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CME 페드워치 "3월 기준금리 25bp 인상 가능성 82.7%" 外

| 토큰포스트 기자

[CME 페드워치 "3월 기준금리 25bp 인상 가능성 82.7%"]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오는 3월 22(현지시간)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25bp) 인상할 확률

[보우만 연준 이사 "美 은행 시스템 견조해…시장 모니터링"]

미셸 보우만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이사는 미국 은행 시스템이 견조하며 시장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우만 이사는 14일(현지시간) 전미독립지역은행가협회(ICBA) 컨퍼런스 연설문에서 "두 금융기관(실리콘밸리은행과 시그니처은행)의 폐쇄가 미국 금융 시스템에 미칠 직간접적인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몇 가지 구체적인 조치를 발표했다"며 "연준은 새로 설립한 은행 기간 펀딩 프로그램을 통해 적격 예금기관에 추가 자금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설명했다. 보우만 이사는 이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인해 금융기관이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 보유증권을 긴급하게 매각할 필요가 없어진다고 말했다.

[OK링크 "BAYC 계열 NFT 고래 '제프리 황', 전날 132개 MAYC 매도"]

블록체인 빅데이터 플랫폼 OK링크가 15일 공식 채널을 통해 "BAYC 계열 NFT 고래로 알려진 대만 유명 가수 제프리 황(Jeffrey Huang) 추정 주소 'machibigbrother.eth'가 한국시간 기준 14일 21시 36분 경 132개 MAYC를 대규모 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현재 제프리 황 추정 주소는 약 42개 MAYC를 보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오일러 파이낸스, 해커에 24시간 내 탈취금 90% 반환 요구]

최근 해킹 공격으로 1.92억달러 피해를 입은 오일러 파이낸스가 온체인에서 해커에게 메시지를 보냈다. 오일러는 "당신이 우리와 함께 다음 단계에 대해 논의할 의사가 있는지 알고자 한다. 24시간 내 자금의 90%를 반환하지 않으면 우리는 100만달러 현상금을 걸고 당신의 체포 및 100% 자금 반환에 힘쓸 것"이라고 경고했다.

[멀티체인, 크로스체인 누적 거래량 1,000억 달러 돌파]

멀티체인(MULTI, 구 애니스왑) 크로스체인 익스플로러에 따르면, 멀티체인 기반 크로스체인 누적 거래량이 1,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15일 기준 멀티체인 기반 크로스체인 누적 거래량은 약 1,000.3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으며, 멀티체인에 예치된 암호화폐 예치금은 약 18.4억 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MULTI는 현재 2.41% 오른 9.9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룸버그 "美 검찰, 시그니처뱅크-암호화폐 기업 고객 관련 조사 착수"]

블룸버그 통신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미국 검찰과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최근 파산한 시그니처뱅크와 암호화폐 거래처들 사이의 거래 및 관계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15일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수사관들은 시그니처뱅크의 계좌 개설 기업들을 면밀히 조사하고, 범죄에 연루된 정황이 있는 관련 거래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는 시그니처뱅크가 고객 계좌의 자금세탁 여부 모니터링을 위해 충분한 조치를 취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시장을 위협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위법 행위를 적발하고 기소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개별 법인 또는 개인의 연방 증권법 위반 적발 즉시 조사에 착수하고 집행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캐시 우드 "규제 당국, 디파이 말고 은행 감시나 똑바로 하라"]

캐시 우드 아크 인베스트먼트 CEO가 "미국 은행 시스템이 지역 은행을 위협하는 뱅크런에 대응하면서 발칵 뒤집혔지만 비트코인, 이더리움, 기타 크립토 네트워크는 한 치의 흔들림도 없었다. 은행 시스템의 불안정성은 디파이 진입로인 스테이블코인을 위협했다. 규제 당국은 중앙화된 단일 장애지점 없는 탈중앙화, 투명, 감사 가능한 금융 플랫폼을 차단하는 대신, 기존 은행 시스템에 존재하는 중앙화되고 불투명한 단일 장애지점에 집중했어야 했다. 단기금리가 1년 만에 19배나 치솟고 은행 예금이 1920년대 이후 처음으로 전년 대비 감소하는 등 자산·부채 듀레이션(채권의 자금이 회수되는 평균만기) 미스매치라는 위기가 눈앞에 다가오고 있었다"고 트윗했다. 스레드 말미에는 서클 USDC 에어드랍 페이지를 공유했다.

