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CME 페드워치 "연준 7월 기준금리 25bp↑ 가능성 76.9%"]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23일(현지시간) 기준 트레이더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7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5bp(베이비스텝) 인상할 확률을 76.9%로 점치고 있다. 또 트레이더들은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을 23.1%로 내다봤다. 최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연내 두 차례의 추가 금리 인상을 공식적으로 재확인한 바 있다. 파월은 "인플레이션을 2%로 낮추려면 아직 갈 길이 멀며, 지난 주 조심스럽게 금리를 동결한 것은 긴축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었다"며 연준 의원들 대부분이 금리 인상을 더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연준의 비공식 대변인으로 불리는 닉 티미라오스 월스리트저널 기자 또한 파월이 준비한 증언에 대해 "지난 주 기자회견 성명 대비 새로운 내용은 거의 없다"고 전했다.
[프랑스 최대 은행 자회사, 당국에 '디지털 자산 수탁업체' 등록]
프랑스 최대 은행 '크레딧아그리꼴(Crédit Agricole)'과 스페인 대형 은행 '산탄데르(Santander)'의 자산 서비스 자회사 CACEIS 은행이 프랑스 금융 당국에 정식 '암호화폐 수탁 업체'로 등록했다. 프랑스 금융시장감독청(AMF) 공식 사이트에 따르면 CACEIS 은행은 20일자(현지시간)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 수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자산사업자(DASP)'로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CACEIS는 4조6000억 유로(한화 약 6547조원)의 자산을 수탁하는 대형 금융기관으로, 보험사, 연기금, 사모펀드 같은 자산운용사에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며, 2021년부터 암호화폐 규제 허가 방안을 모색해왔다고 알려졌다. 크레딧에그리꼴이 지분 69.5%, 산탄데르 그룹이 30.5%를 보유하고 있다.
[위믹스파이, 원더 스테이킹 서비스 출시]
위믹스(WEMIX)팀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위믹스3.0 기반 디파이 서비스 '위믹스파이(WEMIX.Fi)'가 원더 스테이킹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위믹스는 "이를 위해 거버넌스 의결 및 거버넌스 컨트랙트를 업데이트 했다. 원더 스테이킹은 위믹스 거버넌스에 참여하고 있는 NCP에게 WEMIX를 위임하고, NCP의 지분에 따라 블록 보상(PMR)을 분배하는 것이 골자"라고 설명했다.
[짐 크레이머 "나는 암호화폐 반대론자 아냐"]
CNBC 매드머니 진행자 짐 크레이머(Jim Cramer)가 트위터를 통해 "나는 암호화폐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암호화폐를 잘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줬으면 좋겠다. 나는 투자자들의 돈을 훔쳐서 돌려주지 않는 가짜(bogus) 암호화폐와 사기에 반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앞서 "바이낸스와 거래하지 않을 것", "BTC 가격은 조작됐다",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서둘러 자금을 인출해야 한다" 등의 발언을 한 바 있다.
[CME 페드워치 "연준 7월 기준금리 25bp 인상 가능성 76.9%"]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23일(현지시간) 기준 트레이더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7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5bp(베이비스텝) 인상할 확률을 76.9%로 점치고 있다. 또 트레이더들은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을 23.1%로 내다봤다. 최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연내 두 차례의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했었다.
[빗썸 7/10 GO 상장폐지]
빗썸은 7월 10일 15시 고체인(GO) 거래지원을 종료한다고 공지했다. 투자유의 지정 기간 중 지정 사유에 대한 재단의 개선사항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재단이 제출한 소명자료만으로는 투자유의지정 사유가 해소되지 않아 거래지원 종료를 결정했다.
[분석 "TUSD 유통량 급증 시 BTC 랠리 경향"]
글래스노드 시니어 연구원 CryptoVizArt는 "2018년 이후 TUSD 유통량이 일주일에 걸쳐 $10억씩 급증한 경우가 3차례 있었다. 각각 2021년 5월, 2023년 2월, 2023년 6월이다. 이때마다 비트코인은 얼마 지나지 않아 랠리를 시작했다"고 트윗했다.
[라이트닝 데브 킷, 라이트닝 노드 라이브러리 'LDK 노드' 출시]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 관련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 라이트닝 데브 킷(Lightning Dev Kit)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사용자가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라이트닝 노드 라이브러리 'LDK 노드'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데브 킷 측은 "LDK 노드는 라이트닝 프로토콜의 완전한 구현이다. 간단한 인터페이스와 통합된 온체인 지갑을 통해 개발자는 보다 쉽게 빠르게 라이트닝 노드를 구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더리움 재단, 7/31 '영지식 증명' 교육프로그램 진행]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재단이 오는 7월 31일부터 영지식 증명을 주제로 교육 프로그램(Summer Contribution Program)을 진행한다. 참가 대상은 한국, 일본, 대만 학생이다.
