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美 테라 사건 담당 판사 "리플 판결 유효한 선례 아니다" 인용 거부 外

| 토큰포스트 기자

[美 테라 사건 담당 판사 "리플 판결 유효한 선례 아니다" 인용 거부]

미 법원은 최근 리플 판결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테라폼랩스 소송 일부나 전체를 무효화할 수 있다는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31일(현지시간) 더블록에 따르면, 테라 사건을 담당하는 제드 라코프 미국 뉴욕 남부지방 법원 판사는 리플 판결 인용을 거부하며 테라폼랩스의 SEC 소송 기각 시도를 기각했다. 라코프 판사는 소송 기각 신청에 대한 결정문에서 "유사한 사건에서 같은 지방 법원의 다른 판사가 채택한 접근 방식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아베 TVL $46.1억...3일새 12%↓]

OKX 산하 블록체인 빅데이터 플랫폼 OK링크(OKLink)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7월 29일 52.5억 달러였던 아베(AAVE) 암호화폐 락업 예치금(TVL)이 이달 1일 기준 46.1억 달러로 12.1% 감소했다.

[리플 CLO "테라폼랩스 사건 담당 판사, 리플 판결 지적해도 바뀌는 건 없어"]

리플(XRP) 최고법률책임자(CLO) 스튜어트 알데로티(Stuart Alderoty)가 트위터를 통해 "테라폼랩스 관련 소송에서 담당 판사가 최근 리플 관련 법원 결정을 비판했지만, 어떤 것도 바뀌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테라폼랩스 사건은 이제 막 첫 발을 뗐고 담당 판사는 당분간 SEC의 주장을 경청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리플 사건 결정은 소송이 시작된 뒤 2년이나 지나서야 나온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뉴욕남부법원 판사 제드 라코프(Jed Rakoff)는 리플 관련 뉴욕지방법원 판사 아날리사 토레스의 결정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아담 코크란 "BALD 디플로이어 정체는 SBF...99% 확신"]

디크립트에 따르면 베이스(BASE) 기반 밈코인 발드(BALD) 러그풀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블록체인 투자사 시니암하인벤처스(Cinneamhain Ventures)의 파트너 애널리스트인 아담 코크란(Adam Cochran)이 "현 시점에서 BALD 디플로이어(배포자)의 정체가 샘 뱅크먼프리드(SBF) 또는 FTX 출신 인물일 가능성은 99%"라고 밝혔다. 그는 "트위터를 자세히 살펴보면 BALD 디플로이어와 SBF가 사용하는 문장들이 매우 비슷하다. 또 해당 디플로이어의 온체인 활동이 시작된 것은 SBF가 보석 석방된 날"이라고 강조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ALD는 현재 51.63% 내린 0.0101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커브 창업자, crvUSD/fFRAX 풀 생성]

포사이트뉴스에 따르면 커브 창업자 마이클 이고로프(Michael Egorov)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프랙스 파이낸스(Frax Finance)의 무허가 대출 마켓 프랙스렌드(Fraxlend)의 CRV/FRAX 마켓을 위한 새로운 유동성 풀 crvUSD/fFRAX를 생성했다. fFRAX는 프랙스렌드에서 CRV/FRAX 증명 토큰이다. 현재 커브에서 crvUSD/fFRAX 풀의 연간 보상은 462.5%, 프랙스렌드에서 CRV/FRAX 연간 보상은 70%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외신 "볼러틸리티쉐어스, 지난 5월 SEC에 ETH 선물 ETF 신청서 제출"]

블록웍스에 따르면 미국 펀드 운용사 볼러틸리티 쉐어스(Volatility Shares)가 이더리움(ETH) 선물 ETF 신청서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지난 5월 제출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대형 금융사들이 비트코인(BTC) 현물 ETF 신청서를 제출하던 시기다. 미디어는 "신청서를 보면 해당 ETF는 ETH 직접 투자가 아닌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ETH 선물 계약에 투자하는 형태다. 볼러틸리티는 지난달 24일 2배 레버리지 롱 비트코인 ETF를 승인받은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츄나스(Eric Balchunas)는 "이는 그레이스케일 등 업체들이 ETH 선물 ETF 상장 신청을 철회한 것과는 다른 행보로 상당히 흥미롭다. 볼러틸리티쉐어스는 최근 BTC 선물 ETF 출시로 꽤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아베 V2서 CRV $0.372로 하락시 $1.15억 강제청산]

디파이라마 데이터에 따르면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아베(AAVE) V2 마켓에서 커브(CRV)가 0.372 달러로 하락하면 3,490만 CRV($1.15억 상당)가 강제 청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 기준 CRV는 현재 9.97% 내린 0.563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주말 이더리움 NFT 거래량 올해 최저 수준]

