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 '이더리움' 비율, 2개월來 최저 기록...비트코인 현물 ETF 영향]
비트코인(BTC)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이후 시장의 낙관론이 높아지는 가운데, 비트코인 대비 이더리움 비율(ETH/BTC)이 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23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시세 및 차트 정보를 제공하는 트레이딩뷰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0.0615 BTC 까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비트코인은 지난 한 달 동안 10%가까이 상승한 반면 이더리움은 1% 상승에 그친 것이다.
[비트코인 투자, 알트코인 포트폴리오 보다 높은 수익률 기록]
비트코인(BTC) 투자가 알트코인 투자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23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리서치 기관 K33 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만 투자하는 것이 알트코인 포트폴리오 보다 더 나은 성적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2018~2019년 약세장 당시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 시가총액 차트를 분석한 결과"라며 "비트코인은 2018년 말 3250 달러(한화 약 422만원) 최저 수준을 기록한 이후 회복세로 전환, 6500 달러(한화 약 844만원)선에서 지지선을 형성했다"고 설명했다.
[크립토페이 "EU 카드결제 제공업체 라이선스 반납... 출금 권장"]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지갑 및 체크카드 서비스 제공 업체 크립토페이(Cryptopay)의 EU 카드결제 서비스 제공업체 UAB페이르넷(UAB PayrNet)이 EMI(전자화폐기관) 라이선스를 반납했다. 크립토페이는 리투아니아로부터 EMI 라이선스를 획득한 UAB페이르넷을 통해 EU 사용자에게 신용카드 서비스를 제공했다. 크립토페이는 고객들에게 이메일을 발송, 관련 내용을 전달하며 "앱 계정에 보관된 자금은 안전하다. 다만 EMI 라이선스가 취소된 만큼, 관련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EU 신용카드 보유자의 경우, 카드에서 자금을 가능한 빨리 사용, 이체 혹은 출금할 것을 권장한다"고 전했다.
[OPNX, 더블록 창업자 마이크 두다스에 명예훼손 소송 제기]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탈(3AC)의 공동 창업자들이 창업한 암호화폐 거래소 OPNX가 미디어 더블록 창업자이자 벤처캐피탈리스트 마이크 두다스(Mike Dudas)를 상대로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다. 뉴욕주 법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OPNX는 마이크 두다스가 지난 2023년 2월~3월, 즉 OPNX 출시 소식이 발표될 즈음 거래소에 대한 명예훼손 댓글을 게시했다고 주장했다. 문서에는 마이크 두다스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명예훼손 발언을 했는지 명시돼 있지 않다.
[美 CFTC, 로맨스 스캠 기업 제소...130만 달러 유용 혐의]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130만 달러를 유용한 혐의로 로맨스 스캠 기업 저스트비 인터내셔널 옥션(Justby International Auctions)을 제소했다. CFTC는 "최소 29명의 고객이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해당 기업에 자금을 이체했으나, 저스트비의 CEO인 주쿤웬(Cunwen Zhu)은 이를 개인적 용도로 사용했으며 자금을 관계자들에게 대부분 이체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들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해 피해자들에게 접근, 상대방에게 연애 감정을 심은 뒤 고객 계좌 개설을 유도했다"고 설명했다.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 "CBDC 발행, 중앙은행의 의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프랑수아 발레로이 드 갈하우(François Villeroy de Galhau)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가 CBDC 발행은 우리의 의무라고 말했다. 그는 "CBDC 사용 여부는 선택사항이지만, 전자상거래에 중앙은행 자금 사용을 허용한다는 이점이 있다"며 "디지털 유로와 관련해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한 무언가를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애널리스트 "BTC, 바닥 찍었다... 2025년까지 420% 상승 전망"]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지난해 5월 BTC 하락을 예측했던 암호화폐 전문 익명 애널리스트 데이브더웨이브(dave the wave)가 "비트코인이 이미 바닥을 찍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제 문제는 비트코인이 얼마나 더 오를 수 있느냐이다. 2025년까지 현재 가치에서 420%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측한다"고 말했다. 그는 "2018년 이후 나타난 로그성장곡선(LGC) 매개변수 내에서 비례적으로 상승할 경우 2025년까지 비트코인 가격이 157,512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비트코인은 27042달러, 0.382 피보나치 되돌림 수준에서 바닥을 찍었다. 이는 다년간 비트코인 상승세를 이끌었던 2016년의 가격 패턴과 유사하다"고 강조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36% 오른 30,158.3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LINK 홀더 82.9% 손실 상태]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분석 플랫폼 인투더블록(IntoTheBlock)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체인링크(LINK) 홀더 중 82.9%가 손실 상태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블랙록 임원 "기관 투자자의 디파이 시장 진입, 디지털 신원 공개 선행 필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블랙록의 전략 파트너십 책임자 조셉 샬롬(Joseph Chalom)이 "대형 기관 투자자의 탈중앙화 금융(DeFi) 시장 참여를 위해서는 거래 상대방이 누군지 알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인프라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전략이 암호화폐의 프라이버시 정신과는 모순될 수 있지만, 블랙록과 같은 글로벌 자산 운용사에게 거래 상대방이 누군지 식별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징역형을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며 "다만, 신원 공개 문제가 단기간에 해결될 것이라고 낙관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7/3 호날두 두번째 NFT 컬렉션 출시]
바이낸스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축구선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두번째 NFT 컬렉션이 오는 7월 3일 14시(UTC 기준) 출시된다고 발표했다. 판매는 48시간 동안 진행된다. 컬렉션은 슈퍼슈퍼레어(SSR), 슈퍼레어(SR), 레어(R), 일반 등 네가지 등급으로 분류되며, 20개의 고유한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총 NFT 수는 29,327개다. SSR 등급의 NFT는 경매를 통해 판매되며, 이중 1개는 향후 경품 상품으로 사용될 예정으로 경매를 진행하지 않는다. 앞서 2022년 11월 바이낸스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NFT 컬렉션을 출시한 바 있다.
