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SEC “리플 소송 판결 문제 있다…타 법원, 인용해선 안돼”]
더블록에 따르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테라폼랩스와 권도형에 대한 소송을 담당하는 제드 라코프(Jed Rakoff) 뉴욕 남부지방 법원 판사에게 “SEC-리플 소송 판결은 잘못됐으며, 남부지방 법원은 이를 인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의 서류를 제출했다. 서류는 “SEC 직원들은 이와 관련해 추가 검토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블록은 이에 대해 SEC가 리플 소송 판결에 대해 항소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 "친 ISIS 테러리스트 그룹, 암호화폐로 자금조달"]
코인데스크가 블록체인 분석 업체 TRM랩스(TRM Labs) 보고서를 인용, ISIS(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와 관련된 테러리스트 그룹이 자금조달을 위해 암호화폐를 이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한 친(親) ISIS 그룹이 약 200만 달러 상당의 USDT를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현금화를 위해 한 중앙화 거래소(CEX)를 이용했고, 해당 과정에서 자금 추적이 가능해져 지난 6월 ISIS 핵심 인물이 체포됐다. 이밖에 아프가니스탄 기반 친 ISIS 미디어 조직 등이 자금조달을 위해 암호화폐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 유동성 네트워크 패러다임, 스타크넷 기술 기반 앱체인 인큐베이팅]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유동성 네트워크 패러다임(Paradigm)이 탈중앙화 무기한 파생 레이어2 애플리케이션 체인 파라덱스(Paradex)를 인큐베이팅했다. 파라덱스는 패러다임의 유동성 및 디파이의 투명성, 자체 수탁 특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이다. 패러다임의 파트너사 스타크넷(STRK) 개발사 스타크웨어(StarkWare)의 최신 앱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패러다임은 암호화폐 투자사 패러다임과 동명인 프로젝트로, 기관 투자자에게 유동성을 제공한다.
[룩온체인 "a16z 관련 주소, 코인베이스·바이낸스에 MKR 입금"]
룩온체인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a16z 관련 주소가 1시간 전 1,500 MKR(약 173만 달러)를 코인베이스로 입금했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주소가 4시간 전 4,210 MKR(약 485만 달러)를 언스테이킹한 이후 모든 MKR를 바이낸스로 입금했다. 이에 따라 166만 달러의 수익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비트파이넥스 해킹 관련 자금세탁 혐의 부부, 유죄 인정... 미 당국와 합의]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에서 지난 2016년 발생한 해킹 사건과 관련해 자금세탁 혐의로 기소된 부부가 유죄를 인정, 미국 당국과 합의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이들은 2건의 자금세탁, 1건의 미국 사취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으며, 법원은 유죄 판결과 함께 은행계좌 내 현금, 수십억 달러 상당의 BTC, ETH, 스테이블코인 및 기타 암호화폐 몰수 명령을 내렸다. 형은 아직 미확정된 상태로, 지난해 이들은 각각 최대 25년 형을 선고받을 수 있는 두가지 공모 혐의를 받은 바 있다.
[6월 VC 암호화폐 투자액 7.79억 달러... 전달 대비 29.73% ↓]
코인텔레그래프 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6월 벤처캐피탈(VC)의 암호화폐 투자 규모가 7.79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달 대비 29.73% 하락한 수치다. 해당 기간 총 62건의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미디어는 "미 연준이 6월 금리 인상을 중단했으나,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노력으로 거시경제 상황은 큰 변화가 없다"며 "투자자들은 여전히 조심스럽다. 위험회피 성향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넥서스 뮤츄얼, 카우스왑 통해 2730만 달러 ETH→로켓풀 rETH 교환]
더블록에 따르면 디파이 보험 프로젝트 넥서스 뮤츄얼(Nexus Mutual)이 카우스왑(Cow Swap) DEX 애그리게이터를 이용해 14,390 ETH(약 2730만 달러)을 로켓풀의 rETH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으로 교환했다. 이는 커버리지 프로토콜에 대한 다각화 전략의 일환으로, 앞서 넥서스 뮤츄얼 다오는 해킹 등 보안 사고에 대해 배상을 제공하는 안전 보험 모듈(Safety Insurance Module) 내 자금을 리퀴드 스테이킹 이더로 교환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비앙코 리서치 대표 "미 연준 페드나우, CBDC 인프라 역할"]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관 간 즉시 결제를 위한 서비스인 페드나우(FedNow)를 공식 출시한 가운데, 미국 투자자문회사 비앙코 리서치(Bianco Research)의 짐 비앙코(Jim Bianco) 대표가 "해당 서비스는 디지털 토큰이나 CBDC가 아닌 결제 시스템이다. 그러나 CBDC 발행을 용이하게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BDC 인프라의 선구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연준은 페드나우 출시 소식과 함께 "페드나우 서비스는 암호화폐와 관련이 없다. 연준은 CBDC 발행에 대해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고 전했다.
