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한은 "스테이블코인, 중앙은행 감시권한 명시해야" 外

| 하이레 기자

[한은 "스테이블코인, 중앙은행 감시권한 명시해야"]

서울경제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27일 발표한 '2022년도 지급결제보고서'에서 “암호자산에 대한 기본적인 감독은 감독 당국이 담당하며 지급수단으로 활용 가능성이 큰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감독·감시는 중앙은행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서는 중앙은행 감시 권한을 명시하는 동시에 CBDC는 암호자산 규제법에 대한 적용 예외로 명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홍콩 증권선물위원장 "5월 암호화폐 거래소 라이선스 제도 지침 공개"]

복수의 중국 미디어에 따르면, 줄리아 렁(梁凤仪) 홍콩 증권선물위원회 위원장이 "5월 홍콩 정부는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라이선스 제도와 관련된 지침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스틴 선, 홍콩서 트론 기반 스테이블코인 출시 암시 트윗]

저스틴 선 트론(TRX) 창업자가 방금 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홍콩서 트론 기반 스테이블코인 출시 가능성을 암시하는 트윗을 업로드했다. 해당 트윗에서 그는 "트론 기반 홍콩(HK) 스테이블코인이 곧 출시되나?"라고 말했다.

[24시간 $1.75억 BTC 선물 포지션 청산...미결제약정은 $10억 감소]

비트코인의 급격한 변동성으로 인해 지난 24시간 동안 $1.75억 상당 BTC 선물 포지션이 청산되고, 미결제약정은 $10억 감소했다. 전날 밤 $30000을 회복했던 BTC는 새벽에는 $27200까지 밀리는 등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다.

[바이낸스, TRXUP 등 레버리지 토큰 상폐]

바이낸스가 5월 9일 15시 TRXUP, TRXDOWN을, 5월 10일 15시 DOTUP, DOTDOWN을, 5월 11일 15시 LINKUP, LINKDOWN 레버리지 토큰을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데이터 "NFT 시장, 4월 판매자>구매자 수요 부족 현상 지속"]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NFT고(NFTGo)의 데이터를 인용, 4월들어 NFT 시장에서는 판매자 수가 구매자 수를 웃도는 수요 부족 현상이 지속됐다. 단 하루의 예외 없이 매일 판매자 우위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기준 NFT 시장 내 구매자 수는 7,907 명을 기록한 반면, NFT 판매 희망자는 8,641 명으로 집계됐다. 총 거래자 수도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구매자 수가 판매자 수를 웃돌았던 날은 3월 11일로, 당시 구매자가 9,756 명, 판매자는 9,754 명으로 그 차이도 근소했다.

[전날 오디널스 거래량, 역대 두 번째로 많아]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비트코인 네트워크 기반 NFT 프로토콜 오디널스의 전날 거래량이 15만개를 돌파,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일일 거래량을 기록했다. 앞서 23일 오디널스 일일 거래량이 19만개로, 역대 최다를 기록한 바 있다.

[외신 "a16z 전 임원, 기관 전용 암호화폐 커스터디 기업 설립 예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실리콘밸리 대표 벤처캐피털(VC)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의 전 최고기술책임자(CTO) 리야즈 파줄라보이(Riyaz Faizullabhoy)와 전 최고정보보호책임자(CISO)인 나심 에데퀴우아크(Nassim Eddequiouaq)가 기관 전용 암호화폐 커스터디 기업을 설립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는 "지난 2월 엔지니어링 및 보안 분야 거물인 두 사람은 해당 스타트업 설립을 위해 a16z를 떠났다. 그들은 대형 벤처캐피털로부터 시드 자금을 지원받고 있다"고 말했다.

[오픈씨 CBO "웹2 브랜드 웹3 전환 지원이 다음 스탭"]

세계 최대 NFT 마켓플레이스 중 하나인 오픈씨의 시바 라자라만(Shiva Rajaraman) 최고사업책임자(CBO)가 테크크런치와의 인터뷰에서 "오픈씨의 다음 여정은 웹2.0 크리에이터 및 브랜드들의 웹3 전환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웹2.0 브랜드와 같은 고객측에게 오픈씨의 장점을 어필하기 위해 제품군 확장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올해는 실제로 사용자 및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거나 유틸리티가 확실한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한 해가 될 것이다. 이러한 제품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앞을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과거를 돌아보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현재 NFT 업계가 봉착한 문제 중 하나는 암호화폐를 사용하지 않는 브랜드를 위한 도구가 부재하다는 것"이라며 "이러한 진입장벽을 허물 수 있는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다면 크리에이터의 창의력 발휘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폴리곤, zkEVM용 크로스체인 브릿지 출시]

