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이사 "연내 금리 인상, 최대 두 번까지...물가 개선되면 한 차례만"]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이사는 물가상승률을 목표 수준까지 내리기 위해서는 연내 두 번 더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고 발언했다고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다만 더 개선된 데이터가 나온다면 두 번째 금리 인상의 필요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여지를 뒀다. 그는 "물가가 계속해서 목표 수준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올해 남은 네 번의 회의에서 두 차례 0.25%p 인상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코인베이스 24시간 거래량 $27억... 3개월래 최대]
코인베이스의 24시간 거래량이 리플(XRP) 일부 승소 판결에 힘입어 3개월 내 최고 수준인 27억 달러 규모까지 증가했다고 워처구루가 코인게코 데이터를 인용해 전했다. 다만 해당 기간 달러화(USD)마켓 기준 XRP 거래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3% 수준에 불과했고, 비트코인(BTC)·이더리움(ETH) 거래량 비중이 각각 32.4%와 18.7%를 기록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 24시간 업비트 XRP 거래량이 21억 달러로 전세계 주요 거래소 XRP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고 전한 바 있다.
[로이터 "암호화폐 규제 불확실성 걷혀.. 크립토 윈터 완전 끝"]
로이터가 "리플(XRP) 판결 이슈로 암호화폐 시장이 상승 추세로 전환됐다. 암호화폐 시장에 규제 불확실성이 걷혀지면서 크립토 윈터가 완전히 종료됐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아스트로넛 캐피탈(Astronaut Capital)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튜 딥(Matthew Dibb)은 "규제 환경이 변하고 있다. 앞으로 더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호주 증권사 페퍼스톤의 크리스 웨스턴(Chris Weston) 애널리스트도 "대형 자산운용사의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과 더불어 리플 판결 이슈까지 암호화폐 시장 호재가 잇달아 나오고 있다. 시장이 상승세에 추진력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라고 전망했다.
[코인쉐어스 제품 책임자 "리플서 XRP 구매한 기관, 집단소송 휘말릴 수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타운센드 랜싱(Townsend Lansing) 코인쉐어스 제품 책임자가 리플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 소송 판결과 관련 "리플로부터 XRP를 구매한 기관 투자자는 집단소송에 휘말릴 수 있다. 특히 유명 벤처캐피털일 경우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랜싱은 "법원은 리플이 기관에 XRP를 판매한 것은 증권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XRP는 증권으로 간주되며, 리플의 XRP 판매 적법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는 SEC가 승리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번 판결은 암호화폐 시장의 선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호주 운용사 모노크롬, BTC 현물 ETF 상장 신청]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현지 디지털자산 운용사 모노크롬(Monochrome)이 파트너사인 바스코 신탁(Vasco Trustees)을 통해 호주증권거래소(ASX)에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신청서를 제출했다. 앞서 모노크롬은 지난해 8월 호주증권투자위원회(ASIC)로부터 암호화폐 ETF 상품 운영이 가능한 호주금융서비스인증(AFS) 라이선스를 취득한 바 있다.
[비트킵, 솔라나 재단과 파트너십]
웹3 멀티체인 지갑 비트킵이 솔라나 재단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비트킵은 솔라나 생태계에서 1만 USDC 규모 에어드랍을 진행할 예정이다. 에어드랍과 함께 솔라나 NFT 보상도 제공한다. 앞서 비트킵은 솔라나 메인넷을 지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빗썸, MVC 투자 유의종목 지정...ANV는 연장]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마일벌스(MVC)를 투자 유의종목으로 신규 지정하고, 기존 지정됐던 애니버스(ANV)는 유의종목 지정을 연장한다고 밝혔다. 빗썸은 14일 16시부터 MVC의 입금을 중단하며, ANV는 오는 11월 6일부터 10일까지 재단 측 소명자료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뉴욕 시장, 소득재산신고서에 BTC·ETH 보유량 누락... "수정 제출 예정"]
CNBC에 따르면 에릭 아담스 뉴욕 시장이 암호화폐 보유량을 누락한 채 제출한 소득재산신고서를 수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아담스 시장 대변인은 "아담스 시장은 앞서 1,000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 주식, 채권, 뮤추얼 펀드 등을 포함한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느냐는 이해충돌방지위원회 제출 서류 질문에 '아니오'라고 답한 바 있다. 아담스 시장이 당시 '유가 증권'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오해했기 때문이다. 누락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보유량을 추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파이언트캐피털 설립자 "암호화폐 약세장 끝"]
디파이언트캐피털 설립자 아서 청(Arthur Cheong)이 트위터를 통해 "2022~2023년 암호화폐 약세장이 오늘 종료됐다. 최악의 긴축 정책은 끝났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하락했고 내년 금리인하될 가능성이 크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모든 토큰을 증권으로 간주할 가능성도 희박해졌고 블랙록의 비트코인 ETF 신청을 시작으로 암호화폐를 자산으로 인정하는 기관이 늘고 있다. 암호화폐 보유자들이 일부 토큰을 제외하고 단기 매도할 가능성이 낮으며 홍콩의 친암호화폐 정책은 아시아 금융기관의 암호화폐 도입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브라질 경찰, 암호화폐 자금세탁 관련 $5,200만 압수]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브라질 경찰이 암호화폐로 자금 세탁을 벌여온 조직 2곳을 급습해 11명을 체포하고 5,200만 달러 상당 현금과 암호화폐, 기타 자산을 압수해 동결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2017년부터 남미, 유럽 지역에 판매한 코카인 수익금 약 4억 1,700만 달러를 거래소 형태 사업체를 통해 세탁해온 것으로 조사됐다.
