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반등에도 멈춰 선 '스테이블코인 시장'...시총·거래량 약세]
최근 비트코인이 연중 최고점에 도달하는 등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반등했지만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회복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3일(현지시간) 신용평가사 피치(Fitch)는 스테이블코인의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4월 2000억대에 달했던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올초 1380억 달러(한화 약 179조7450억원)까지 감소했으며, 현재 1280억 달러(한화 약 166조7072억원) 수준까지 줄어든 상태다.
[리서치 "8종 게임, 오아시스 온보딩 예정"]
쟁글 리서치는 최근 IVS 2023 Oasys 행사에서 게임사들이 일본 게임 특화 블록체인 프로젝트 오아시스(OAS)에 온보딩할 예정이라고 밝힌 게임 IP 목록을 정리했다. △컴투스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 △유비소프트 '챔피언스 택틱스: 그리모리아 크로니클 △더블점프도쿄 '센고쿠시타이센' △DMM/DM2C STudio '코인무스메' '칸파니 걸즈 RE:BLOOM' '카미 야구라' △Enish 'De:Lithe 라스트 메모리즈' △Blocksmith 'QAQA 앱'.
[스타크넷, 크로스체인 브릿지 예치 암호화폐 규모 10만 ETH 돌파]
듄애널리틱스 데이터에 따르면 zk 롤업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스타크넷(STRK)의 크로스체인 브리지 예치금 규모(Total Value Bridged, TVB) 규모가 10만 ETH(2억 달러 상당)를 돌파했다. 현재 스타크넷 브릿지 사용자 수는 535,013명이다. 스타크넷 외 주요 레이어2 확장성 네트워크인 아비트럼(ARB)의 TVB는 2,621,430 ETH, 옵티미즘(OP) 554,816 ETH, zkSync 906,329 ETH 등을 기록 중이다.
[메이커다오 "대출 프로토콜 스파크, 레이어2 확장할 것"]
메이커다오(MakerDAO)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자체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스파크(Spark)를 멀티체인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다양한 레이어2 네트워크에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파크는 아베(Aave) v3 소프트웨어 포크 프로젝트로, 지난 5월 출시됐다.
[빗썸, 5일 10시 30분 ZIL 입출금 일시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빗썸이 조금 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5일 10시 30분 질리카(ZIL)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리플 임원 "英 암호화폐 규제안, 이정표적 성과로 남을 것"]
크립토뉴스닷넷에 따르면, 리플(XRP) 고위 임원인 앤드류 휘트워스(Andrew Whitworth) 및 수잔 프리드먼(Susan Friedman)이 최근 공식 채널을 통해 "암호화폐를 규제 대상 금융 상품으로 분류하는 내용의 영국 금융 서비스 및 시장법(FSMB) 개정안은 글로벌 암호화폐 규제에 중요한 이정표적 성과로 남을 것"이라며 "영국의 이러한 접근방식은 미국이 점점 더 암호화폐 산업 규제에 뒤처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들은 "영국은 암호화폐 허브로 거듭나겠다는 약속을 단계적으로 이행하고 있다. 특히 FSMB 법안에 암호화폐와 스테이블코인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규제 당국이 주도적으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마련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웹3 스타트업 에어체인, 印 서뱅골주 정부 기관과 파트너십 체결]
포브스인디아에 따르면, 웹3 스타트업 에어체인(Airchains)이 공식 채널을 통해 인도 서뱅골주 뉴타운 콜카타 개발청(NKDA)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에어체인은 NKDA에 블록체인 기반 토지 소유권 등록 및 변경 시스템을 지원할 계획이다. 해당 시스템은 폴리곤 슈퍼넷 상의 NFT를 통해 토지 등록 및 변경 사항을 추적할 수 있는 동시에 기록 데이터의 보안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게 에어체인 측의 설명이다.
[골드만삭스 "6월 거래소 BTC·ETH 보유량 2020년 11월 이후 가장 적어"]
골드만삭스가 최신 보고서에서 지난달 거래소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보유량은 감소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규제와 범죄 등 위험에서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출금한 영향이라고 해석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6월 거래소 BTC 보유량은 4% 감소해 지난해 12월 수준에 근접했으며, 강세장이 시작되기 직전인 2020년 11월 이후 가장 적은 규모를 기록했다. ETH의 경우 2018년 5월 이후 가장 적었다. 단, 6월 채굴자들이 거래소로 입금한 BTC는 지난 5월보다 2배 가량 증가한 9900만 달러에 달했다. 한편 BTC, ETH 네트워크 활동, 일평균 신규 주소 수 등 온체인 지표는 긍정적이었다.