폴리곤(MATIC)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zkEVM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관리되는 폴리곤(크로스체인) 브릿지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브릿지를 통해 폴리곤 zkEVM 네트워크는 ERC-20 토큰 및 ERC-777 토큰과의 호환이 가능해지며, 이더리움을 통한 자산 인출을 원하는 사용자의 경우 최대 60분 안에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체인, 코다-컨센시스 쿼럼 간 크로스체인 결제 테스트 완료]

블록체인 업체 데이터체인이 코스모스 IBC(블록체인 간 통신 프로토콜), LCP 네트워크를 통해 기업형 블록체인 개발 컨소시엄 R3의 코다(Corda) 플랫폼과 이더리움 개발용 오픈소스 프로토콜 레이어인 컨센시스 쿼럼(ConsenSys Quorum) 간 크로스체인 결제 테스트를 완료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번 테스트는 일본 최대 금융그룹인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의 엔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프로그맷코인(Progmat Coin) 간 상호운용 기술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앞서 데이터체인은 해당 프로젝트에 합류한 바 있다.

[웹3 데이터 웨어하우징 플랫폼 스페이스앤타임, 베타 버전 출시]

웹3 데이터 웨어하우징(warehousing) 플랫폼 스페이스앤타임(Space and Time)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스페이스앤타임 데이터베이스(DB) 베타 버전을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온·오프체인 데이터를 활용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및 대시보드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게 스페이스앤타임 측의 설명이다.

[애니모카브랜드 자회사 노트르 게임, NFT 활용 종합격투게임 개발 착수]

디크립트에 따르면 애니모카 브랜드의 자회사인 노트르 게임(Notre Game)이 싱가포르의 종합격투기 브랜드인 원 챔피언십(One Championship)과 함께 NFT를 활용한 종합격투기(MMA) 모바일 전략 격투 게임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 파이트 아레나 게임은 2024년 초에 출시될 예정이며, 올해 말 부터 플레이어 테스트가 시작된다.

[바이낸스 4/28 3개 거래페어 추가...DOGE/TUSD 등]

바이낸스는 4월 28일 17시 DOGE/TUSD, WBTC/USDT 페어를, 같은 날 21시 USDT/ARS 페어 거래를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앰버그룹, 기술 컨설팅 기업 Thoughtworks와 파트너십 체결]

암호화폐 서비스 기업 앰버그룹(Amber Group)이 공식 채널을 통해 소프트웨어 및 기술 컨설팅 기업 Thoughtwork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 향후 웹3 투명성 및 신뢰도 제고를 위한 도구 및 기술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이와 관련 앰버그룹 측은 "웹3 산업 발전에 보다 유리한 환경을 가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양사의 협력이 필요하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보안 솔루션을 개발해 웹3 산업의 투명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니어 재단, 블록체인 운영체제 '보스' 최초 공개]

뉴스1에 따르면 블록체인 레이어1 플랫폼 니어프로토콜이 세계 최대 블록체인 콘퍼런스 '컨센서스 2023'에서 블록체인 운영체제 보스(BOS)를 공개한다. 보스는 니어 블록체인뿐 아니라 여러 블록체인 플랫폼과도 호환된다.

[암호화폐 거래소·은행 속여 $400만 편취 피의자 유죄 인정]

2020년 암호화폐 관련 사기일당 '마이애미 크루' 리더로 활동해 미국 법무부에 기소됐던 에스테반 카브레라 다 코르테가 타인의 개인정보를 사용해 은행과 암호화폐 거래소로부터 $400만 이상을 편취한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 법무부에 따르면 피의자는 타인의 개인정보로 암호화폐 거래소에 가입한 뒤 연동된 은행 계좌에 입금된 돈으로 암호화폐를 매수하고 이를 본인들이 통제하는 다른 암호화폐 지갑으로 출금했다. 그런 다음 미국 은행에 해당 암호화폐 주문은 자신이 한 게 아니라고 거짓말을 해 은행이 거래를 취소하도록 유도했다.