[바이낸스US, XRP 재상장]
바이낸스US가 PDT 기준 7월 14일 오전 6시 USDT 마켓에 XRP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분석 "특정 스마트머니 월렛, 오늘 4,833 ETH 매수"]
룩온체인이 트위터를 통해 "특정 스마트머니(고수익의 단기 차익을 노리는 기관이나 개인 투자자들이 장세 변화를 신속하게 파악해 투자하는 자금) 주소가 약 5시간 전 970만 DAI로 4,833 ETH를 매수했다. 평단가는 2,004 달러다. 해당 주소는 지난 1월 ETH 급등 후 7,500 ETH를 매도했으며, 3월 USDC 디페깅 이슈 발생 기간 동안 9,691 ETH를 매수했다. 지난 6월 7일 ETH 가격이 하락하기 전에는 5,190 ETH를 매도한 바 있다"고 전했다.
[남아공 최대 은행 CEO "암호화폐 산업에 관심 많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 은행 스탠다드뱅크 룽기사 푸질레(Lungisa Fuzile) CEO가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산업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당장 시장에 뛰어들고 싶지는 않다. 규제 기관 및 다른 은행들과 협력을 통해 암호화폐 시장을 더 잘 이해하는 게 먼저라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테크테릭스, TUSD 해외 사업 운영]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TrueUSD(TUSD)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7월 13일(현지시간)부터 아시아 기반 컨소시엄 테크테릭스(Techteryx)가 TUSD 발행 및 상환, 고객 온보딩, 규정 준수, 법정화폐 준비금 등 TUSD 해외 운영 및 서비스를 맡게 된다고 발표했다. 앞서 2020년 12월 TUSD는 테크테릭스에 사업 소유권을 이전했다고 밝힌 바 있다.
[코인원, SUI 입금 지연]
코인원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수이 블록당 트랜잭션 수가 증가해 SUI 입금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컨센시스 메쉬, 블록체인 프로젝트 보조금 지원 프로그램 출시]
디크립트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공동 창업자 조셉 루빈이 이끄는 블록체인 인큐베이터 컨센시스 메쉬(ConsenSys Mesh)가 블록체인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새로운 보조금 프로그램 'TachyonX'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프로그램은 컨센시스 메쉬가 지원 프로젝트의 지분 4%를 갖는 조건으로 15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는 것이 골자다. 또 기존과 달리 별도의 액셀러레이터를 거치지 않고 프로젝트에 곧장 보조금을 지급한다.
[업비트, 7/21 SOL·ACS·GMT·RAY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가 SOL 월렛 업그레이드로 인해 SOL, ACS, GMT, RAY 입출금 서비스를 오는 21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컴벌랜드, XRP 판결 뒤 1시간 만에 거래소서 1.7만 ETH 출금]
룩온체인에 따르면 암호화폐 트레이딩 업체 컴벌랜드(Cumberland)가 리플(XRP) 관련 판결이 나온 뒤 1시간 만에 서클에서 5,860만 USDC를 출금해 바이낸스에 입금했다. 이후 컴벌랜드는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에서 총 17,000 ETH($3,400만)를 출금했다.
[美 법원, 전 셀시우스 CEO 보석 허가]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맨하탄 연방법원이 4000만 달러의 보석금을 조건으로 전 셀시우스 CEO 알렉스 마신스키를 석방하기로 했다. 아울러 그는 13일(현지시간) 법정에 출석해 자신의 모든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법무부(DOJ),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연방거래위원회(FTC)는 그를 사기 등 7개 혐의를 적용해 기소했다.
