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페이코인, 효력 정지 가처분신청 기각...업비트·빗썸·코인원 거래종료 外

| 토큰포스트 기자

[페이코인, 효력 정지 가처분신청 기각...업비트·빗썸·코인원 거래종료]

페이코인 팀은 빗썸 대상 상장폐지 가처분 신청이 법원에 의해 기각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늘 예정대로 빗썸, 코인원, 업비트에서 PCI 거래지원이 중단됐다.

[리플 법무팀, SEC 공정한 고지 주장 반박 서한 제출]

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앞서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가 공정한 고지가 쟁점이 됐던 커먼웰스 판례(SEC 승소)를 인용한 서한을 법원에 제출한 가운데, 리플 법무팀이 이에 대한 답변서를 제출했다. 다음은 양측의 주장.

SEC: 과거 SEC vs 커먼웰스 사례에서 판사는 하위테스트(증권성을 판단하는 대법원 판례)가 공정한 고지를 정당화하기에 충분하다고 인정했다. 따라서 하위테스트 존재만으로 리플에 대한 별도의 공정한 고지가 필요하지 않았다.

리플: 리플과 달리 커먼웰스는 공정한 고지 방어에 대한 증거를 적시에 제시하지 않았다. 반면 리플은 SEC가 자체적으로 제출한 서류와 제3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수많은 증거를 제시했다. 이는 합리적인 시장 참여자들이 XRP를 투자계약이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업튼(Upton) 사례의 경우 법원은 피고의 공정한 고지 방어에 유리한 판결을 내렸었고, 이는 구속력 있는 선례다.

[에브모스, 거래수수료 도난 위험 취약점 수정]

암호화폐 마켓 메이커 점프크립토가 최근 코스모스(ATOM)와 코스모스 EVM 허브 이더민트(현 에브모스)에 영향을 미치는 취약점을 발견, 혹시 모를 해킹 위험을 차단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공격자가 이 취약점을 악용할 경우 특정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우회해 거래수수료를 탈취할 수 있다. 에브모스 코어 개발팀은 크로노스, 점프크립토와 협력해 취약점을 수정했으며 점프크립토는 2.5만달러 포상금을 받았다.

[中 증시 블록체인 테마주 상승 마감中 증시 블록체인 테마주 상승 마감]

중국 증시 A주 블록체인 테마주가 상승 마감했다. 중국 선전거래소 블록체인 50지수는 전날 대비 0.32% 오른 3537.46 포인트를 기록했다. 블록체인 섹터는 0.2% 하락했고, 디지털화폐 섹터는 0.58% 상승 마감했다.

[닥사, BASIC 상장폐지]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으로 구성된 닥사는 베이직(BASIC)을 4월 28일 16시 거래지원 종료한다고 공지했다.

[BTC $31000 터치]

BTC가 $31000을 터치한 뒤 소폭 반락했다. 현재 바이낸스에서 1.72% 오른 $30897에 거래 중이다.

[홍콩 입법화 의원 주도 $1000만 웹3 생태계 펀드 공식 출범]

홍콩 법무부차관 정궉관(Cheung Kwok Kwan)이 2023 홍콩 웹3 페스티벌에서 1000만달러 규모 웹3 허브 생태계 펀드의 공식 출범 소식을 알렸다. 해당 펀드는 홍콩 입법회 의원 조니 응(吴杰庄) 산하 지로켓(G-Rocket) 액셀러레이터에서 출범했으며, 3년 내 1000개 웹3 기업이 홍콩에 설립되도록 지원하는 게 목표다.

[닷컴버블·리먼사태 예측한 그랜섬, 또 ‘엄청난 붕괴’ 경고]

2000년 닷컴버블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한 월가의 전설적 투자자 제러미 그랜섬이 CNN 방송에서 “금융 시스템의 스트레스가 끝나지 않았으며, 은행의 혼란은 시작에 불과하다”며 “금융 시장의 엄청난 거품이 터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 상황을 보고 기술주가 폭락한 2000년 닷컴 버블과 부동산 거품이 터진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를 떠올리며 “더욱 우려되는 점은 이번에는 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의 거품이 동시에 꺼질 태세라는 것”이라며 “거품이 꺼지면서 경기침체를 불러올 것”이라고 말했다.

[폴리곤 zkEVM 유니스왑 V3 안건 곧 통과될 듯]

디파이 프로젝트를 위한 투표 대시보드 Tally에 따르면 폴리곤 zkEVM 유니스왑 V3 배치 안건이 곧 통과될 전망이다. 오늘 오후 8시 11분 투표가 종료되는데, 현재 투표에 참여한 191개 주소가 모두 찬성에 투표했다. 폴리곤 zkEVM은 지난 3월 27일 공식 출시된 바 있다.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토콜 TVL, 사상 첫 $100억 돌파]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토콜 관련 데이터 플랫폼 L2비트(L2BEAT)에 따르면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토콜 내 암호화폐 락업 예치금(TVL) 규모가 102억 9000만 달러를 돌파했다. 달러 환산 기준 이더리움 레이어2 TVL이 $100억을 돌파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TVL 규모가 가장 큰 프로토콜은 아비트럼원으로, 약 68억 3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어 옵티미즘이 21억 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홍콩 입법회 위원 "연내 혹은 내년 암호화폐 법제화 예상"]

