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 리플 변호사 "SEC 완승 가능성 3% 미만...리플은 25%"]
리플 커뮤니티를 대변하는 존 디튼(John Deaton) 변호사는 SEC의 완승 가능성을 3% 미만으로 전망했다. 크립토로우(CryptoLaw) 설립자인 존 디튼 변호사는 3일(현지시간) 팟캐스트 방송 굿모닝 크립토에서 "미국 SEC가 리플을 상대로 완승을 거둘 확률은 3% 미만"이라고 내다봤다. 반대로 리플에 완전히 유리한 판결이 나올 확률은 25%라고 예상했다.
[dYdX, 운영 서브다오 V2 출범 제안 통과]
탈중앙화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dYdX(DYDX) 커뮤니티가 운영 서브다오 V2 출범 제안을 99.95% 찬성률로 통과시켰다. 해당 제안은 6월 19일(현지시간) 운영 서브다오 V1이 만기 도래함에 따라 V2를 출범하고 660만달러 트레저리 자금을 운영 서브다오에 할당하는 게 골자다.
[中 증시 블록체인 테마주 상승 마감]
중국 증시 A주 블록체인 테마주가 상승 마감했다. 중국 선전거래소 블록체인 50 지수는 0.41% 상승한 3342.96포인트를 기록했다. 블록체인 섹터는 0.93%, 디지털화폐 섹터는 0.54%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홍콩 금융관리국, 연내 스테이블코인 규제안 2차 대중 여론수렴]
중국 지통재경에 따르면 쉬정위(许正宇) 홍콩 금융관리국 국장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발 중이며 올해 안 2차 대중 여론을 수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웹3 발전 기회 활용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태스크포스를 구성할 것"이라고도 설명했다. 앞서 에디 유 홍콩통화청(HKMA) 총재는 "암호화폐 분야 발전을 예의 주시하며 관련 규제 이슈에 대한 국제적 논의에 참여하고 있다. 공개 협의 및 국제 표준 등을 검토한 뒤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일부 멀티체인 이용자 "크로스체인 전송 재개된 듯"]
중국 매체 오데일리에 따르면 일부 멀티체인(MULTI) 이용자들이 "멀티체인의 크로스체인 전송 지연이슈로 그간 미처리됐던 거래가 제대로 진행돼 자금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멀티체인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앞서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는 멀티체인을 통해 크로스체인 브릿징한 자산이 24시간이 넘도록 도착하지 않고 있다며 기능 장애를 문제삼았었다. 이에 대해 멀티체인은 "자오쥔(Zhaojun) CEO의 연락두절로 인해 서버 액세스 권한을 확보하지 못했으며, 일부 크로스체인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특정 스마트머니 월렛, 크립토닷컴에 825 BTC 입금]
블록체인 분석업체 룩온체인이 트위터를 통해 "약 한시간 전 특정 스마트머니(고수익의 단기차익을 노리는 기관이나 개인 투자자들이 장세 변화를 신속하게 파악해 투자하는 자금) 월렛이 크립토닷컴에 825 BTC(약 2220만 달러)를 입금했다. 해당 월렛은 지난 2021년 1월부터 낮은 가격에 BTC를 매수해 높은 가격에 매도하면서 3억 3000만 달러 상당의 수익을 올렸다. 현재는 2404.6 BTC를 보유 중이다"라고 밝혔다.
[모건스탠리 "ECB 7월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 전망"]
모건스탠리는 "ECB(유럽중앙은행)이 7월 3.75%로 금리인상 사이클을 끝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상위 10개 ETH 비거래소 주소, 3180만 ETH 보유...역대 최대]
샌티멘트에 따르면 상위 10개 비거래소 이더리움 고래 주소가 3180만 ETH(약 594.7억달러 )를 보유,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3500만 해킹 피해 아토믹월렛 "활성사용자 1% 미만 영향"]
약 3500만 달러 상당의 해킹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진 아토믹월렛이 트위터를 통해 "월 활성사용자의 1% 미만이 해킹으로 인한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아직 조사가 진행 중이며, 도난된 자금의 이체를 추적하고 막기 위해 주요 거래소나 블록체인 분석 업체에 피해자 주소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잭 도시, 친크립토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공개 지지]
트위터 공동 창업자 잭 도시(Jack Dorsey)가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후보 경선에 출마하는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Robert F. Kennedy Jr.)를 공개 지지하는 의사를 밝혔다. 그는 트위터에 케네디 주니어가 출연하는 영상을 올리면서 "그는 할 수 있고 할 것(He can and will)"이라고 적었고, 이에 한 사용자가 "지지하고 있는 것인가 예측하는 것인가"라 묻자 "둘 다"라고 답했다. 케네디 주니어는 올해 대선 출마를 선언한 뒤 줄곧 암호화폐 친화적인 발언을 해온 바 있다. 미국 폭스뉴스의 지난달 27일 여론조사에 따르면 케네디 주니어는 민주당 예비선거 유권자의 16% 지지를 받고 있다.
