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뉴욕 브리핑] "마이크로스트래티지 BTC 매수 발표 후 단기적으로는 BTC 하락" 外

| 양소희 기자

["마이크로스트래티지 BTC 매수 발표 후 단기적으로는 BTC 하락"]

K33 분석 결과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BTC 매수 발표 후 BTC 단기 하락이 뒤따르는 경향이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BTC 매입을 시작한 2020년부터 추적한 결과, BTC 매수 발표 당일(미국시간 기준) BTC는 평균 2% 하락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K33 관계자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발표 후 단기 하락세는 다음 날 상승 전환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간 기준으로는 평균적으로 약간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오늘 12,333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발표했다.

[아고릭, 인터체인용 스테이블코인 IST 출시]

블록웍스에 따르면 코스모스(ATOM) SDK를 개발하는 오픈소스 개발업체 아고릭(Agoric)이 인터체인용 스테이블코인 IST를 출시한다. 블록웍스 리서치의 애널리스트 데이비드 로드리게스(David Rodriguez)는 "코스모스를 담보로 IST를 발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인터체인의 기축통화로서 코스모스의 역할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용자들은 USDC, USDT, DAI 등 스테이블코인을 볼트에 예치하고 1대 1 비율로 IST를 발행할 수 있다. 볼트는 현재 아고릭 커뮤니티에서 선출된 위원회가 감독하고 있으며, 위원회는 새로운 담보 평가 및 승인과 IST의 페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암호화폐 투자사기 전 월가 트레이더, $5000만 벌금형]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따르면 미국 뉴욕 남부지법이 암호화폐 사기 혐의를 받고 있는 전 월스트리트 트레이더 마이클 애커맨(Michael Ackerman)에 5000만 달러 이상의 벌금형을 내렸다. 사기 피해자에 대한 2700만 달러 배상금과 2700만 달러 민사상 벌금을 청구한 것이다. 마이클 애커맨은 암호화폐에 투자해 수익을 나눠주겠다며 투자자 150여 명으로부터 3,500만 달러를 편취한 혐의로 지난 2020년 체포됐다.

[체인링크, 셀로 메인넷서 데이터 피드 지원]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탈중앙화 블록체인 오라클 네트워크 체인링크(LINK)가 셀로(CELO) 메인넷에서 데이터 피드를 지원한다. 이에 따라 셀로 개발자들은 디앱 개발 등에 체인링크가 제공하는 외부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고 체인링크 측은 설명했다.

[파월, 추가 금리 인상 재차 시사]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 총재, 앤드루 베일리 잉글랜드은행 총재,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와의 ECB 포럼 패널 토론에서 "연준은 통화정책 추가 긴축을 예상한다. 우리는 오랫동안 긴축 기조를 유지한 건 아니다"라며 올해 다수 위원들은 2차례의 추가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라가르드 ECB 총재는 "현재로서는 금리 인상 중단을 고려할 만큼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고 있다는 충분한 실질적 증거를 보지 못했다. 7월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국제금융공사 조성 탄소배출권 투자 펀드, 첫 토큰화 탄소배출권 거래 완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세계은행(WB) 산하기관 국제금융공사(IFC)가 조성한 탄소배출권 투자 펀드 '탄소 기회 펀드(Carbon Opportunities Fund)'가 치아네트워크(XCH)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화된 탄소배출권 첫 거래를 완료했다. 일본 투자사 스미토모의 미국 자회사 스미토모 아메리카가 토큰화 탄소배출권을 구매했다. 작년 8월 국제금융공사는 탄소기회펀드를 조성하고 치아네트워크와 협력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분석 "ERC20 토큰 56%, 메이저 거래소 상장 당시 내부자 거래 의혹"]

암호화폐 분석업체 솔리더스 랩스는 ERC20 토큰의 56%가 3대 중앙화 거래소(CEX)에 처음 상장됐을 때 내부자 거래가 있었던 것으로 의심된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업체는 234건의 ERC20 토큰 상장 사례를 조사했는데, 조사 대상에 포함된 411건의 거래가 100명 이상의 내부자와 연관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EX 상장 전 일부 내부자들이 DEX(탈중앙 거래소)에서 상장 예정 토큰을 매수한 뒤 CEX 상장 후 토큰을 팔아치웠다는 지적이다. 이를 통한 수익은 약 $2400만으로 추정된다.

[메이플파이낸스, 웹3 기업 대상 다이렉트 대출 서비스 출시 예정]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메이플파이낸스(MPL)가 메이플 다이렉트라는 다이렉트 대출 서비스를 오는 7월 출시한다고 밝혔다. 블록파이, 제네시스 같은 중앙화 대출기관이 파산하면서 대출 시장 공백이 생겼기 때문이다. 타깃은 웹3 기업과 암호화폐 프로젝트다. 메이플 다이렉트 서비스는 별도 대출 풀에서 작동되고, 델라웨어에 본사가 있는 자회사가 풀 위임자 역할을 담당한다.

[렛저, 기관급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하드월렛 제조사 렛저가 기관급 거래 플랫폼 렛저 엔터프라이즈 트레이드링크 네트워크(The Ledger Enterprise Tradelink network)를 출시했다. 렛저 측은 "커스터디 업체, OTC 브로커, 거래소를 연결해 거래소에 예치금이 없어도 거래가 가능하다. 거래 리스크가 없는 게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크립토닷컴, 비트스탬프, 후오비, 윈터뮤트, 코마이누 등이 파트너로 참여한다.

[남미 최대 이커머스 기업, 팍소스 스테이블코인 USDP 결제 지원]

더블록에 따르면 팍소스가 남미 최대 이커머스 기업 메르카도 리브레(Mercado Libre)와 협력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파트너십에 따라 메르카도 결제 플랫폼 메르카도 파고는 팍소스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P 결제를 지원한다.

[워너뮤직-폴리곤 랩스 파트너십...음악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가동]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회사 워너뮤직그룹(WMG)은 폴리곤 랩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폴리곤 네트워크에 차세대 블록체인 음악 프로젝트 및 디앱 온보딩을 목표로 음악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시작할 계획이다. 선정된 프로젝트는 WMG와 폴리곤 랩스로부터 재정적 후원 및 전문가 멘토링, 네트워킹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보고서 "BTC 범죄 악용 사례 급감"]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블록체인 분석 업체 TRM랩스(TRM Labs)가 28일(현지시간) '불법 암호화폐 생태계 보고서'를 발표하고, 비트코인(BTC)을 사용한 사이버 범죄가 크게 줄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불법 암호화폐 거래에서 BTC 점유율은 19%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 2016년 점유율 97%에서 크게 감소한 수치다. 또 2016년 해커들의 불법 자금 조달에 사용된 암호화폐 중 BTC가 3분의 2를 차지했지만, 지난해에는 3% 미만에 그쳤다. 지난해 크로스체인 브릿지 해킹으로 인한 20억 달러

soheeyang@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