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페드나우, 디지털 화폐와 관련 없어...CBDC 출시 계획 없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지급결제 시스템 페드나우(FedNow)는 디지털 화폐와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우리는 아직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CBDC) 출시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시스템은 페드와이어(Fedwire) 또는 페드ACH와 같은 다른 연방준비은행의 지불 시스템과 똑같다. 페드나우는 화폐와 관련된 것이 아니며 현금을 대체하는 개념은 더더욱 아니다. 아울러 연준의 CBDC 발행은 의회와 행정부의 지원 없이는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달 올 7월 중으로 페드나우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美 FBI "北 라자루스, 호라이즌 브릿지 해킹 자금 중 $6,000만 세탁 시도"]
CNN에 따르면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북한 해커 그룹 라자루스가 하모니(ONE) 생태계 크로스체인 브릿지 호라이즌을 공격해 탈취한 1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 가운데 약 6,000만 달러에 대한 자금 세탁을 시도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FBI는 이 중 일부 자금에 대해 동결 조치를 취했으나 구체적인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앞서 FBI는 지난 1월 공식 성명을 통해 "지난해 1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도난당한 호라이즌 브릿지의 해킹 사고 배후에는 북한의 해커 그룹 라자루스(Lazarus) 및 APT38 등이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솔라나 커뮤니티, 새 '키 쌍' 암호화 표준 제안]
솔라나 커뮤니티 멤버 Valentin이 민감한 데이터 보호를 위한 솔라나 키 쌍(key-pairs)대한 암호화 표준의 필요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기존 Ed25519 키 쌍을 Diffie Hellman 키 익스체인지 프로토콜용으로 설계된 Curve25519 키 쌍으로 전환하는 표준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이러한 표준을 만들면 작업 수행을 위해 별도의 키를 생성할 필요 없이 비대칭 암호화(공개/비공개 키 쌍에서 공개 키를 사용하여 일반 텍스트를 암호화한 다음 해당하는 비공개 키를 사용하여 암호 텍스트를 복호화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Ed25519 키 쌍은 메시지 서명에는 효과적이지만, 사용자 개인정보보호에 중요한 비대칭 암호화에는 사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인젝티브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 패럴렐, 메인넷 출시]
인젝티브(INJ)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INJ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DEX) 패럴렐(Parallel) 메인넷이 출시됐다고 밝혔다. 패럴렐은 현물 거래, 무기한 선물 거래, 익명거래 등을 지원하며 곧 외환 마켓도 지원할 예정이다.
[컴투스플랫폼-대원미디어, NFT 사업 협력 업무협약]
컴투스홀딩스의 플랫폼 자회사 컴투스플랫폼은 문화 콘텐츠 기업 대원미디어와 대체불가토큰(NFT)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10일 밝혔다. 양사는 NFT 거래소 'X-PLANET(엑스플래닛)'을 통해 대원미디어가 보유한 인기 지적재산(IP) 기반 NFT 라인업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디파이라마 창업자, 스시스왑 해킹 피해 확인 사이트 개설]
디파이라마 창업자 겸 개발자 0xngmi가 이용자들이 스시스왑(SUSHI) 해킹 피해를 입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개설했다. 어떤 토큰의 승인을 취소해야하는지도 알 수 있다. 코인니스는 스시스왑이 스마트 컨트랙트 버그로 인해 $330만 상당 손실을 입었으나 손실액 대부분을 회수했다고 전한 바 있다. 또 스시스왑 최고기술책임자(CTO) 매튜 릴리(Matthew Lilley)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라우터 프로세스2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에 영향을 받은 모든 주소를 식별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빗썸, OP 원화마켓·GPT BTC마켓 상장]
빗썸이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오늘 14시 원화마켓에 옵티미즘(OP), 15시 BTC 마켓에 크립토지피티(GPT)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코인으로 권총 샀다, 尹 죽여 나라 구하겠다"…게시자 추적]
윤석열 대통령을 테러하려고 권총을 구입했다는 글이 인터넷에 올라와 경찰이 게시자를 추적하고 있다. 10일 경찰에 따르면 전날 오후 중도보수 성향의 한 인터넷 온라인 커뮤니티에 윤 대통령을 권총으로 살해하겠다는 글이 게시됐다는 112 신고가 들어왔다. 게시글을 확인한 경찰은 사안이 위중하다는 판단에 따라 사건을 충북 청주청원서에서 충북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로 넘기로 IP(인터넷주소)를 추적해 용의자를 확인하고 있다. 아직 글 작성자의 신원이 확인되지는 않았다. 경찰은 용의자를 특정하는 대로 신병을 확보해 실제 권총을 구입했는지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지난주 오픈씨 프로 사용자 점유율, 18%→57%]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사용자 수 기준 지난주 NFT 마켓 블러 점유율이 54.8%에서 27%로 하락했다. 오픈씨 프로는 18%에서 57%로 급증했다. 4월 5일 출범한 오픈씨 프로는 젬(Gem) 이용자를 대상으로 제메시스(Gemesis) NFT를 에어드랍한 바 있다.
