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불안정한 밈코인 열기에 바이낸스 인출 중단까지...비트코인 2만7300 달러 테스트 外

| 토큰포스트 기자

[불안정한 밈코인 열기에 바이낸스 인출 중단까지...비트코인 2만7300 달러 테스트]

불안정한 밈 코인(meme coin) 열기와 바이낸스 인출 중단 이슈에 암호화폐 시장이 하락폭을 확대했다. 비트코인은 한때 2만7330 달러 선, 이더리움은 1818 달러 선까지 밀려났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9일 새벽 비트코인은 2만7330 달러까지 내려갔다가 오전 8시 30분 기준 2만7692 달러 수준을 회복했다. 전날 대비 3.8% 하락폭을 보이고 있다. 이더리움도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지난 7일간 유지된 1900달러 선이 깨지면서 오늘 새벽 1818.63 달러까지 내려갔다. 현재는 전날 대비 3.34% 하락한 1848.9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킵, 오디널스 연동 및 BRC-20 토큰 전송 지원]

웹3 멀티체인 지갑 비트킵(BitKeep)이 비트코인 기반 오디널스 프로토콜 연동과 BRC-20 표준 기반 토큰 전송 등을 이달 내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에 따라 비트킵 사용자는 BTC 탭루트 주소 출금과 BRC20 토큰, BTC 기반 인스크립션 전송, 거래 등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맵프로토콜·워터드립캐피탈, 마포 서울 해커톤 개최]

옴니체인 상호운용 인프라 맵프로토콜과 워터드립캐피탈(Waterdrip Capital)이 마포 서울 해커톤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선정 프로젝트는 5월 18일에 발표되며, 해당 프로젝트는 5월 31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데모데이에 참가할 수 있다. 우승자는 총 50,000달러의 상금풀을 획득할수 있다.

[FTX 창업자 SBF, 법원에 검찰 기소 기각 요청]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창업자이자 전 최고경영자(CEO)인 샘 뱅크먼 프리드(SBF)가 8일(현지시간) 미국 맨해튼 연방법원에 검찰의 기소를 기각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SBF 측 변호사는 "검찰이 SBF에 제기한 몇 가지 혐의는 증거가 불충분하며, 검찰은 혐의 자체도 제대로 진술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맨해튼 검찰 측은 SBF가 FTX 산하 암호화폐 트레이딩 및 대출 업체 알라메다의 손실을 메우기 위해 사용자 자금을 유용하고, 또 유용한 자금을 개인 부동산 매입이나 정치인 로비에 사용했다며 SBF를 기소한 바 있다. 또 기소 내용 중엔 SBF가 중국 관료들에게 뇌물을 준 혐의도 제기됐다. SBF 측의 기소 기각 요청에 따라 맨해튼 검찰은 오는 5월 29일(현지시간)까지 답변을 제출해야 하며, 담당 판사 루이스 카플란(Lewis Kaplan)은 6월 15일 이에 대한 심리를 진행할 예정이다.

[홍콩 금융감독국 총재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가상자산 발전 이끌겠다"]

외신에 따르면 위웨이원 홍콩 금융감독국 총재는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가상자산을 발전시킬 것이며, 이 분야 감독을 허투루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분석 "특정 고래, 지난밤 $3,925만 ETH 및 $337만 ARB 바이낸스로 입금"]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비트코인엠버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9일 새벽 2시 10분 경 특정 고래 주소가 3,926만 달러 상당인 약 2.1만 ETH, 337만 달러 상당인 약 276만 ARB를 바이낸스로 입금했다. 이후 2시 30분부터 ETH 단기 하락세가 본격화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해당 고래 주소는 이미 한 차례 ARB 고점 매도를 한 이력이 있다. 지난 4월 16일 해당 주소는 약 994만 ARB를 바이낸스로 옮겨 매도했고, 이후 5,985 ETH를 바이낸스에서 출금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보이저 채권자, 최소 35.72% 채권 회수 가능...암호화폐·달러 중 선택]