[앱토스 디파이 탈라 내달 V2 출시]
앱토스(APT)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탈라(Thala)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내달 중 3단계에 걸쳐 탈라 V2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1단계에서는 페그 안정성 모듈 도입과 특정 스테이블코인 제로 수수료 스왑, 2단계에서는 탈라 토크노믹스 재구성, 3단계에서는 APT DAO 거버넌스 플랫폼인 팔리아멘트(Parliament) 출시 등이 이뤄진다.
[비트파이넥스, 666만 상당 LDO 핫월렛으로 전송]
룩온체인에 따르면 비트파이넥스가 방금 전 라이도(LDO) 트레저리에서 구입한 666만 달러 상당의 281만 LDO를 핫월렛으로 전송했다. 당시 구매 가격은 211만 달러 수준이었으며, 현재 이를 매도하면 455만 달러의 차익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코인마켓캡 기준 LDO는 현재 25.88% 오른 2.3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카바, 전날 Kava 14 업그레이드]
코스모스 SDK 기반 EVM 호환 레이어1 네트워크 카바(KAVA)가 전날 트위터를 통해 카바 14 업그레이드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카바 14는 내부 브릿지 기술을 통해 코스모스 자산을 ERC-20 토큰 표준으로의 원활한 변환을 지원한다는 것이 카바의 설명이다.
[팩토마인드 CSO "美 법원, XRP 증권성 아닌 증권법 위반 여부에 초점"]
팩토마인드 최고전략책임자(CSO) 네이선(Nathan)이 트위터를 통해 "리플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 소송에서 법원은 XRP의 증권성 여부를 판단한 것이 아니라 리플 재단이 증권법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살펴보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법원 결정은 핵심 쟁점에 대해 '증거 불충분' 결정을 내린 것에 가깝다. 판결문을 보면 오히려 XRP의 기본 속성은 증권에 가깝다는 뉘앙스가 담겨있다"고 강조했다.
['XRP 비판' 뱅크리스 진행자 "이번만큼은 리플에 진심으로 감사"]
암호화폐 뉴스레터·팟캐스트 플랫폼 뱅크리스(Bankless)의 진행자이자 그간 리플(XRP)을 비판했던 라이언 아담스(Ryan Adams)가 트위터를 통해 "이번만큼은 진심으로 리플에게 은혜를 입었다. 암호화폐를 향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맹공을 리플이 막아냈다"고 평가했다. 그는 "리플은 광적인 커뮤니티의 열렬한 지지 속에 과대평가된 프로젝트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이런 말을 하게 될 지 몰랐지만 그럼에도 리플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리플은 우리 모두에게 수혜(favor)를 줬다"고 강조했다.
[분석 "최근 채굴자 비정상 입출금, 단순 지갑 관리 가능성"]
크립토퀀트 기고자 IT_Tech_PL이 최근 채굴자의 비정상적인 입출금 움직임은 거래소를 활용한 단순 지갑 관리라고 분석했다. 그는 "채굴자들의 입출금 활동이 지난 6월 15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비트코인(BTC)을 출금하고 다시 입금하는 행위를 반복했다. 100~400 BTC를 거래소에서 출금해 1,000 BTC 이상을 다시 입금했다. 그러나 채굴자의 BTC 보유량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이는 단순 지갑 관리 목적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US, BTC/USD 등 9종 어드밴스드 거래페어 상폐]
바이낸스US가 7월 14일 오후 12시(한국시간) BTC/USD, ETH/USD, ADA/USD, BNB/USD, LTC/USD, MATIC/USD, SOL/USD, USDC/USD, VET/USD 어드밴스드 거래페어를 상장폐지한다고 공지했다.
[샌드박스 제네시스 주소, 특정 주소로 $2,640만 상당 SAND 이체]
비트코인엠버에 따르면 샌드박스 제네시스 주소가 14일 오전 6시 10분경 특정 고래 주소(0x73b4로 시작)로 5,500만 SAND(2,640만 달러 상당)를 이체했다. 비트코인엠버는 "이전 이체 이력을 볼 때 해당 SAND는 바이낸스로 입금될 가능성이 높다. 해당 주소는 올해 총 2.42억 SAND(1억 1,600만 달러 상당)를 이체했으며 이 중 2.18억 SAND는 중앙화 거래소(CEX)로 입금됐다"고 전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SAND는 14.03% 오른 0.478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라이도파이낸스 노드 운영자 주소, 바이낸스로 200만 LDO 이체]
스팟온체인이 트위터를 통해 "라이도파이낸스(LDO) 노드 운영자 겸 투자자인 세르투스 원(Certus One) 추정 주소가 약 7시간 전 200만 LDO(약 451만 달러)를 바이낸스에 이체했다. 세르투스 원은 지난 2020년 라이도파이낸스로부터 1000만 LDO를 받은 바 있다"고 전했다.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LDO는 26% 상승한 2.3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