[크라켄 CLO "연준 결제 시스템 '페드나우' 접근권한 얻기 위해 노력 중"]

디크립트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의 최고법률책임자(CLO) 마르코 산토리(Marco Santori)가 최근 한 인터뷰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주도 실시간 지급결제 시스템 페드나우(FedNow)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모든 대형 금융 기관이 거래 정산에 사용하는 것 처럼 크라켄도 실시간 지급결제 시스템으로 페드나우(FedNow)를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은행과 동등한 위치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배후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유동성 스테이킹 플랫폼, 디파이 시장 최대 카테고리 등극"]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플립사이드(Flipside)에 따르면, 26일(현지시간) 기준 솔라나(SOL) NFT 마켓 텐서(Tensor)가 솔라나 NFT 마켓 전체 일일 거래량 중 약 51%를 점유하며 매직에덴을 제치고 사상 처음으로 시장 점유율 1위에 올라섰다. 이와 관련 우블록체인은 "텐서는 3월 초 투자 유치 소식을 발표하고 멀티체인 지원 NFT 마켓 블러와 유사한 전략을 채택한 뒤 거래량 및 활성 사용자 측면에서 뚜렷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4월 월간 활성 사용자 수는 20,000 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수치를 경신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외신 "컨센서스 2023 후원 기업 수, 지난해 대비 30곳 감소"]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유력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주최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컨퍼런스 컨센서스 2023의 후원 기업(스폰서) 수가 지난해 261곳보다 30곳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우블록 측은 "헤드 스폰서 및 거래소 스폰서 수가 크게 감소했다. 5블록 스폰서는 지난해 7곳에서 올해 4곳으로, 4블록 스폰서 수는 9곳에서 2곳으로, 3블록 스폰서는 20곳에서 8곳으로 감소했다. 특히 거래소 참가 기업 수 감소가 도드라졌다. 올해 후오비, 엘뱅크 등 일부 거래소들만 스폰서로 참여했다. 이는 지난해 바이낸스US, 바이비트, 코인엑스, 비트스마트, 비트겟 등 거래소가 참여한 것과 대조를 이룬다"고 설명했다.

[미 하원의원 3명, 규제 당국에 암호화폐 기업 디뱅킹 사태 관련 정보 요청]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회의 공화당 의원 3명이 25일(현지시간) 예금보험공사(FDIC) 의장 마틴 J. 그루엔버그, 연준 의장 제롬 파월, 통화감독청(OCC) 대행 마이클 쉬에게 서한을 보내 암호화폐 기업의 디뱅킹(de-banking, 은행의 특정 산업군 기업 계좌 동결 관행) 사태와 관련 규제 당국 간 비공개 협의 내용을 공유해달라고 요청했다. 위원들은 "연방 당국이 미국 디지털자산 생태계 혁신을 억제하기 위해 힘을 합치고 있다"며 "하지만 이들이 우려하는 사기 범죄 등은 암호화폐뿐 아니라 어디서나 발생하며 암호화폐는 본질적으로 위험하지 않다"고 말했다.

[서틱 "멀린 러그풀 관련 피해 배상 관련 커뮤니티 보상안 모색"]

전날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에 노출된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 멀린(Merlin)의 코드감사를 맡은 블록체인 전문 보안업체 서틱(CertiK)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멀린의 러그풀(먹튀)로 인해 도난당한 약 200만 달러 상당의 사용자 피해 자금을 복구하기 위해 커뮤니티 보상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서틱은 "초기 조사에 따르면, 피해를 야기한 악성 개발자는 유럽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를 추적하기 위해 법 집행 기관과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유력 암호화폐 미디어 우블록체인은 "서틱은 멀린에 대한 코드감사 자체가 문제의 소지가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고 있으며, zkSync와 피해 배상을 위한 보상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트윗도 삭제했다"고 지적했다.

[미쉐린, 자체 NFT 미쉐린 익스플로어 클럽 출시]

글로벌 타이어 제조 업체이자 세계 맛집 가이드북 미쉐린(미슐랭)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음식과 모험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을 위해 새로운 디지털 어드벤처로 자체 NFT 미쉐린 익스플로어 클럽(Michelin 3xplore Club)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해당 NFT 시리즈는 마스코트 캐릭터 비벤덤(Bibendum)의 디자인을 본따 총 5,000 개의 NFT로 구성된다.

[에스티피, STPT 토큰 공급 전량 언락 완료]

에스티피(STPT)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자체 토큰 STPT의 공급량 전부가 완전히 락업 해제됐다고 27일 발표했다. 이와 관련 에스티피 측은 "2019년부터 STPT 공급량은 정해진 릴리즈 일정에 따라 언락을 진행해왔다. 이제 STPT 토큰의 100%가 유통된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STPT는 현재 0.15% 내린 0.0482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alice@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