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디파이 시장 440억 달러 수준 유지...리도 점유율 30% 넘어 外

| 토큰포스트 기자

[디파이 시장 440억 달러 수준 유지...리도 점유율 30% 넘어]

탈중앙화금융(Defi, 디파이) 시장 규모가 440억 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4일 오전 10시 기준 디파이 생태계의 총예치액(TVL)은 439억 달러(한화 약 56조원)를 기록했다. 이중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 리도 파이낸스(Lido Finance)의 TVL이 149억 달러(한화 약 19조1500억원)로, 시장 점유율이 33%에 달했다. 리도에 이어 에이브(Aave, 58억 달러), 메이커다오(MakerDAO, 52억 달러), 유니스왑(Uniswap, 38억 달러), 저스트렌드(JustLend, 37억 달러)가 TVL 기준 상위 5위권에 올랐다. 한달 동안 1% 안팎의 TVL 증가세를 보였다.

[분석 "거래소 내 BTC 잔액 210만개... 최대치 대비 32% 감소"]

암호화폐 애널리스트인 얀 뷔스텐펠트(Jan Wüstenfeld)가 크립토퀀트 기고문을 통해 "현재 중앙화 거래소(CEX)의 비트코인(BTC) 잔액은 210만 BTC로 유통량의 11%다. 이는 지난 2018년 초 수준이자, 지난 2020년 3월 최대치(310만 BTC) 대비 32% 감소한 수치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거래소 잔액 감소 원인은 투자자들이 중앙화 거래소에 비트코인을 보유하기보다는 개인지갑을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리네아 브릿지 예치 암호화폐 규모, $2000만 돌파]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컨센시스의 zkEVM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리네아(Linea)의 브릿지 예치금 규모(TVB)가 10,921 ETH(약 2055만 달러)를 기록했다. 현재 리네아 브릿지 사용자 수는 58,344명이며, 트랜잭션 수는 64,604건이다.

[美 샌프란시스코 연준, CBDC 연구원 채용 공고]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준)이 구인구직 플랫폼 인디드(Indeed)에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 연구 인력 채용 공고를 냈다. 연준은 지원 자격으로 ▲탈중앙화 구현 ▲암호화 프로토콜 ▲합의 알고리즘 개발 지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미디어는 "그간 연준 이사회는 CBDC 발행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다고 공공연히 밝혀왔는데, 샌프란시스코 연준의 이같은 채용 움직임은 연준 공식 입장에 다소 배치되는 모습이다. 샌프란시스코 연준은 지난 2월부터 CBDC 샘플 개발을 위한 개발자들을 채용하고 전담팀을 구성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아즈키 NFT 바닥가 5 ETH 하회...일주일 기준 20%↓]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BLUR) 데이터에 따르면 아즈키 NFT 컬렉션 바닥가가 4.86 ETH를 기록하는 등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 24시간 기준 7.62%, 최근 7일 기준 20.7% 하락했다.

[외신 "유니샛, $5천만 투자금 조달 진행...바이낸스 랩스도 접촉"]

유력 암호화폐 미디어 우블록체인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BRC-20 월렛인 유니샛(unisat)이 5,000만 달러 규모의 투자금 조달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현재 일부 투자자가 확정됐으며 바이낸스 랩스와도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시간 기준)

-7/27 0300 미국 FOMC 기준금리 결정, 2130 미국 2분기 GDP,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115 유럽연합 금리결정, 2315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연설

-7/28 2130 미국 6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리플 아태지역 총괄 "올해 싱가포르서 직원 확대...거래량은 5배 증가"]

유투데이에 따르면 라훌 아드바니(Rahul Advani) 리플(XRP) 아태지역 정책 총괄이 "리플은 올해 싱가포르에서 직원 수를 2배 늘렸으며 같은 기간 현지 거래량은 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싱가포르에서의 암호화폐 산업 전망이 밝다고 보고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 투자자 23% "BTC 향후 1년 안에 전고점 회복 가능"]

크립토밴티지(CryptoVantage)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디지털 자산 투자자의 23%가 비트코인(BTC)이 향후 1년 안에 전고점인 7만 달러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47%는 5년 안에 7만 달러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14%는 '예측할 수 없다'고 답했다.

[美 법원, 코인베이스·SEC에 '준비서류' 제출 명령]

코인게이프(CoinGape)에 따르면 코인베이스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 소송 담당 판사 캐서린 폴크 파일라(Katherine Polk Failla)가 코인베이스에 내달 4일까지 주요 주장과 증거, 증빙 서류를 요약한 약식 문서를 제출하라고 명령했다. SEC는 오는 10월 3일까지 같은 서류를 낼 예정이다. 아울러 법원 판단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제출하는 전문가들의 아미쿠스 브리프는 같은달 10일까지 제출 가능하다. SEC가 약식 서류를 제출하면, 코인베이스는 10월 24일까지 법원에 입장문 등을 제출할 수 있다.

