의 설명이다.
[입출금 가능 거래소에 코인빗 추가]
업비트가 100만원 이상 입출금 가능 가상자산업자(VASP) 트래블룰 솔루션 연동 거래소에 코인빗을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페이먼트 분야 업계 리더 97%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잠재력 있다"]
리플(XRP)이 2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45개국 300명 이상의 페이먼트(결제) 업계 리더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7%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는 향후 3년 안에 결제 프로세스를 가속화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를 통한 결제 인프라는 기존 인프라보다 빠르고 효율적이며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해당 설문에서 응답자 중 90%는 "특히 국경간 결제에서 암호화폐를 활용한 효율적인 솔루션 구축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블룸버그 "실버게이트 이용 암호화폐 기업, 스위스 은행으로 눈 돌려"]
기존에 실버게이트 은행과 거래해오던 암호화폐 헤지펀드들이 스위스 은행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디지털애셋캐피탈매니지먼트(Digital Asset Capital Management) 공동 설립자 리차드 갤빈은 "암호화폐 거래를 도와주는 은행이 몇 곳 있지만 실버게이트와는 달리 암호화폐에 중점을 두는 곳은 아니다. 은행 파트너를 찾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현재 스위스 은행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은행 이름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스위스에서는 시그넘뱅크, 세바뱅크가 대표적인 디지털 자산 관련 은행으로 꼽힌다. 실버게이트는 FTX 파산 여파로 예금 부족에 시달려왔고, 이번 주에는 사업 지속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코인베이스, 크라켄, 렛저X, 서클, 팍소스, 갤럭시디지털 등 다수의 암호화폐 기업들이 실버게이트와의 협업을 중단한 상태다.
[매트릭스포트 “BTC $22,800 반납... 익스포저 50% 줄여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업체 매트릭스포트는 최신 리서치 보고서에서 암호화폐 시장이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낙관적인 분위기를 형성했지만 미국 경제 상황을 볼 때 아직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미 증시가 다시 매도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국채 수익률도 상승세”라며 “비트코인이 22,80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 익스포저를 50% 줄이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암호화폐 일일 거래량은 800억달러에서 600억달러로 감소했으며, 비트코인과 나스닥 간 60일 상관계수는 2021년 1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줄어들었다”면서도 “거시 데이터 부진이 암호화폐보다 기술주 주식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암호화폐 롱포지션을 유지하는 데엔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미 SEC 위원장 "암호화폐-증권법 양립 가능"]
게리 겐슬러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 위원장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암호화폐와 증권법은 양립 가능하다. 증권법이 제정된 것은 투자자들을 사기와 조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으고 투자자에게 수익을 제공하는 업체는 SEC에 등록하고 공시해야 한다. SEC의 목표는 암호화폐 기관들이 규제를 준수하는 것이다. 전통 금융권에서는 뉴욕증권거래소가 고객 자금을 가지고 직접 시장을 조성하거나 헤지펀드를 운영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우호인사 스퀘어에닉스 대표 사임]
블록체인과 NFT에 우호적이던 스퀘어에닉스 대표 마츠다 요스케가 사임한다고 셰이크뉴스가 전했다. 사임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그가 추진하던 NFT 사업과 관련 있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앞서 그는 지난해 송년사에서 "블록체인 기술에 공격적인 투자와 더불어 사업 개발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Aave 커뮤니티, 폴리곤 zkEVM 메인넷에 Aave V3 MVP 배포 제안]
Aave 커뮤니티에 폴리곤 zkEVM 메인넷 상 Aave V3 MVP(최소 실행 가능) 버전을 배포하자는 제안이 상정됐다. 지난해 10월 Aave V3은 zkEVM 테스트넷에 배포됐었다.
[테더 "몇 분 뒤 바이낸스와 4억 USDT 체인 스왑"]
테더가 "앞으로 몇 분 안에 바이낸스와 4억 USDT 체인 스왑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트론->이더리움 ERC20 체인 스왑이다. USDT 공급량은 변하지 않는다.