8btc에 따르면 2023 홍콩 웹3 페스티벌에서 홍콩 특별행정구 입법회 위원 던컨 치우(邱达根)는 홍콩 금융관리국이 올해 또는 내년 암호화폐,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안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 재무부, 4/21 디지털 엔화 관련 전문가 회의 개최]

일본 재무부가 4월 21일 디지털 엔화와 관련해 전문가 회의를 개최한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이날 학계, 경제학자, 법조인, 소비자단체 대표 등 9명의 전문가들이 디지털 엔화의 향후 방향성에 대해 논의한다. 이들은 앞으로 정기적으로 만남을 가지며 올해 말 합동 보고서를 작성할 계획이다. 앞서 일본 중앙은행은 디지털 엔화 파일럿을 시작한 바 있다.

[일본 VC 스카이랜드 벤처스, 50억엔 웹3 펀드 조성]

일본 VC 스카이랜드 벤처스가 50억엔 규모 웹3 펀드를 조성했다고 코인포스트가 전했다. SBI그룹 등이 출자했다. 스카이랜드 벤처스는 150여개 일본 스타트업에 투자했으며 2022년 이후부터 웹3 분야 투자에 주력하고 있다.

[밸런서, 브랜드 개편 추진...운영 예산 삭감]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디파이 플랫폼 밸런서 프로토콜(BAL)이 브랜드 개편에 나서면서 2명의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를 해고했다고 밝혔다. 또한 운영 예산도 삭감한다. 밸런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마케팅 개선에 초점을 맞추며, 이를 위해 전문 마케팅 팀을 구성할 계획이다. 앞서 밸런서는 오일러 파이낸스 해킹으로 1190만달러 손실을 입었다고 밝힌 바 있다.

[ETH 언스테이킹 규모 24만 ETH...라이도 비중 63%]

룩온체인에 따르면 지금까지 23만9882 ETH가 언스테이킹(출금)됐다. 가장 많이 출금한 상위 3개 주소는 라이도(LDO, 63.69%), 피그멘트(2.97%), 셀시우스(2.72%)로 각각 15만2780 ETH, 7135 ETH, 6521 ETH를 출금했다.

[유니스왑 커뮤니티, 새 uniswap.eth 서브 도메인 생성 제안 통과]

유니스왑(UNI) 커뮤니티가 코드 보호 라이선스 BSL(Business Source License) 만료 이후 크로스체인 배포 및 새 uniswap.eth 서브 도메인 생성에 대한 거버넌스 제안을 통과시켰다. 해당 제안을 발의한 유니스왑 재단 거버넌스 이사 에린 코엔(Erin Koen)은 "새 ENS 서브 도메인을 생성하면, 유니스왑 V3 배포 추적에 도움이될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코드 보호 라이선스 BSL은 이달 초 만료됐다.

[미 달러화 지수, 단기 급락세]

미국 달러화 지수 DXY가 단기적으로 급락하며 현재 100.80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2022년 4월 이후 최저치다.

[이더리움 재단 소속 연구원 "ETH 스테이커 IP 정보 추적 가능"]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재단 소속 연구원 저스틴 드레이크(Justin Drake)가 최근 인터뷰에서 "ETH 스테이커의 IP 정보는 메타데이터 일부로 간주돼 추적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한다는 것을 내부적으로 알게 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우리는 크라켄 주소나 코인베이스 주소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에어드랍이 있을 경우 한 개인이 많은 물량을 가져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커뮤니티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보이고 있다고 미디어는 지적했다.

[완샹블록체인·해시키캐피탈, 웹3 인큐베이터 공동 출범]

포어사이트뉴스에 따르면 2023 홍콩 웹3 페스티벌 세션1 데모 데이 행사에서 중국 완샹 블록체인은 해시키 캐피탈과 함께 웹3 인큐베이터 출범을 발표했다. 웹3 스타트업에 고부가가치 콘텐츠, 자금, 마켓 리소스, 기술 개발, 커뮤니티 운영 등을 제공해 웹2와 웹3를 연결하는 것이 목표다. 홍콩 웹3 페스티벌은 4월 15일까지 진행된다.

[웹3 결제업체 헬리오, 시드 라운드서 330만 달러 투자 유치]

글로브뉴스와이어에 따르면 웹3 결제업체 헬리오(Helio)가 시드 라운드에서 33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피크와 라이트스피드 팩션이 주도했으며, 록어웨이엑스, 솔라나 랩스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의 구체적인 사용처는 밝히지 않았다.

[스타볼루트, 탈중앙 달러 페깅 스테이블코인 비공개 베타 출시]

비즈니스와이어에 따르면 글로벌 결제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는 스타트업 스타볼루트(Stabolut)가 탈중앙 달러 페깅 스테이블코인 USB(US-Bitcoin)을 비공개 베타 버전으로 출시했다. 비트코인 인버스 무기한 스왑을 이용한 비트코인 공매도로 달러 가치를 유지한다는 특징이 있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