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뉴욕 브리핑] 리플 CTO “'미 판사 ‘리플-SEC 판결' 반박 입장, 테라폼랩스 한해 적용” 外

| 양소희 기자

[리플 CTO “'미 판사 ‘리플-SEC 판결' 반박 입장, 테라폼랩스 한해 적용”]

테라폼랩스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 소송을 맡은 미국 뉴욕 남부법원 판사 제드 라코프(Jed Rakoff)가 리플-SEC 소송 판결을 반박한 것과 관련, 리플(XRP)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워츠(David Schwartz)가 트위터를 통해 “라코프 판사의 입장은 암호화폐 업계 전반이 아닌, 테라폼랩스 사태라는 특이한 케이스에 한해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법원은 두 사건 간 사실관계 차이를 근거로 이 같은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이며, 단순히 하위테스트에 2차 판매가 기관 판매와 다르게 취급돼야 한다는 규정이 없다는 것을 지적한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독일 베렌버그 “미 판사 '리플-SEC 판결' 반박, 코인베이스에 불리”]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독일 투자은행 베렌버그가 보고서에서 “테라폼랩스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 소송을 맡은 미국 뉴욕 남부법원 판사 제드 라코프(Jed Rakoff)가 리플-SEC 소송 판결을 반박했다. XRP의 기관 대상 판매와 개인 대상 판매 간 구분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다. 이는 SEC와 소송 중인 코인베이스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코인베이스 주식에 대한 목표 주가를 39달러로 책정하고 투자의견 ‘보유’를 유지했다. 단기적으로 투자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다.

[렛저, XRP 커뮤니티 이용자 대상 사기 경고 메시지 발표]

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암호화폐 하드월렛 제조사 렛저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XRP 커뮤니티 이용자를 대상으로 에어드랍 사기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발표했다. 렛저는 "가짜 에어드랍 광고는 XRP 탈취를 위해 게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기의 희생양이 되지 않도록 경계를 늦춰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낯선 이의 주소로 자금을 이체해서는 안되며, 과도하게 수익성 있어 보이는 프로젝트는 우선 의심을 해야 한다. 또한 24개 단어로 구성된 복구단어는 무슨일이 있어도 공유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OPNX, 24시간 거래량 1억 달러 돌파]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탈(3AC)의 공동 창업자들이 창업한 암호화폐 거래소 OPNX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오늘 OPNX의 24시간 거래량이 처음으로 1억 달러를 돌파했다. 단 3개월 만에 24시간 거래량이 13.64달러에서 1.6억 달러까지 증가한 것"이라고 말했다.

[해킹 피해 릿스왑, 해커에 탈취금 반환 요청]

오늘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에 노출된 릿스왑(LeetSwap)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해커에게 "50 ETH를 제외한 나머지 탈취금을 릿스왑 디플로이어(배포자)에 반환하길 요청한다. 반환 시 당신의 베이스(BASE) 브릿지 사용을 막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릿스왑은 “탈중앙화 거래소(DEX) 플랫폼의 유동성 풀 중 일부가 손상됐을 수 있어 선제적 조치를 위해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단했다"고 밝힌 바 있다. 릿스왑은 베이스(BASE) 기반 밈코인 발드(BALD) 거래를 지원해왔다.

[日 최대 은행, 블록체인 기반 무역금융 네트워크 합류]

렛저인사이트에 따르면, 일본 최대 은행인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MUFG)이 최근 디지털 신용장 관리를 위해 구축된 블록체인 기반 무역금융 네트워크 '컨투어'(Contour)에 합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MUFG는 해당 네트워크의 20번째 은행 회원사이자 8번째 중요 기관 회원사로 분류됐다. 이와 관련 MUFG 측은 "컨투어 네트워크 합류는 전략적 성장과 고객 경험 향상을 위해 디지털화를 추진 중인 MUFG의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텀랩스, 이더리움서 고정금리 대출 프로토콜 출시]