[이더리움, 소각 메커니즘 도입 후 누적 소각량 300만 ETH 돌파]

이더리움(ETH) 지분증명(PoS) 네트워크 관련 데이터 플랫폼 비콘차닷인에 따르면, EIP-1559(ETH 자동 소각 메커니즘) 도입 이후 이더리움 네트워크 에서의 ETH 누적 소각량이 300만 ETH를 돌파했다. 15일 기준 약 3,001,362.1 ETH가 누적 소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시세 기준 약 51.56억 달러 규모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1.99% 오른 1,710.5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만타, 칼라마리서 영지식증명 기반 송금 프로토콜 출시]

폴카닷 기반 프라이버시 보호 프로젝트 만타(MANTA)가 자체 선행 네트워크인 칼라마리 네트워크(Calamari Network·KMA)에서 영지식(ZK) 증명 기반 프라이버시 보호 송금 프로토콜 만타페이를 출시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사용자는 ERC20 토큰 등 여러 암호화폐를 만타페이에 연동해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정보는 추적이 불가능하다. 향후 ERC721, ERC1155 등 NFT 및 소울 바운드 토큰(SBT)도 지원할 예정이다.

[RockX, 개인 및 기관 대상 리퀴드 스테이킹 플랫폼 출시]

암호화폐 스테이킹 제공업체 RockX가 개인 및 기관 대상 리퀴드 스테이킹 플랫폼 베드록(Bedrock)을 출시한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베드록은 32 ETH 이상 스테이킹을 원하는 기관에게 고객확인 및 자금세탁방지 솔루션을 제공한다. RockX 투자사인 홍콩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제공업체 엠버그룹이 베드록의 첫 번째 고객이 된다.

[페이코인, 신규 사업모델 및 로드맵 공개..."국내·해외 사업 이원화"]

페이코인(PCI)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신규 사업모델 및 향후 로드맵을 15일 공개했다. 주요 내용은 국내 사업과 해외 사업의 이원화 추진 및 레이어2 블록체인 지원이다. 이와 관련 페이프로토콜 관계자는 "페이코인’이 자기발행코인을 활용한 디지털자산 연계 결제서비스 제도 완비 시 까지 국내 사업과 해외 사업을 이원화 해 진행하는 것"이라며 "국내는 제도환경 등을 고려해 페이코인 결제를 자기발행 코인이 아닌 메이저 디지털자산 결제로 변경한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시장에서는 페이코인을 활용한 결제 모델을 급속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편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또 페이프로토콜은 "변경된 사업모델에 따라 페이프로토콜은 최종적으로 레이어2 블록체인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레이어1 블록체인이 갖고 있던 수수료 및 속도 문제를 해결, 실생활 결제에 페이프로토콜 활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지난주 금요일 이후 USDC 유통량 39억 감소]

USDC가 페깅을 회복했지만 지난 금요일 이후 유통량이 약 39억 USDC 빠졌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USDC가 새롭게 발행되고는 있으나 소각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크립토 펀드 매니저 비트불 캐피탈 CEO 조 디파스콸레는 "시장 참여자들이 스테이블코인을 장기 보유하는 것을 편안하게 느끼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서클은 실리콘밸리뱅크 이슈($33억 리저브 보관) 이후 BNY멜론은행에 준비금을 보관할 것이라고 밝힌 상태다.