[코인원, 5일 14시 STG 원화 마켓 상장]
코인원이 조금 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스타게이트 파이낸스(STG)를 5일 14시 원화 마켓에 신규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5일 10시, 출금은 5일 14시부터 지원한다.
[알트탭캐피털 임원 "거래소 고객 자산 분리 보관, 신탁사 정의 명확해야"]
크라우드펀드인사이더에 따르면, 싱가포르 통화청(MAS)의 암호화폐 추가 규제안과 관련 암호화폐 헤지펀드 알트탭캐피털(AltTab Capital)의 투자자 관계 책임자 마이클 실버버그(Michael Silberberg)가 "고객 자산과 기업 자산의 분리 보관을 유도하려는 싱가포르 당국의 정책 의도는 올바르지만, 신탁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난 약세장 기간 파산한 암호화폐 기업 중엔 커스터디 업체와 거래소가 모두 포함돼 있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규제 적격 수탁자'에 대한 검증 절차가 마련되고 있다. 다만 현재 수준의 규제 적격 커스터디 업체는 기관 원장과 메타마스크를 갖춘 소규모 회사인 경우가 많다. 또 거래 상대방이 많다고 반드시 보안성이 검증됐다고 보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앞서 싱가포르 당국은 개인 투자자의 암호화폐 대출·스테이킹 서비스 사용을 금지하고,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고객 자산을 신탁에 보관하도록 요구하는 추가 규제안을 발표한 바 있다.
[레이어제로 CEO 트위터 계정 해킹 노출]
크로스체인 메시징 프로토콜 레이어제로(LayerZero)의 개발사 레이어제로랩스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레이어제로의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브라이언 펠레그리노(Bryan Pellegrino)의 트위터 계정이 해킹에 노출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레이어제로랩스 측은 "자사 CEO의 트위터 계정에 업로드되는 링크나 의심스러운 활동에 참여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61...투심 소폭 위축]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3포인트 내린 61을 기록했다. 투심이 소폭 위축됐지만 탐욕 단계가 유지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분석 "BTC 미결제약정 감소...단기 조정 가능성"]
크립토퀀트 기고자 맥디(MAC_D)는 "통상 가격이 지속 상승하기 위해선 가격과 미결제약정이 비례 상승해야 한다. BTC는 추가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했다. 가격은 올랐지만 미결제약정은 감소한 하락 다이버전스가 발생한 상황이다. 이는 선물 레버리지 포지션에 대한 주요 매수 주체들의 적극성이 떨어졌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33000까지 주요 매물대가 형성돼 있는 만큼 근시일 내 고래, 기관투자자가 해당 매물을 소화시키며 가격을 상승시키지 못한다면 단기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분석 "ETH 유동성 스테이킹 파생상품 유동성 감소...대출 프로토콜로 이동"]
글래스노드 이더리움 애널리스트 앨리스는 "유동성 스테이킹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대출 프로토콜로 자본이 이동함에 따라 라이도 파이낸스 파생상품 유동성이 감소하고 있다. 이더리움 샤펠라 업그레이드 이후 커브 파이낸스 stETH-ETH Pool, 밸런서 wstETH-ETH Pool 유동성은 각각 39%, 71% 감소한 반면 컴파운드 stETH TVL은 817% 급증했다"고 트윗했다.
[변호사 "비트코인 현물 ETF 1년 내 출시 가능성 30~40%"]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크립토에 우호적인 미국 변호사 조 칼라사레(Joe Carlasare)는 비트코인 현물 ETF가 미국에서 1년 내 출시될 가능성을 30~40%로 점쳤다. 블랙록, 피델리티는 SEC(증권거래위원회) 요구에 따라 감시공유계약 파트너로 코인베이스를 지정했지만, 코인베이스가 SEC가 요구하는 충분한 규모의 시장인지는 불분명하다고 변호사는 설명했다. 그는 "코인베이스는 미국에서 가장 큰 비트코인 거래소이지만, 현물 시장을 조작하려는 개인이나 기업이 반드시 해당 플랫폼에서 거래해야 할 정도로 충분히 큰 시장이어야 한다. 현물 거래 대부분이 미국 외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SEC를 만족시키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그레이스케일이 SEC 소송에서 승소할 확률은 50%로 점쳤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