[NFT 게임 플랫폼 가메타, $500만 시드라운드 투자유치]
웹3 NFT 게임 플랫폼 가메타(Gameta)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500만 달러 규모의 시드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투자에는 바이낸스 랩스, 후오비 벤처스, 아케인 캐피탈, 세라스 벤처스(Ceras Ventures), 게이트아이오 랩스, 인피니티 랩스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게임 및 생태계 개발에 활용될 예정이다.
[글래스노드 "크라켄·바이낸스 등 ETH 스테이킹 유치 경쟁 속 라이도가 승자"]
암호화폐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ETH) 비콘체인 출시 초기 크라켄,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등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ETH 스테이킹 유치 출혈 경쟁 속 뒤늦게 두각을 나타낸 라이도(LDO)가 승자로 자리매김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글래스노드는 "ETH 스테이킹 서비스 제공업체 중 크라켄,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등 세 거인 플랫폼으로의 ETH 스테이킹 유입량은 시간이 지나며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라이도의 경우 현재까지 ETH 스테이킹 유입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도 20대 청년, 암호화폐 투자 손실로 투신...인근 택시기사가 구조]
크립토포테이토가 현지 미디어를 인용해 인도의 20대 남성이 암호화폐 투자 손실로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다가 구조됐다고 보도했다. 경찰 조사 결과, 그는 암호화폐 투자를 위해 귀중품을 모두 팔고 대출을 끌어다 썼고, 심지어 어머니의 연금에도 손을 댄 것으로 조사됐다. 그는 며칠 동안 채권자에게 쫓기다 한 다리 위에서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으나, 다행히 인근을 지나던 택시기사에게 발견돼 구조될 수 있었다. 그의 투자 손실금은 약 37,500 달러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상장피 의혹' 코인원 상장팀장·브로커 구속기로]
'가상화폐(가상자산) 상장피(fee)' 의혹을 받는 가상화폐 거래소 전직 상장팀장과 브로커가 구속기로에 놓였다. 법원에 따르면 서울남부지법은 10일 오전 10시30분께 배임수재·범죄수익은닉규제법 위반 혐의를 받는 전 코인원 상장팀장 김모씨, 배임증재 혐의를 받는 상장 브로커 황씨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1부(부장검사 이승형)는 이들이 2020~2021년 코인원에 '김치 코인(국내발행 가상화폐)'을 상장해달라는 청탁을 받고 금품을 주고받았다고 보고 지난 5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들이 금품을 주고받으며 상장을 청탁한 코인 중에는 강남 납치·살해사건에서 등장한 P코인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코인베이스 CEO "BTC 라이트닝 네트워크 지원 계획 있어"]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가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지원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한 트위터 이용자가 "브라이언 암스트롱 CEO가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이상하리만치 언급을 피하는 것 같다. 의도적으로 무시하는 것인지, 그는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에 대한 트윗을 한 적이 없다"고 밝힌 것에 대한 답변이다.
[테더 CTO "이번 분기 수익 $7억 이상"]
파올로 아르도이노 테더 CTO가 이번 분기 수익은 $7억 이상이라고 전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USDT 시총이 $800억을 돌파했으며, 올 들어 $150억 증가했다고 전한 바 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62...탐욕 단계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1포인트 오른 62를 기록했다. 투심이 소폭 완화되며 탐욕 단계가 유지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빗썸, XVS 거래 유의...시세 급변동]
빗썸이 현재 비너스(XVS)의 시세 변동성이 매우 큰 상태라며 거래에 유의해달라고 안내했다.
