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E 페드워치 "3월 기준금리 25bp 인상 가능성 98.9%"]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오는 3월 22(현지시간)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25bp) 인상할 확률을 98.9%로 점치고 있다. 50bp 인상 가능성은 1.1%로 봤다. 앞서 연준은 최근 대두된 미국 은행들의 유동성 위기 해결을 위해 250억 달러 규모의 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출범한다고 밝힌 바 있다.
[데이터 "비트킵 NFT 마켓, BNB체인 기반 NFT 일거래량 $4만 돌파"]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디앱) 마켓 데이터 플랫폼 댑레이더(RADAR)에 따르면, 웹3 멀티체인 지갑 비트킵(BitKeep) 산하 NFT 마켓의 BNB체인 기반 NFT 일일 거래량이 약 4.1만 달러를 기록하며 주요 플랫폼 일거래량 순위 1위에 올랐다. 폴리곤(MATIC) 기반 NFT 주간 거래량은 약 15만 달러를 나타냈다.
[스카이뉴스 "HSBC, SVB 영국 자회사 인수"]
영국 스카이뉴스는 SVB(실리콘밸리뱅크) 영국 자회사가 HSBC에 매각됐다고 보도했다.
[알케미페이, ZD그룹과 파트너십...홍콩 금융 라이선스 공유]
법정화폐-암호화폐 결제 솔루션 알케미페이(ACH)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글로벌 투자 펀드 Mouette Securities 모기업 ZD그룹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ZD그룹은 홍콩 규제 당국으로부터 취득한 금융 라이선스 4개를 알케미페이와 공유한다. 이를 통해 홍콩에서 더 안정적인 지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알케미페이의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ACH는 31.77% 오른 0.0328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닛산, 미국서 웹3 상표 4개 출원]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일본 자동차 브랜드 닛산은 미국에서 4개의 웹3 관련 상표를 출원했다. 인피니티, 니스모, 닛산 브랜드에 적용되며, 출원 항목은 가상 의류+자동차, 가상 굿즈+NFT 스토어, NFT 마켓플레이스+트레이딩+민팅, 메타버스 광고 서비스다.
[벨기에 디지털부 장관 "EU 다음 스텝은 국가 주도 블록체인 구축 예상"]
마티유 미셸(Mathieu Michel) 벨기에 디지털부 장관이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규제안 마련 뒤 유럽의 다음 스텝은 '유러피움(Europeum·가칭)'과 같은 블록체인 구축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러피움 블록체인은 EU의 높은 규제 요건을 준수하면서 재산 소유권, 운전 면허증 또는 전문자격증을 증빙하고 기록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지난해부터 발생한 사기 사건들을 고려했을 때, 블록체인은 공공서비스에도 적극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로, 메타마스크 통한 블록체인 투표 지원]
마로(MARO)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메타마스크(MetaMask) 월렛을 통한 블록체인 투표 기능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마로 측은 "웹브라우저 확장 앱을 통해 메타마스크를 마로 블록체인과 연동, 대표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투표에 따른 수익은 합의에 의해 분배되며, 트랜잭션 ID 형태로 기록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MARO는 현재 10.79% 오른 0.0267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스파크스터 추정 주소, USDC 디페깅 이틀 만에 165만 달러 수익]
룩온체인에 따르면 개발 플랫폼 스파크스터(Sparkster)가 소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4개 주소가 USDC 디페깅이 심화되기 이틀 전 1,558만 USDC로 10,921 ETH 매수한 뒤 오늘 이를 되팔았다. 당시 ETH 평균 매수가는 1,427달러였다. 이후 해당 월렛은 약 4시간 전 10,924 ETH를 1,724만 USDC에 매도했다. 평균 매도가는 1,578달러였으며 해당 거래로 165만 달러의 차익을 얻은 것으로 추산된다.
[셀시우스 채권자 위원회 "셀시우스, 시그니처뱅크 익스포저 있다"]
챕터11 파산 절차를 진행 중인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셀시우스(CEL)의 무담보 채권자 위원회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셀시우스도 일부 자금을 시그니처뱅크에 예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위원회는 셀시우스의 시그니처뱅크 예치 자산 관련 상황을 검토하고 있으며, 향후 추가 업데이트를 통해 채권자들에게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재무부, 연방준비은행, 예금보험공사(FDIC) 등 규제 기관은 현지 은행들의 유동성 악화 리스크 전염을 막기 위해 뉴욕 시그니처 뱅크를 폐쇄 조치한다고 밝힌 바 있다.