[분석 "암호화폐 추가 하락 가능성...단기 홀더 매도 증가"]
크립토퀀트 크립토온체인은 "기술, 온체인 분석을 토대로 암호화폐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다. 최근의 가격 상승은 단기 홀더 매집에 따른 결과다. 지금까지 장기 홀더는 매집에 동참하지 않았다. 현재 온체인 차트에서 BTC 단기 홀더의 매도량이 증가하고 있다. 1-3개월 단기 홀더의 거래소 입금량은 2022년 6월 이후 최대치다. 반면 거래소 스테이블코인 유출량은 증가 추세다. 상승 동력이 부족해 추가 하락이 이어질 수 있다. ETH의 경우 기술 차트에서 저항선 아래 하락 다이버전스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스페인 국세청, 체납자 대상 암호화폐 압수 지침 발표]
스페인 국세청이 과세 과정 중 암호화폐 압수 및 범죄활동 억제를 위한 지침을 발표했다고 비트코인닷컴이 전했다. 해당 지침은 “당국이 올해 압수 대상 암호화폐 자산을 찾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고 명시돼 있다. 이는 당국이 체납자 대상 암호화폐를 압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미디어는 분석했다. 앞서 스페인은 암호화폐 보유량과 유로화 기준 암호화폐 가치를 세무 당국에 보고하는 내용이 포함된 새로운 암호화폐 과세 모델을 검토한 바 있으며 올해까지 암호화폐 세금 신고를 위한 완전한 프레임 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지그재그 ZZ 토큰 에어드랍 완료...공급량의 34%]
ZK롤업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DEX) 오더북 플랫폼 지그재그(ZZ)가 오늘 오후 10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ZZ 토큰 공급량의 34%를 에어드랍 완료했다고 밝혔다. ZZ 홀더는 곧 출시될 DEX의 현물/마진 거래 및 무기한 선물계약을 포함해 ZK롤업에서 발생하는 수수료 수입을 배분 받을 수 있다.
[유니스왑재단, 브릿지 평가위 출범…8개 브릿지 실사 진행]
유니스왑재단이 유니스왑 브릿지 평가위원회를 출범하고 평가 프로세스를 시작한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평가위는 앞으로 수 주 간 8개 브릿지 등에 대해 실사를 진행한다. 8개는 액셀라, 셀러, 디브릿지, 하이퍼레인, 레이저제로, 멀티체인, 라우터 프로토콜, 웜홀, 노시스 등이다. 그후 크로스체인 배포를 위한 브릿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아발란체 기반 BTC 랩핑 토큰 BTC.b, 하루 2000개 민팅]
이더리움 기반 WBTC 유통량은 줄고 있는 반면 아발란체 기반 BTC.b 유통량은 증가하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목요일(현지시간) 2000 BTC($4400만)가 아발란체로 포팅됐다. 이에 따라 BTC.b 유통량은 8572개로 늘었다. 목요일 민팅된 BTC.b 절반이 벤치 파이낸스(BENQI Finance)로 옮겨졌다. 벤치는 아발란체 기반 디파이 렌딩 프로토콜이다.
[블룸버그 "USDT·USDC 거래량 증가...실버게이트 악재 영향"]
크립토 친화적 은행 실버게이트가 미국 규제 당국의 조사에 직면하면서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코인게코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USDT 거래량은 432억달러로 전날의 399억달러보다 크게 늘었다. USDC 거래량도 34억달러에서 40억달러로 증가했다. 두 코인의 시가총액도 각각 2200만달러, 5.89억달러 증가했다. 매트릭스포트 리서치 및 전략책임자 마르쿠스 틸렌(Markus Thielen)은 “이는 암호화폐 업체들이 자금 이동에 크립토 레일(crypto rails)을 활용하고 있다는 신호”라며 “트레이더들이 실버게이트 결제 네트워크(SEN) 이용을 꺼리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통 금융에서 디지털 자산으로 발을 돌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앵커, 체인스캐너 브릿지 모바일 기능 출시]
웹3 인프라 제공업체 앵커(ANKR)가 체인스캐너 브릿지(Chainscanner Bridge) 모바일 기능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제 휴대폰에서 모든 EVM 호환 네트워크 자산을 체인스캐너로 브릿징할 수 있다.
[웨이브 CEO “3/10 POWER 에어드랍 스냅샷 진행”]
사샤 이바노프 웨이브(WAVES)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를 통해 “POWER 에어드랍 스냅샷은 10일(현지시간)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그는 1~2월 중 웨이브체인에서만 POWER 에어드랍을 진행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분석가 "지난주 채굴자 3835 BTC 매도"]
유투데이에 따르면 암호화폐 분석가이자 트레이더인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는 지난주 채굴자들이 3835 BTC($8820만)를 매도했음을 알려주는 차트를 공유했다. 그는 채굴자들이 BTC 급락을 예견한 것은 아닐까 추측했다.
[바이낸스, 전세계 법 집행기관과 사기 방지 캠페인 추진 계획]
바이낸스가 전세계 법 집행기관과 협력해 사기 방지 캠페인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앞서 바이낸스는 홍콩 경찰과 사기 방지 캠페인 파일럿을 진행했다. 바이낸스는 사용자가 출금할 때 사기 범죄 의심 시 홍콩 당국에 연락하라는 경고문과 함께 신고 번호를 안내했다. 4주 간 이용자의 20.4%가 출금을 재고하거나 거래에 사기 위험이 있는지 검토했다고 바이낸스는 설명했다. 앞으로 다른 지역에서도 이러한 캠페인을 진행할 계획이다.