[분석 "4월 이후 거래소 암호화폐 유입량, 스테이블코인보다 많아져"]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가 "4월 이후 암호화폐 수요가 상당히 약화됐다"고 분석했다. 1분기에는 거래소 스테이블코인 유입량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보다 많았지만, 시장이 조정을 받으면서 지금은 BTC와 ETH가 더 많이 유입되고 있다는 것이다. 글래스노드는 "미국/아시아 비트코인 보유 비중은 지난 2년간 극적인 변화를 보였다. 미국 투자자는 2022년 6월보다 11% 적은 BTC를 보유하고 있고, 아시아 지역 거래시간 대에 활동하는 투자자의 BTC 보유량은 9.9% 늘었다. 2020~2021년 상승 사이클과는 다른 양상"이라고도 덧붙였다.
[바이낸스 "자오창펑 후임자 블룸버그 보도 추측에 불과"]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의 후임자로 리차드 텅 미국 외 지역 시장책임자가 유력하다는 블룸버그 보도에 대해 바이낸스 측은 오데일리에 "블룸버그의 추측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분석 "5월 디앱 산업, 전월 대비 10% 성장"]
크립토포테이토가 디앱레이더 보고서를 인용,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디앱) 산업이 5월 9.97% 성장했다고 전했다. 일일 평균 고유 활성 지갑 수(dUAW)는 1,967,051개를 기록했으며 이는 게임 부문과 탈중앙화 금융(DeFi)의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디앱 산업에서 게임 비중은 36%를, 디파이 비중은 31%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애널리스트 "수이, PoS 연간 발행량 4.05억 SUI 예상"]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비트코인엠버가 트위터를 통해 "SUI 홀더들은 언락 일정 외에 지분증명(PoS)을 통한 발행량에도 주목해야 한다. 수이(SUI) 네트워크는 에폭당(약 24시간 소요) 111만 SUI를 발행하고 있다. 수이 메인넷 출시 후 현재 53번째 에폭이며 누적 발행량은 5888만 SUI다. 현재 73억 SUI가 스테이킹돼 있는데 이는 프로젝트 측, 투자자, 재단의 언락 물량이다. 연간 발행량은 4.05억 SUI이며 이는 OKX/쿠코인 퍼블릭 세일 수량과 맞먹는다"고 분석했다.
[美 전문가 "경기 침체 징후 두 가지…증시 연말까지 22% 하락"]
미국 투자기관 파이프샌들러의 마이클 칸트로비츠 전략가는 "미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을 보여주는 두 가지 징후가 있다"며 "경기 침체 속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연말까지 22% 하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략가는 "지난 1960년대부터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12차례의 긴축 주기를 살펴본 결과, 8번은 경기 침체로 끝났고 나머지 4번은 연착륙으로 끝났다"고 돌아봤다. 동시에 "모든 경기 침체의 결과에서 두 가지 변수가 일관되게 존재했다"며 "은행이 대출 기준을 강화했고, 식품 및 에너지 인플레이션이 5% 이상 치솟았다"고 전했다. 그는 "두 가지가 현재 주기에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분석 "BTC 옵션 풋/콜 비율 0.47...하락 대비 투자자 줄어"]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거래소 비트코인 옵션 풋/콜 비율이 0.47로 하락한 것을 근거로 BTC가 27000달러 이상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인데스크는 "거래소의 비트코인 옵션 풋/콜 비율이 하락한 데에는, 미국 부채 한도 인상 법안 통과가 영향을 미쳤다"며 "하락을 대비하는 투자자가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투자자의 심리를 나타내는 풋/콜 비율은 6월 초 1.34에서 현재 0.47로 하락한 상황이다. 단, 비트불 캐피털의 조 디파스콸레(Joe DiPasquale)는 "6월 14일 예정되어있는 FOMC 회의까지 BTC 가격은 조정, 횡보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