[러시아 검찰, 의회에 몰수 암호화폐 관리 전용 월렛 구비 승인 요청]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 검찰청이 최근 의회와 정부에 범법자로부터 몰수한 암호화폐 관리를 위해 검찰청 산하 암호화폐 지갑 구비를 승인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는 러시아 검찰이 범죄 사건과 연루된 디지털 자산(암호화폐)을 압수하고, 최종적으로 이를 현금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달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 마디나 돌기바(Madina Dolgieva) 러시아 상원의원은 "검찰에 이러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현행법 개정조차 불필요하다. 오히려 법 개정을 추진할 경우 절차적인 시간 낭비만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FTX 파산 보고서 "FTX 붕괴, SBF 포함 당시 경영진 오만·무능·탐욕의 결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FTX 현 경영진이 9일(현지시간) 미국 델라웨어 파산법원에 제출한 FTX 파산 관련 보고서에서 "FTX의 붕괴는 샘 뱅크먼 프리드(SBF) 전 FTX CEO, 니샤드 싱(Nishad Singh) 전 FTX 엔지니어링 이사, 개리 왕(Gary Wang) 전 최고기술책임자(CTO)를 포함한 당시 경영진의 오만, 무능, 탐욕이 초래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그들은 대중들에게 FTX는 책임감 있는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고 싶어했지만, FTX 그룹은 적절한 관리·감독 프레임워크를 도입하는 데 거의 관심이 없는 소수의 개인 그룹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됐다. 이들은 반대 의견을 억누르고, 고객 자금을 유용하고, 지속적으로 거짓말을 하고, 수백만 달러 상당의 자산을 추적하지 못하게 숨겼다. 이에 FTX 그룹은 빠른 속도로 무너졌다"고 설명했다. 또 보고서는 "FTX가 챕터11 파산을 법원에 신청했을 당시 회사에는 임직원 목록과 같은 가장 기본적인 서류도 구비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문버드 개발사, 4/27 전시회 개최...신규 NFT 1만개 출시]
NFT이브닝에 따르면 유명 NFT 프로젝트 문버드(Moonbirds) 개발사 프루프(PROOF)가 '문버드 다이아몬드 전시회'(Moonbirds: Diamond Exhibition)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27일(현지시간) 22명의 아티스트가 제작한 디지털 컬렉션 10,000개가 출시될 예정이다.
[FTX, 14억 달러 이상 암호화폐 확보... 총 부채 약 120억 달러]
챕터11 파산 절차를 진행 중인 암호화폐 거래소 FTX 채무자 측이 9일(현지시간) 파산에 이르기까지 FTX의 경영 정보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현재 채권자들은 약 14억 달러 이상의 디지털 자산(암호화폐)을 확보했으며, 약 17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 존재를 확인하고 회수 과정에 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확인된 FTX 총 부채는 약 120억 달러 규모다. 또 해당 보고서에서 FTX 현 경영진은 "FTX 전 엔지니어링 이사 니샤드 싱(Nishad Singh)은 2019년 7월 31일 자매회사이자 암호화폐 퀀트 트레이딩 업체 알라메다 리서치의 암호화폐 무제한 출금을 허용하도록 코드 베이스를 수정했다. 그리고 약 일주일 후 알라메다의 포지션에 자동 청산 메커니즘을 면제하는 방향으로 다시 한 번 코드를 수정했다"고 밝혔다. 또 보고서는 "FTX그룹은 거의 모든 암호화폐 자산을 핫월렛에 보관했으며,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는 모든 주요 결정에서 최종 발언권을 가졌다. 또 FTX를 구성하는 핵심 인력들은 대학 졸업 이후 리스크 관리 및 기업 운영 관련 경험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유명 만화 '스머프', 3D NFT 12,500개 출시 예고]
NFT이브닝에 따르면 벨기에의 유명 만화인 '스머프'가 3D NFT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기업가와 예술가, 웹3 전문가로 구성된 '스머프 소사이어티'는 이와 관련한 NFT 컬렉션을 개발하고 있고, 향후 12,500개의 NFT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각 캐릭터의 NFT 별 인쇄물, 경품, 굿즈, 게임 티켓, 와인 등 각각 다른 혜택도 제공될 예정이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