디크립트에 따르면, 블록체인 연구개발 기업 텀랩스(Term Labs)가 이더리움(ETH) 기반 고정금리 대출 프로토콜을 출시했다고 1일 밝혔다. 이와 관련 텀랩스 측은 "오늘날 탈중앙화 금융(DeFi) 시장에서는 변동금리를 적용한 대출 프로토콜이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출 모델은 대규모 전문 포트폴리오가 참여하기에 다소 리스크가 크다. 고정금리 대출은 미국 국채 등 모델에서 영감을 얻었다. 이는 디파이보다 전통금융이 익숙한 대출자 및 차입자에게 선택지를 늘려줘 보다 성숙한 암호화폐 시장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분석 “ETH 옵션 트레이더, 향후 6개월 간 가격 약세 베팅”]

ETH 옵션 트레이더들이 향후 6개월 간 가격 약세에 베팅하면서 ETH 현물 가격이 6주래 최저를 기록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진단했다.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업체 앰버데이터에 따르면 6개월 풋콜 스큐(콜옵션 대비 풋옵션 비용을 측정하는 지수)도 -0.91을 기록, 6월 15일 이후 최저였다. 매트릭스포트 수석 연구원 마르쿠스 틸렌(Markus Thielen)은 “이더리움은 현재 수익성에 비해 과대평가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더리움 월 평균 수익은 1.78억달러로 2021년 강세장(8.26억달러) 대비 -364%를 기록했고, 스테이킹 평균 수익률은 4.98% 미 기준금리보다 낮은 상태다. 이더리움 적정 가격은 현재 가격보다 46% 낮은 1000달러 수준으로 평가된다”고 분석했다.

[컨센시스,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 테스트 툴 출시]

이더리움(ETH) 인프라 및 소프트웨어 개발사 컨센시스(ConsenSys)가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 테스트 툴 딜리전스퍼징(Diligence Fuzzing)을 정식 출시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딜리전스퍼징은 스마트 컨트랙트 툴킷 파운드리와 통합돼 제공된다. 앞서 컨센시스는 클로즈 베타 버전으로 해당 툴을 선보인 바 있다.

[BBC, 탈중앙화 소셜 미디어 '마스토돈' 계정 개설...테스트 진행]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영국 공영방송 BBC가 최근 탈중앙화 소셜 미디어 마스토돈(Mastodon)에 자체 계정을 개설했다고 밝혔다. BBC는 마스토돈 계정을 통해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페디버스(fediverse)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마스토돈 R&D 담당자 트리스탄 페르네(Tristan Ferne) "탈중앙화 소셜 미디어는 BBC의 공공 서비스 목적에 더 부합한다"며 "트위터, 스레드 등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은 명백한 상업적 네트워크로, BBC의 공공 서비스 가치와 부합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커브 창업자, 지금까지 장외거래로 5450만 CRV 매도]

비트코인엠버가 트위터를 통해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커브(CRV)의 창업자 마이클 이고로프(Michael Egorov)가 지금까지 장외거래를 통해 5,450만 CRV를 매도해 약 2180만달러를 받았다”고 전했다. 이어 “이고로프는 여전히 5억개 상당 CRV를 보유 중”이라고 덧붙였다. 복수의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에 따르면, 이고로프는 이번 장외거래는 CRV 당 0.4 달러의 가격에 판매되고 있으며 6개월의 락업 조건이 붙은 것으로 알려졌다.

[테더, 2000만 USDT 갈취 '제로 트랜스퍼' 공격 주소 동결]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테더(USDT)가 약 2000만 달러 상당의 USDT를 탈취한 '제로 트랜스퍼' 공격자의 주소를 블랙리스트에 올려 동결 조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체인 보안 업체 펙실드는 "해당 스캐머는 피해자 주소 '0x4071...9Cbc'로부터 2,000만 USDT를 탈취했다. 피해자는 먼저 바이낸스 계정에서 1,000만 달러 상당의 USDT를 이체받은 후 0xa7B4BAC8f0f9692e56750aEFB5f6cB5516E90570 주소로 USDT를 옮길 예정이었다. 하지만 공격자는 유사한 주소인 '0xa7Bf48749D2E4aA29e3209879956b9bAa9E90570'로 '제로 트랜잭션'을 남겨 피해자의 혼동을 유도했고, 실제로 피해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오인해 공격자의 주소로 2,000만 USDT를 전송했다. 이러한 피싱 사기가 발생한 뒤 테더는 신속하게 동결 조치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soheeyang@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