NFT 전문 팟캐스트 '프루프'(PROOF)의 리서치 총괄 NFTstats.eth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지난 주말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NFT 거래량은 약 11,900 ETH(약 $2,210만)로, 2021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분석업체 "BALD 디플로이어 주소, 알라메다 리서치와 밀접한 관계"]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난센의 분석가 앤드류(Andrew)가 트위터를 통해 "베이스 기반 밈코인 BALD의 바이낸스 입금주소와 활성지갑 주소를 살펴보면, 앤드류 키즈(Andrew Keys), 알라메다 리서치(Alameda Research) 주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 주소들은 거의 모든 주요 거래소와도 상호작용 했는데, 언젠가 이 주소의 소유주가 누구인지 밝혀질 것이다. 분명한 건 그들이 알라메다 리서치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이다. 또 이들 주소는 블랙리스트로 등록된 주소들과도 400회 이상 상호작용 했으며, 암호화폐 마켓메이킹 업체 윈터뮤트와도 장외거래(OTC)를 한 기록이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특정 MEV 봇, 955 msETH 반환]

이더스캔 데이터에 따르면 MEV 봇 c0ffeebabe.eth가 약 14시간 전 디파이 합성자산 프로토콜 메트로놈(Metronome) 볼트로 955 msETH($177만 상당)를 반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해당 주소는 전날 2879 ETH($540만)를 커브 디플로이어에게 반환한 바 있다.

[에티하드항공, 라운지 이용 혜택 등 한정판 NFT 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아랍에미레이트 국영 항공사 에티하드항공(Etihad Airways)이 한정판 NFT 시리즈 300개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NFT 보유자는 우선 체크인, 아부다비 국제공항 라운지 이용, NFT 스테이킹시 마일 적립 혜택 등을 받을 수 있다. 자세한 NFT 획득 방법은 출시일에 맞춰 발표될 예정이다.

[빗썸, 오늘 16시 ALEX 원화 마켓 상장]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알렉스(ALEX)를 1일 16시 원화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1일 14시, 출금은 1일 16시부터 지원된다.

[코인원, 오늘 14시 HFT 원화 마켓 상장]

코인원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해시플로우(HFT)를 1일 14시 원화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1일 10시, 출금은 1일 14시에 지원된다.

[블록체인 금융사 피겨, 암호화폐 약세장에 인력 20% 감축]

블록체인 금융회사 피겨(Figure)가 최근 전체 직원의 약 20%인 90명을 해고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원인은 암호화폐 약세장에 따른 자금 조달 어려움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피겨는 온라인 대출업체 소파이(SoFi) 전 CEO가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2년여 전 기업가치 $32억으로 투자금 $2억을 유치했지만, 지난 2월에는 목표액의 3분의 1 수준인 $1억을 유치하는 데 그쳤다. 피겨는 오는 2024년 대출 전문 부서인 렌드코(LendCo)의 기업 공개(IPO)를 준비하고 있다.

[노무라 트레이딩 자회사, 온체인 펀드 솔브 프로토콜에 $600만 투자]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일본 투자은행 노무라의 암호화폐 트레이딩 자회사 레이저 디지털(Laser Digital) 등이 싱가포르 기반 온체인 펀드인 솔브 프로토콜(Solv Protocol)에 6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솔브 프로토콜은 기업이 금융 상품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탈중앙화 유동성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으며, 투자금은 디파이와 씨파이·전통금융(TradFi)을 연결하는 인프라 구축에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美 국세청, 트랜잭션 검증 보상 암호화폐도 과세 대상]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국세청(IRS)이 지분증명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 검증 활동으로 받은 보상(암호화폐)은 당해 수입으로 취급한다는 내용의 지침을 발표했다. 아울러 IRS는 같은 유권해석을 적용, 검증 보상으로 받은 암호화폐를 거래소에 스테이킹 하는 경우에도 과세 대상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3...중립 유지]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대비 3포인트 오른 53을 기록했다. 중립 단계가 유지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4억 XRP, 락업 해제]

웨일 얼럿에 따르면, 4억 XRP가 ripple의 주소 rp6aTJmW3nq1aKt3Jmuz4DPRxksT5PBjpH 에서 락업 해제됐다.

[빗썸, 매주 10종씩 거래 수수료 무료 프로그램]

빗썸이 원화마켓에서 지원하는 일부 가상자산에 대해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8월 1일부터 진행되는 이벤트는 공지 전까지 계속될 예정이며, 수수료 무료 적용 대상 가상자산은 1주일 간격으로 10종씩 추가된다. 첫 번째 수수료 무료 적용 가상자산 10종은 △앱토스(APT) △스택스(STX) △플로우(FLOW) △수이(SUI) △비트코인 골드(BTG) △피르마체인(FCT2) △블러(BLUR) △웨이브(WAVES) △메탈(MTL) △룸네티워크(LOOM) 등이다.

[인플루언서 "트위터 다음 버전서 '코인' 카테고리 신설"]

팔로워 13.2만명을 보유한 가상자산 인플루언서 NFT갓(@NFT_GOD)이 오늘 새벽 "다음 트위터 업데이트에서 코인(Coins) 카테고리가 추가될 예정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그는 관련 이미지를 공유하며 "해당 버전은 예상보다 빨리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