파산한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보이저디지털(VGX)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채권자의 채권 회수 절차를 공개했다. 보이저 측은 "현재 13억 3400만 달러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채권단 청구권 규모의 약 75.68%에 해당된다. 보이저 채권자는 청구권의 약 35.72%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FTX 및 알라메다 우선권 분쟁 해결 여부, 쓰리애로우캐피털(3AC) 청산에서 채권자로서 회수하는 금액 등에 따라 채권자가 향후 추가로 자산을 회수할 수 있다. 추가 회수는 현금 또는 암호화폐로 지급된다. 채권자는 보이저 플랫폼을 통해 채권을 암호화폐로 출금하거나 30일 동안의 암호화폐 출금 기간이 지나면 USD로 채권을 출금할 수 있다. 플랫폼은 빠른 시일 내에 오픈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바이낸스US가 미국의 불확실한 규제 환경 영향으로 보이저 자산 인수 계약을 철회했다고 발표하면서 보이저 변호사들은 자체 청산 후 운영을 중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오르빗 마켓, BTC·금 하이브리드 파생상품 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옵션 기관 유동성 공급자 오르빗 마켓(Orbit Markets)은 비트코인, 금에 모두 투자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파생상품 출시를 발표했다. 집행 브로커(executing broker)로는 PI 디지털이 참여한다. 거시경제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기 위해 이 상품을 개발했다고 오르빗 마켓은 설명했다. 만기 시 USDT, XAUT(테더의 금 연동 토큰), 비트코인 중 하나로 정산된다.

[빗썸, 오늘 14시 원화마켓에 LDO 상장]

빗썸이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9일 14시 원화마켓에 리도다오(LDO, 라이도)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LDO는 현재 1.58% 내린 1.7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라이도, 폴리곤 네트워크서 신규 노드 오퍼레이터 5곳 추가]

암호화폐 유동성 스테이킹 플랫폼 라이도(LDO)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커뮤니티 투표와 오퍼레이터 레지스트리 온체인 업데이트에 따라 5곳의 신규 노드 오퍼레이터를 폴리곤(MATIC) 기반 라이도 프로토콜에 온보딩했다"고 밝혔다. 폴리곤 기반 라이도 프로토콜에 추가된 신규 노드 오퍼레이터는 각각 바운티블록, 비웨어랩스, 에버스테이크풀, 스마트스테이크, 스테이킨 등이다. 이에 따라 라이도의 폴리곤 체인 노드 오퍼레이터 수는 11 곳으로 증가했다.

[네오핀, 클레이튼 기반 P2E 게임 '드로우샵 킹덤 리버스' 온보딩]

블록체인 전문기업 네오핀(NPT)이 공식 채널을 통해 NFT 기반 P2E 게임 개발사 노레이턴시(Nolatency Limited)와 파트너십을 체결, 클레이튼 기반 P2E 게임 드로우샵 킹덤 리버스를 네오핀에 온보딩한다고 9일 발표했다. 네오핀은 드로우샵 킹덤 리버스의 온보딩과 함께 게임 내 유틸리티 토큰 JOY 관련 디파이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미 블록체인협회, SEC 커스터디 규칙 변경 제안에 반대]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미국 블록체인협회는 SEC(증권거래위원회)가 제안한 커스터디 규칙 변경으로 인해 암호화폐 투자가 급격히 위축될 수 있다며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협회는 SEC의 제안이 투자자문사의 직접적인 자산 수탁을 금지한다며, 이로 인해 중앙화된 중개기관이나 적격 수탁기관이 운영하지 않는 경우 스테이킹/트레이딩 같은 특정 활동이 제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월 SEC가 제안한 이 규칙에 대해 헤스터 피어스 SEC 위원은 암호화폐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우려하며 즉각 반대 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하지만 코인베이스, 비트고, 앵커리지 디지털, 제미니를 비롯한 메이저 암호화폐 플랫폼은 SEC의 제안을 지지했다. 이미 SEC가 제안한 내용을 준수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코인원, 오늘 14시 원화마켓에 ONIT 상장]

코인원이 공식 사이트를 통해 9일 14시 원화마켓에 온버프(ONIT)를 상장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입금은 9일 10시 오픈되며, 14시 매수, 14시 5분 매도 기능이 활성화된다.