[커스토디아 CEO “암호화폐 산업의 90%, 없어지거나 퇴출되어야"]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암호화폐 은행 커스토디아(Custodia)의 케이틀린 롱(Caitlin Long) CEO가 인터뷰를 통해 암호화폐 산업의 90%가 없어지거나 시장에서 퇴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어떤 저명한 인물과 토론한 적이 있다. 당시 나는 산업의 90%가 사라져야 한다고 말했고, 상대측은 99%가 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90%이든 99%이든 요점은 사라져야 할 형편없는(Crap) 것이 많다는 사실"이라며 "나는 레버리지 플러시가 끝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정확한 분리를 보장하는 규제된 거래소가 없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애널리스트 "BTC 도미넌스 상승 추세 지속...알트코인은 약세"]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마이클 반 데 포페(Michaël van de Poppe)가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알트코인은 약세에 위치해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다음 저항선인 $38000~$42000까지 도달하면 알트코인도 안도랠리를 시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리서치 "BTC 투자, 알트코인 포트폴리오 보다 수익률 높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리서치 기관 K33 리서치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만 투자하는 것이 알트코인 포트폴리오 보다 더 나은 성적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2018~2019년 약세장 당시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 시가총액 차트를 분석한 결과했다"며 " 비트코인은 2018년 말 3250달러 최저 수준을 기록한 이후 회복세로 전환, 6500달러선에서 지지선을 형성했다. 반면 알트코인은 약세장 기간 저점 부근에서 머물렀으며, 비트코인이 전 고점인 2만 달러를 돌파한 후에야 추세가 반전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CEO "탈중앙화 프로토콜 기반 글로벌 슈퍼앱 꿈꾼다"]
파이낸셜타임즈에 따르면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이 거래소가 글로벌 슈퍼앱이 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슈퍼앱(Super App)은 단일앱과 달리 금융 서비스뿐만 아니라 음식 배달, 티켓 예매, 온라인 쇼핑, 게임 등 라이프스타일 서비스를 단일 플랫폼 내 통합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앱이다. 그는 "코인베이스가 웹3 경제에 도움이 되는 슈퍼앱이 되는 것과 관련된 비전을 세웠다. 이는 탈중앙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TrueUSD "TUSD 자금 안전... 프라임 트러스트 예금정지 영향 받지 않았다"]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TrueUSD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TUSD 자금은 안전하다. 프라임 트러스트에 대한 익스포저(노출)가 없으며, 예금 정지 조치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TUSD의 모든 자금은 안전하니 안심하라"고 전했다. 앞서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비트고(Bitgo)는 프라임 트러스트(Prime Trust) 인수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프라임 트러스트는 미국 네바다 금융기관 부서의 명령에 따라 모든 법정화폐 및 암호화폐 예금을 중단, 법정화폐 인출도 중단한다.
[QCP캐피털 "블랙록 등, 현물 BTC ETF 승인 가능성 낮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싱가포르 소재 암호화폐 트레이딩 업체 QCP캐피털이 "비트코인 등 암호화페 분야에 기관의 참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금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감안할 때 블랙록 등의 현물 BTC ETF가 승인될 가능성은 여전히 낮다"고 말했다. QCP캐피털은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이 있는 한 단기간 내에 현물 ETF 출시 승인이 이뤄질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다. 다만, 자산운용분야에서 기관의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투자가 중요해지고 있으며, 향후 몇 달 혹은 몇 년 안에 진전을 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파운데이션 "코드 취약점, 지난 3월 이미 해결... 컨트렉트 안전"]
디파이라마 창업자 겸 개발자 0xngmi가 NFT 거래 플랫폼 파운데이션(foundation)에는 치명적인 코드 취약점이 존재한다고 지적한 가운데, 파운데이션 측이 "해당 문제는 이미 해결됐다"고 전했다. 파운데이션 CTO인 엘피조 최(Elpizo Choi)는 해당 트윗에 답글을 달며 "지난 3월 6일 이전 해당 문제를 해결했다. 이후 배포된 컨트렉트는 모두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0xngmi는 해당 문제점을 지적하며 "나쁜 소식은 6개월 전에 해당 문제를 파운데이션 측에 제보하고 해결책까지 제시했지만 아직 어떠한 조치도 없었다는 것"이라고 덧붙인 바 있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