[분석 "BTC 상승세 유지 가능성"]
크립토퀀트 저자 Crazzyblockk는 "BTC 상승세 유지 가능성이 있다. 지난 사이클 하락장의 끝에서 비트코인의 현재 가치가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 나타내는 MVRV 지표가 1.0 포인트 위로 상승한 뒤, 비트코인의 MVRV는 EMA 100일선을 크게 이탈하지 않고 상승이 지속됐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MVRV 1.0포인트를 성공적으로 테스트 하고 EMA 100일선 위로 돌아가면 비트코인은 다시 상승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이 글은 오늘 오전 상승장 이전 업로드된 분석으로, 현재 MVRV 지표는 1.0과 EMA 100일선 위로 올라와 있는 상태다.
[바이낸스 CEO "9.8억 BUSD 15초만에 이체, 수수료는 $1.29 불과"]
오늘 14시 31분 바이낸스 복구 펀드에서 바이낸스로 약 9.8억 BUSD가 이체된 가운데,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해당 트랜잭션을 공유하며 "이체에 15초가 걸렸고 수수료는 $1.29였다. 월요일(미국시간) 은행 업무 시작 전 은행을 통해 $9.8억을 이체한다고 상상해 보라"고 트윗했다. 앞서 CZ는 최근 스테이블코인과 은행 업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변화를 감안해 바이낸스의 10억 달러 규모 산업 복구 펀드 자금 중 BUSD 부분을 BTC, BNB, ETH 등 암호화폐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홍콩통화청, 이달 말 '암호화폐 발전 대응방안' 글로벌 회의 개최]
현지 미디어 rthk에 따르면 홍콩통화청(HKMA)이 이달 말 '암호화폐 발전에 따른 대응 방안'을 주제로 국제 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각국 중앙은행과 규제기관, 금융기관 임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마스터체인, 러 5번째 적격 디지털 자산 발행업체 등록]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은 마스터체인(Masterchain)을 5번째 적격 디지털 자산 발행업체로 인정했다. 마스터체인은 전통 자산을 토큰화 해 거래를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마스터체인 외 현재까지 아토마이즈(Atomyze), 라이트하우스(Lighthouse), 스베르방크(Sberbank), 알파은행(Alfa-Bank)이 러시아에서 디지털금융자산(DFA)을 발행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 운영업체로 등록돼 있다.
[이번주 주요 토큰 언락 일정...$1.8억 APE 언락 등]
토큰언락(Token Unlocks)에 따르면 이번주(3/13-3/19) 주요 토큰 언락 일정은 다음과 같다.
3/14 23:00 6,520,128 DYDX($1,434만) 언락, 총 공급량의 0.652%
3/15 08:00 187,500,000.02 BIT($9452만) 언락, 총 공급량의 1.951%
3/15 09:18 107,723 EUL($646만) 언락, 총 공급량의 0.396%
3/16 20:00 192,307 GAL($29만) 언락, 총 공급량의 0.096%
3/17 08:00 40,601,326 APE($1.8억) 언락, 총 공급량의 4.06%
[신채권왕 건들락 "미 국채 수익률 곡선, 경기 침체 임박 시사"]
신 채권왕이라고 불리는 제프리 건들락(Jeffrey Gundlach) 더블라인캐피탈(Doubleline Capital) CEO는 "지속적인 역전 이후 공격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미국 국채 수익률 곡선은 경기 침체가 임박했음을 시사한다"고 방금 전 트윗했다.
[밀크, 포인트 보상 플랫폼 겟플러스와 파트너십]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LK) 운영사 밀크파트너스가 공식 채널을 통해 인도네시아 소재 포인트 보상 플랫폼 겟플러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사는 올 2분기 안에 겟플러스 포인트와 MLK 교환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바이낸스, 3/14 FIL 입출금 일시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바이낸스가 파일코인(FIL)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원으로 오는 14일 23시 30분(한국시간)부터 FIL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STETH·WETH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STETH $138,943
2. WETH $65,258
3. WBTC $36,195
4. CWBTC $7,589
5. RAD $3,832
[바이낸스 CEO "$10억 산업 복구 자금 중 BUSD→BTC·ETH·BNB 등 전환 추진"]
자오창펑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최근 스테이블코인과 은행 업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변화를 감안해 바이낸스의 10억 달러 규모 산업 복구 펀드 자금 중 BUSD 부분을 BTC, BNB, ETH 등 암호화폐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해당 작업에서 일부 자금 이동은 온체인 기록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TUSD "시그니처뱅크 기반 TUSD 발행 및 상환 일시 중단"]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트루USD(TUSD)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트루코인은 미국 당국에 의해 폐쇄된 시그니처뱅크(Signature Bank)에 일부 준비금을 예치하고 있다. 당국의 조치에 따라 소수 시그니처뱅크 사용자를 위해 TUSD 발행 및 상환 절차를 일시 중단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TUSD 측은 "시그니처뱅크 외 기타 은행 사용자의 TUSD 발행 및 상환은 차질 없이 지속된다. 우리는 영향을 받은 TUSD 사용자에게 직접 연락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스라엘 총리 "SVB 붕괴 현지 여파 점검...필요 시 피해 기업 지원"]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베냐민 네타냐후(Benjamin Netanyahu) 이스라엘 총리가 12일(현지시간) 내각 회의에서 "미국 실리콘밸리뱅크(SVB) 붕괴가 이스라엘 현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이와 관련 현금 흐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기업에 대한 지원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스라엘 현지 미디어 글로브(Globes)는 "SVB는 그동안 이스라엘 기업의 주요 자금 조달 기관 역할을 해왔다. 자산 규모 기준 미국에서 16번째로 큰 은행인 SVB는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털들을 주요 고객으로 취급했다"고 설명했다.