[디파이 프로토콜 패럿, PRT 토큰 단계적 폐지·토큰 보유자에 자금 분배 계획 투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솔라나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패럿(Parrot.fi)이 PRT 토큰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약 8000만 달러로 추산되는 프로젝트 자금을 토큰 보유자에게 분배하는 제안에 대한 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해당 제안이 통과되면 PRT 보유자는 개당 0.0045달러를 분배받게 된다. 앞서 지난 2021년 9월, 10월 패럿은 전체 PRT 토큰의 10%를 투자자에게 판매, 8470만 달러를 유치한 바 있다. 이후 PRT는 약 88% 하락했다.
[SBF 동생 가브리엘, 거래소 자금으로 태평양 섬나라 매입 계획... 종말 대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샘 뱅크먼 프리드(SBF) 전 FTX CEO의 동생 가브리엘 뱅크먼 프리드(Gabriel Bankman-Fried)가 거래소 자금을 이용해 태평양 섬나라를 매입, 종말에 대비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델라웨어주 파산법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가브리엘은 FTX 재단을 통해 태평양 섬나라 나우루(Nauru)를 매입할 계획이었다. 가브리엘과 FTX 재단 임원 간에 주고 받은 메모에 따르면 이들은 나우루를 매입, 전세계 인구의 50~99.99%가 사라질 어떤 사건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벙커를 건설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법원, 'BTC 저작권 주장' 크레이그 라이트 항소 승인]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영국 법원이 20일(현지시간) 크레이그 라이트(Craig Wright)의 비트코인 저작권 관련 항소를 승인했다. 앞서 지난 2월 자신이 2008년 비트코인 백서를 작성했으며 비트코인 캐시가 지적 재산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한 크레이그 라이트가 영국 법원에서 패소했다. 법원이 항소를 승인함에 따라 크레이그 라이트는 해당 사건에 대해 항소할 수 있게됐다. 그는 자신이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사실을 증명해야 한다. 재판은 2024년 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 증시 3대 지수 혼조 마감]
미 증시 3대 지수가 혼조 마감했다.
S&P500: +0.03%
나스닥: -0.22%
다우: +0.01%
[셀시우스, $780억 고객 자산 반환 합의]
파산한 암호화폐 대출업체 셀시우스(CEL)가 일부 고객 자산 반환을 위한 합의에 도달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법원 문서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번 합의로 780억달러 규모의 3만건 클레임(고객자산 상환 청구)이 처리될 것으로 보인다. 셀시우스는 8월 10일(현지시간) 열리는 청문회에서 이번 합의에 대한 법원 승인을 받을 예정이다.
[LTC 고래, 이틀간 $5900만 LTC 매입]
암호화폐 분석가이자 트레이더인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가 트위터를 통해 “LTC 고래가 지난 이틀간 59만 LTC 이상 매입했다. 약 5900만달러 규모”라고 전했다. LTC는 오는 8월 2일 반감기를 앞두고 있다.
[팬텀 재단 CEO, 중국 유명 로펌에 멀티체인 사건 위임]
마이클 콩 팬텀 재단 CEO가 중국 유명 로펌에 멀티체인 사건을 위임했다고 외신이 전했다. 마이클 콩에 따르면 자오쥔 CEO 외 5명의 멀티체인 주요 개발자들도 중국 당국에 체포된 것으로 보인다. 체포되지 않은 직원들도 매우 긴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멀티체인은 "자오쥔 CEO가 중국 경찰에 체포된 것이 사실이며, 팀은 자금 부족으로 운영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2...중립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2포인트 오른 52를 기록했다. 중립 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애널리스트 “미래에셋 글로벌X, 비트코인 선물 ETF 출시 준비”]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소속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가 트위터를 통해 “미래에셋자산운용 계열사 글로벌X가 비트코인 선물 ETF를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해당 ETF는 코인데스크 지수를 활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비트럼 커뮤니티, 카멜롯에 1200만 ARB 할당 제안 부결]
아비트럼(ARB) 커뮤니티가 아비트럼 기반 DEX 카멜롯에 1200만 ARB를 할당하자는 제안을 부결시켰다. 찬성률 30%, 반대율 38%, 기권율 32%였다. 7월초 아비트럼다오는 카멜롯에 유동성 인센티브 제공을 위해 6개월간 매월 200만ARB씩 제공하자는 제안에 대한 투표를 시작했었다.
[코닉, 또다시 해킹 피해…$30만 손실]
전날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에 노출돼 326만달러 피해를 입은 코닉 파이낸스가 또다시 플래시론 공격을 당했다고 블록체인 보안업체 서틱이 전했다. 이로 인해 30만달러 손실을 입었다. 코닉은 모든 옴니풀을 일시 비활성화한 상태다.
[11년 휴면 BTC 고래 주소, 1037 BTC 전송]
룩온체인에 따르면 11년간 휴면 상태였던 비트코인(BTC) 고래 주소가 새 주소로 1037 BTC를 전송했다. 이 고래는 2012년 4월 11일 BTC 가격이 4.92달러일 때 해당 물량을 이체 받았다.
joshua@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