[칠리즈, “2주 내 메인넷 ‘칠리즈 2.0’ 체인 선보일 것”]

스포츠 특화 블록체인 프로젝트 칠리즈(CHZ)의 알렉산드레 드레이푸스(Alexandre Dreyfus)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3월 13일 서울 강남구에서 열린 ‘칠리즈 2023 코리아 밋업’ 행사에서 향후 2주 내 자체 메인넷인 '칠리즈 2.0'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그는 칠리즈 2.0 중심의 신규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칠리즈 2.0은 스포츠 산업에 특화된 체인으로, 이더리움(ETH)과 바이낸스체인(BNB)에서의 포크를 통해 구축된다. 이더리움 EVM 호환을 통해 범용성을 확보한 체인이며, 이더리움 및 BNB체인 기반 프로그램은 칠리즈 2.0과 호환될 수 있다. 또 CHZ 토큰은 거버넌스 토큰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빗썸 10시 ATOM 입출금 일시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빗썸이 3월 15일 10시부터 코스모스(ATOM)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일시적으로 입출금 서비스를 중지한다고 공지했다.

[네오핀, 인니 최대 게임사 아가테와 파트너십...웹3 게임 생태계 구축]

블록체인 전문기업 네오핀(NPT)이 공식 채널을 통해 인도네시아 최대 게임사 아가테(Agate)와 글로벌 웹3 게임 생태계 구축 관련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네오핀은 "이번 파트너십은 자체 웹3 게임 생태계의 동남아 시장 진출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아가테와 함께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며, 향후 아가테는 네오핀 국내 웹3 게임 파트너사들의 글로벌 시장 공략에 중요한 축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그니처뱅크 폐쇄 전 하루 동안 예금의 20% 출금 러시]

블룸버그가 소식통을 인용, 시그니처뱅크에서 지난주 금요일 고객들이 예금의 약 20%인 $178억 가량을 인출하면서 붕괴됐다고 보도했다. 이후 일요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 연방준비은행, 예금보험공사(FDIC) 등 규제 기관은 현지 은행들의 유동성 악화 리스크 전염을 막기 위해 뉴욕 시그니처 뱅크를 폐쇄 조치했다.

[코인베이스, 싱가포르 달러 은행 입출금 및 암호화폐 투자 지원]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을 통한 싱가포르 달러 입출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싱가포르 사용자는 은행을 통해 코인베이스에 싱가포르 달러를 입금할 수 있으며, 디지털 자산에 직접 투자가 가능하다는 게 코인베이스 측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코인베이스 싱가포르 지사장 하산 아흐메드(Hassan Ahmed)는 "싱가포르 달러 지원은 코인베이스의 글로벌 확장 전략의 일환"이라며 "경쟁사인 크립토닷컴과 제미니는 이미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싱가포르 통화청(MAS)으로부터 결제 서비스 라이선스를 취득한만큼 현지 리테일 서비스를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0...탐욕→중립 투심 위축]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6포인트 내린 50을 기록했다. 투심이 다소 위축되며 탐욕 단계에서 중립 단계로 내려왔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보안업체 "블러 서명 취약점 노출"]

웹3 보안업체 포켓 유니버스가 트위터를 통해 "해커가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BLUR) 서명 취약점을 악용해 NFT를 탈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번 공격 유형은 블러 이용자가 자신이 무엇에 서명하는지 이해할 수 없도록 문자가 나열돼 있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 수일 전 해커가 이러한 공격 방식으로 5 ETH를 탈취한 사례를 발견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을 82.7%로 점치고 있다. 금리 동결 가능성은 17.3%다.

[미 하원 금융위 위원장 "미국, 수일 내 스테이블코인 법안 통과 가능"]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미 하원 금융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맥신 워터스 의원이 "미국이 수일 내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고 언급했다. 워터스 의원은 "어느 정당이 하원을 장악할 것인지 우려 때문에 이 법안 통과가 지연되고 있다"며 "하지만 나와 패트릭 맥헨리 의원은 집중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 법안은 초당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더리움, 골리 테스트넷서 샤펠라 업그레이드 활성화]

이더리움 골리 테스트넷에서 샤펠라 업그레이드가 활성화됐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다만 유효성 검사기 참여율이 저조해 아직 업그레이드가 완료되지 않았다. 정상적 참여 조건에서 에폭은 19시 38분경(한국시간) 완료될 예정이다. 메인넷 상의 상하이 하드포크 일정은 아직 미정이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