[서클, USDC 운영 관련 크로스리버뱅크와 신규 파트너십 체결]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이 12일(현지시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원활한 USDC 운영을 위해 미국 현지 은행 크로스리버뱅크(Cross River Bank)와 신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양사의 협업은 13일(현지시간)부터 시작되며, 고객들은 크로스리버뱅크를 통해 자동화 USDC 발행 및 달러 상환 등 서비스를 사용 가능하다는 게 서클 측의 설명이다. 또 이날 서클은 "실리콘밸리은행(SVB)에 보관되어 있던 USDC 준비금 33억 달러는 13일 오전 미국 은행 영업 시작과 동시에 접근이 가능해진다. 시그니처뱅크에는 USDC 준비금 익스포저가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주말 미국 은행들의 유동성 위기 가시화로 디페깅이 발생했던 USDC는 현재 약 0.9961 달러에 거래되며 페깅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유명 헤지펀드 투자자 "더 많은 은행 파산 가능성"]
유명 헤지펀드 투자자 빌 아크만(Bill Ackman)이 트위터를 통해 "실리콘밸리은행(SVB)발 금융권 위기에 미국 규제 당국이 개입했지만, 더 많은 은행들이 파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물론 당국이 조치를 내놓지 않았다면 우리는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었을 수 있고, 1930년대 수준의 뱅크런 사태가 발생했을 수도 있다. 정부는 국가를 위해서는 옳은 조치를 취한 것이지만, 사태를 일으킨 장본인들이 그 결과를 온전히 책임지게 하지 못했다는 점에서는 옳지 못한 일을 했다"고 강조했다.
[암호화폐 결제 업체 BCB 그룹, 달러 지원 서비스 출시 보류]
더블록에 따르면 영국 소재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업체 BCB 그룹최고경영자(CEO) 올리버 폰 란츠버그 사디가 "당초 올 2월 출시 예정이었던 자사 네트워크 BLINC(BCB Liquidity Interchange Network Consortium)에서의 달러 지원 서비스 출시를 잠정 보류한다"고 밝혔다. 미국 규제당국의 시그니처뱅크 폐쇄 명령 여파다. 그는 "우리 계획은 미국 달러 지원 서비스에 시그니처뱅크를 활용하는 것이었지만, 이번 사태로 인해 새로운 파트너를 물색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3곳의 은행과 서비스 파트너십을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달러인덱스 104 하회...2/22 이후 최저]
달러인덱스(DXY)가 104를 하회하며 2월 22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오는 3월 22(현지시간)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25bp) 인상할 확률을 98.9%로 점치고 있다.
[카바에 유니스왑 V3 배포 안건 통과]
코스모스 SDK 기반 EVM 호환 레이어1 네트워크 카바(KAVA)에 유니스왑(UNI) V3를 배포하자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이 100% 찬성률로 통과됐다. 유니스왑 V3를 아발란체(AVAX)에 배치하자는 제안도 현재 투표 중에 있다. 오는 17일 종료되는 해당 제안은 현재 찬성률 99.9%를 기록하고 있다.
[골드만삭스 "연준, 3월 금리 인상 안할 듯"]
골드만삭스는 "최근 은행 시스템 압력을 고려할 때 3월 22일 FOMC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기는 어렵다. 연준이 5,6,7월에 금리를 25bp씩 인상할 것이라는 예상은 변함 없으며, 최종 금리는 5.25-5.5%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단 3월 이후 금리인상 경로에는 상당히 큰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