[홍콩증시 상장 ETH 선물 ETF 규모 1000만 홍콩달러 기록]
홍콩 CSOP자산운용의 CSOP 이더리움(ETH) 선물 ETF 규모가 최근 종가 기준 1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아울러 CSOP의 비트코인(BTC) 선물 ETF 규모는 2814만 홍콩달러로 집계됐고,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3.71% 상승한 13.150 홍콩달러를 기록했다.
[a16z 공동 창업자, 암호화폐 관련 서적 발간]
실리콘 벨리 유명 VC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 파트너이자 암호화폐 투자 최고 의사 결정자인 크리스 딕슨(Chris Dixon)이 트위터를 통해 1년 동안 집필한 웹3 관련 저서 'Read Write Own: Building the Next Era of the Internet'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해당 저서에는 암호화폐에 대한 각국 정책과 규제를 비교 분석 결과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문제 해결 사례 등이 담겼다.
[홍콩 재정사 사장 "암호화폐 기업, 정부 규제 아래 두는 것이 핵심"]
천마오보(陳茂波) 홍콩 특구 정부 재정사(司) 사장(국장)이 현지 미디어 대공보(大公報)와의 인터뷰를 통해 "가상자산 분야에 있어 정부가 가장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은 투자자 보호와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업체를 적절한 규제 아래 두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는 지난해 가상자산 산업 육성을 위한 대대적인 정책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가상자산 생태계 발전을 위해 홍콩 정부가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 표명이었다. 우리는 금융안정성과 보안, 그리고 투자자의 이익을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폐 기업들을 제도권에 편입시키는 것에 힘을 쏟고 있다"고 설명했다.
[1개 이상 BAYC 보유 월렛 수 감소세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난센이 "1개 이상의 BAYC NFT를 보유하고 있는 고유 월렛 수가 지속 감소 중이다. 2021년 10월 수준이다. 특히 1년 이상 보유를 지속하던 39개 월렛이 최근 7일간 보유한 NFT를 모두 판매했다"고 전했다.
[블록체인 탐정 "프랑스 경찰, 러그풀 의혹 NFT '애니문' 수사 착수"]
블록체인 탐정 잭XBT(ZachXBT)가 트위터를 통해 프랑스 경찰이 630만 달러 규모의 러그풀 혐의를 받는 NFT 프로젝트 애니문(Animoon)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앞서 잭XBT는 지난해 6월 "애니문이 막대한 경품을 미끼로 9,999개의 NFT를 개당 0.2 ETH에 판매하고는 구매자들에게 아무런 상품도 지급하지 않았다"며 러그풀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바이낸스, SEC 소송 담당 변호사로 전 법무부 차관보 선임]
블룸버그에 따르면 바이낸스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을 담당할 변호사로 전 법무부 차관보인 켄달 데이(Kendall Day)를 선임했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는 "미국 법무부는 바이낸스를 조사한 바 있으며, 현재 바이낸스와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형사 기소일 것"이라고 부연했다.
[블랙록 임원 "자산 토큰화, 향후 암호화폐 생태계서 큰 비중 차지할 것"]
더블록에 따르면 블랙록의 전략 파트너십 책임자 조셉 샬롬(Joseph Chalom)이 "자산 토큰화는 예상보다 매우 더디게 진행될 수 있지만, 향후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그는 "블랙록은 자산 토큰화, 그리고 서클과의 파트너십에 무게를 두고 여러 고객들과 대화하고 있다. 우리는 업계가 특정 자산을 중심으로 뭉치고, 실제 사용사례를 만들어내는데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 6월 급여로 약 5.7만 WEMIX 매입]
위믹스(WEMIX)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가 23일 급여로 57,191.04 WEMIX를 추가 매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장 대표의 17번째 WEMIX 매입으로, 그는 지난해 4월부터 급여 및 위메이드 지분 배당금으로 WEMIX를 정기적으로 매입하고 있다. 현재 장 대표는 코인원 거래소 지갑에 448,383.99 WEMIX, 지닥 거래소 지갑에 190,080 WEMIX, 위믹스 월렛에 100,000 WEMIX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장 대표는 1,102,870,480원으로 총 738,463.99 WEMIX를 매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