[미 법무부 제재 비츠라토 거래소, 암호화폐 출금 재개]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의 제재 대상인 러시아 연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츠라토(Bitzlato)가 암호화폐 출금 서비스를 재개했다. 한 달 동안 출금이 중단됐었다. 1월 말 비츠라토 임원 3명을 포함해 도합 4명의 직원이 유럽에서 체포됐었고, 공동 설립자는 잠깐 구금됐다가 2월에 러시아 경찰에 의해 석방됐다.
[님부스, 데브옵스 엔지니어 채용 중]
이더리움 2.0 클라이언트 님부스(Nimbus)가 데브옵스(DevOps,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 엔지니어를 채용한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채용되는 엔지니어는 인프라 배포 및 확장 자동화, 모니터링, 기록 및 백업 시스템 유지 관리 등 업무를 맡게 된다.
[분석 "BTC 채굴자 항복 양상, 과거 사이클과 달라"]
코인쉐어스 애널리스트 Christopher Bendiksen은 비트코인 채굴자 카피출레이션(항복)이 이번 사이클에서는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디크립트에 밝혔다. 관련 자본 시장이 성숙해졌기 때문이라는 진단이다. 그는 "과거 자본 시장 효율성이 훨씬 떨어졌을 당시 채굴자들은 시장 상황이 안 좋을 때 보유한 BTC를 팔고 채굴기 가동을 중단했지만, 이번에는 채굴자들이 채굴기 가동을 중단하지 않았다. 당장 채굴 난이도만 봐도 알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2024년 4월경으로 예정된 비트코인 반감기와 그 뒤 따를 것으로 예상되는 강세장에 시장이 주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I 알고리즘, ETH 3월말 가격 $1529 예측]
핀볼드가 암호화폐 추적 플랫픔 프라이스프리딕션(PricePredictions) 머신 러닝 알고리즘 보고서를 인용, 2023년 3월 말 ETH 가격을 1529 달러로 예측했다. 해당 툴은 이동평균, 이동평균수렴발산(MACD), 볼린저 밴드(BB) 등 기술적 지표를 활용해 가격을 전망한다.
[토네이도캐시 포크 프라이버시 풀, 범죄자 비해당 증명 기능 포함]
디크립트에 따르면 오늘 공개된 토네이도캐시의 새로운 데모 프라이버시 풀(Privacy Pools)에는 북한 해커 등 범죄자가 아님을 증명하는 기능이 포함돼 있다. 작년 8월 미국 재무부는 토네이도캐시가 범죄자들(주로 북한 해커단체 라자루스 그룹)의 자금 세탁 도구로 쓰이고 있다며 제재한 바 있다. 새 앱의 개발자인 아민 솔레이마니는 규제 당국이 프라이버시 풀을 제재하는 데 덜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프라이버시 풀은 솔레이마니와 다른 개발자가 만든 토네이도캐시의 포크 버전이다. 사용자가 자금 인출 옵션을 클릭하면 범죄용 블록체인 주소를 사용하지 않았음을 공개적으로 보여주는 영지식증명을 생성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신원을 밝히지 않아도 된다.
[테더, 루가노 내 플랜₿ 비즈니스 허브 출범]
테더가 루가노 내 플랜₿ 비즈니스 허브를 출범한다고 공식 사이트를 통해 밝혔다. 해당 허브는 300명 이상 블록체인 전문가와 인재를 유치하고 이들간 네트워킹을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1년 전 테더는 루가노에 유럽 블록체인 기술 혁신 및 보급 센터를 설립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 SEC 등록 투자 자문사 ORDAM 인수]
코인베이스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등록된 투자 자문사 겸 디지털자산 운용사 원리버 디지털애셋 매니지먼트(ORDAM)를 인수했다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ORDAM은 코인베이스 전액 출자 자회사가 되며 코인베이스 애셋 매니지먼트(CBAM)로 사명 변경된다. CBAM은 기관 대상 투자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미 상원, 다음 주 암호화폐 채굴 영향 논의]
악시오스(Axios)에 따르면 미국 상원 패널이 다음 주 암호화폐 채굴에 따른 영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바이낸스 CEO, 보이저디지털 자산 매입 포기 가능성 언급]
블룸버그는 자오창펑(CZ) 바이낸스 CEO의 트윗을 인용, 바이낸스US가 보이저디지털 자산 인수를 포기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규제 당국은 바이낸스US가 보이저디지털의 $10억 어치 자산을 인수하는 딜을 반대해왔다. CZ는 오늘 보이저 딜과 관련한 트윗을 인용하며 "어쩌면 손을 떼야 할까?"라고 트윗했다. 바이낸스US 대변인은 보이저 거래는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밝힌 상태다. 한편 현재 진행 중인 트위터 스페이스에서 CZ는 자신의 시간 80~90%를 규제 당국과 협력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joshua@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