[美 하원의원 "의회, 연준 CBDC 개발 법으로 금지해야"]

미국 하원의원 워렌 데이비슨(Warren Davidson)이 트위터를 통해 "의회는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를 설계하고 구축, 개발, 테스트, 출시하려는 그 모든 행위를 금지하는 법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 연방준비은행(연준)은 마치 '데스스타(Death Star)'와 같은 금융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CBDC는 화폐를 통제의 도구로 전락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데스스타는 영화 스타워즈에 등장하는 우주 무기다.

['페페 사촌' 밈코인 이블페페, 토큰 사전판매 7일 만에 $50만 조달]

토큰포스트에 따르면 밈코인 이블페페가 지난 18일 토큰 사전 판매를 시작한 지 일주일 만에 50만 달러를 조달했다. 이블페페 측은 "전체 토큰 공급량 66억 6666만개의 90%를 사전 판매에 할당했다. 토큰은 시가총액 200만 달러에 상장할 계획이다. 사전판매는 9일 후 종료된다. 만약 조기에 목표 모금액(199만6000달러)을 달성하면 종료 시기가 앞당겨진다"고 설명했다.

[리플 CEO "SEC, 관할권 없는데 경찰 되겠다고 선언해 난장판 만들어"]

리플 최고경영자(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가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법적 관할권이 없는 상황에서 암호화폐를 단속하는 경찰이 되겠다고 선언해 이 난장판을 만들었다. 투자자들은 법원에 재산을 맡기고 SEC가 기자회견을 여는 동안 방치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최근 리플 판결을 내놓은 미국 뉴욕 남부지방법원의 아날리사 토레스 판사를 겨냥 "법을 충실히 적용한 판사를 비난하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다. 우리 모두는 집행에 의한 규제가 아닌 입법만이 명확한 규칙을 제시하고 유통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수이 네트워크 트랜잭션 5억건 돌파]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수이(SUI)가 트위터를 통해 오늘 새벽 트랜잭션 수가 5억건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리플 CLO "'토큰=증권' 주장 게리 겐슬러는 지구 평면설 신봉자와 유사"]

스튜어트 알데로티(Stuart Alderoty) 리플(XRP) 최고법률책임자(CLO)가 트위터를 통해 "토큰을 증권이 아니라고 설명하는 것은 마치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는 사람(flat earther)에게 지구는 둥글다고 설명하는 것과 같다"고 밝혔다. 그는 "증권 규제당국은 증권에 대해서만 관할권을 갖고 있다. 증권이 없는 곳에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설 자리가 없다. 관할권이 없는데 있는 척 하는 것은 정치적 힘겨루기에 불과하다. 누구에게도 도움은 되지 않고 오직 상처만 남긴다"고 강조했다. 앞서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상원 세출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토큰은 투자계약(증권)’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5...중립→탐욕]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1포인트 오른 55를 기록했다. 투심이 소폭 개선되며 중립 단계에서 탐욕 단계로 전환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이번주 주요 토큰 언락 일정...$3817만 OP 언락 등]

토큰언락(Token Unlocks)에 따르면 이번 주 언락되는 주요 토큰 물량은 다음과 같다.

APE: 7/17 9:00, 1560만개 언락, $3167만, 총 발행량의 1.56%

YGG: 7/27 23:00, 1302만개 언락, $216만, 총 발행량의 1.302%

AGIX: 7/28 09:00, 997만개 언락, $234만, 총 발행량의 0.498%

OP: 7/30 13:00, 2416만개 언락, $3817만, 총 발행량의 0.56%

[외신 "스톰엑스, 비정상적 가격 움직임...시장 조작 우려"]

스톰엑스(STMX) 토큰이 지난 23일 비정상적 움직임을 보이며 시장 조작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고 비인크립토가 전했다. STMX는 0.015달러까지 상승했다가 45% 하락한 0.0081달러까지 하락했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우블록체인은 업비트가 전체 거래량의 72%를 차지한다고도 전했다. 급격한 가격 변동은 이례적으로 24시간 동안 378만 달러 상당 STMX 선물 포지션의 강제 청산으로 이어졌고, 바이낸스는 가격 변동 직후 STMX 포지션 관련 이슈를 조사 중이라며 펀딩비 정산 빈도를 늘리고 비율도 조정하겠다고 공지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STMX는 23.59% 하락한 0.00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월드코인, 중요 이벤트 암시 트위터 업로드..코인 관련 이슈 추정]

챗GPT 개발자 샘 알트만이 주도하는 월드코인이 지난 새벽 공식 트위터를 통해 '24.7.23'이라는 날짜를 게재하며, 중요 이벤트를 암시했다. 이에 대해 커뮤니티는 코인 발행 및 상장 관련 이슈로 추정하고 있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