[라이도, 5/12 ETH 언스테이킹 지원 V2 업그레이드 최종 투표]

암호화폐 유동성 스테이킹 플랫폼 라이도파이낸스(LDO)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V2 업그레이드에 대한 최종 온체인 투표를 5월 12일(현지시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투표는 15일 종료된다. 투표 결과에 따라 V2 업그레이드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스테이커는 프로토콜 내에서 직접 stETH를 ETH로 환전 및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 프로토콜 내 스테이킹 라우터 기능도 활성화된다. 현재 대기 중인 라이도의 ETH 언스테이킹 물량은 약 270,000 ETH 규모다

[나이키 RTFKT, '에어포스1' NFT 민팅 기한 연장]

나이키 산하 NFT 프로젝트 아티팩트(RTFKT)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한정판 디지털 에어포스1 운동화 민팅 기한을 기존 5월 8일에서 5월 11일 2시(한국시간)로 연장한다"고 밝혔다. 앞서 아티팩트는 나이키의 대표 운동화 모델 에어포스1를 기반으로 실물 연동 한정판 NFT 10종을 출시한 바 있다. 무라카미 드립(Murakami Drip)은 4182개, 에일리언(alien)은 60개 발행된다.

[코인베이스 임원 "바이낸스US, $1.5억 ETH 언스테이킹 정황"]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제품 전략 및 비즈니스 운영 부문 이사인 코너 그로건(Conor Grogan)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바이낸스US의 메인 스테이킹 지갑이 모든 스테이킹 풀에서 1.5억 달러 상당의 ETH, 250만 달러 상당의 MATIC 등 모든 스테이킹 자산을 언스테이킹하고 해당 물량을 콜드 스토리지 월렛에 이체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그는 "바이낸스US 웹사이트에서는 아직 스테이킹이 진행 중이라고 표시되어 있어 이 같은 온체인 활동의 의미는 확실하지 않다. 단순 지갑 교체일 수도 있지만, 현재 이더리움 언스테이킹 대기열을 감안할 때 이 같은 작업은 몇 주의 시간이 소요된다. 지갑 라벨링이 잘못됐을 수도 있지만, 해당 온체인 트랜잭션에서 대다수 자금이 바이낸스US 콜드 월렛으로 직접 옮겨졌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설명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1... 탐욕→중립 전환]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9 포인트 내린 51을 기록했다. 투심이 크게 위축되면서 탐욕 단계에서 중립 단계로 전환됐다. 지난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커브 "자체 스테이블코인 crvUSD 관련 컨트랙트 재배포 불필요"]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 프로토콜 커브(CRV)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자체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 crvUSD에 대한 추가적인 테스트를 수행했으며, 컨트랙트 재배포가 불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이어 커브 측은 "이번 테스트를 통해 흥미로운 교훈을 얻었다. 가장 큰 교훈은 가스 수수료 비용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포지션을 보유하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테스트를 위해 ETH를 덤핑해준 참여자들에게 감사하며, 더이상의 ETH 덤핑은 불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커브 측은 crvUSD 테스트 중 일부 스크립트에서 버그가 발견돼 컨트랙트를 재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티스트 지원 프로젝트 아트코인, 유니스왑 LP풀 설정 실수로 $33.1만 손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7일(현지시간) 탈중앙화 거래소 유니스왑 V3 버전에 유동성풀(LP풀)을 배치한 아티스트 지원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트코인(ART)이 LP풀 초기 설정 오류로 약 33.1만 달러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아트코인 측은 프리세일 ART 코인 물량의 유동성 제고를 위해 유니스왑 V3에 해당 LP풀을 상장시켰지만, 프로세스에 결함이 있음을 인지한 특정 트레이더가 프리 세일에서 0.01 ETH로 구매한 ART 물량을 전액 매도해 약 181 ETH를 챙겨간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해당 트레이더의 러그풀(내부자 먹튀) 의혹이 제기됐지만, 이어지는 해명에서 아트코인 측은 "유니스왑 유동성 풀 상장을 돕기 위해 2 명의 개발자가 투입됐지만, 의사 소통 오류로 잘못된 LP 값을 설정했다. 이후 이 같은 문제를 감지한 봇이 ETH 유동성을 고갈시켰다. 현재 프리 세일을 통해 조달한 자금 중 40 ETH가 남아있으며, 새로운 토큰 세일로 자금을 추가 확보하는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