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리플 변호사 “미 SEC, 이번주 리플 판결 항소 제기할 듯”]
리플(XRP) 지지자로 유명한 미국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제레미 호건이 트위터를 통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과의 소송 판결에 대해 중간항소(interlocutory appeal)를 제기할 의사가 있다면 이번주 항소 제기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하자 미국 변호사 존 디튼이 “동의한다. 다만 SEC가 항소할 거라 확신은 못한다. 나라면 항소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스크롤 “사칭 계정 기승…에어드랍 피싱 주의 당부”]
이더리움(ETH) zkEVM 확장성 프로젝트 스크롤(Scroll)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최근 트위터와 디스코드, 텔레그램에서 스크롤을 사칭하는 계정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스크롤은 자체 토큰을 출시한 바 없으며 당연히 정해진 에어드랍 계획도 없다. 이와 관련한 피싱 사기에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싱크스왑, 리네아 기반 USDC·USDT·DAI 지원]
탈중앙화 거래소 싱크스왑(SyncSwap)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컨센시스의 zkEVM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리네아(Linea) 기반 USDC, USDT, DAI, axlUSDC, WBTC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용자는 싱크스왑 파트너 rhino.fi, 오비터 파이낸스를 통해 리네아로 브릿징할 수 있다.
[팬텀 창시자 “이더리움 연동 위해 레이어2 활용 검토”]
팬텀(FTM) 창시자 안드레 크로녜(Andre Cronje)가 더블록과의 인터뷰를 통해 “팬텀 체인을 이더리움(ETH)에 연동하기 위해 레이어2 네트워크인 옵티미즘(OP) 롤업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옵티미즘 외에 아비트럼(ARB) 스택도 함께 살펴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메타마스크 앱 누적 다운로드 2266만건…업계 1위]
더블록이 코인게코 보고서를 인용, 암호화폐 월렛 메타마스크 앱 누적 다운로드 수가 2266만건을 기록, 암호화폐 핫월렛 다운로드 순위 1위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2~4위인 코인베이스 월렛, 트러스트 월렛, 블록체인닷컴 월렛 앱 다운로드 수는 각각 1000만건을 약간 웃돌았다. 상위 10개 월렛 중 절반은 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지원하거나 소유하고 있는 월렛인 것으로 확인됐다.
[미 특허청, 유력 방송사 CBS NFT마켓 상표권 승인]
미국 변리사 마이크 콘두디스(Mike Kondoudis) 트위터에 따르면 미국 특허청(USPTO)이 미국 유력 방송사 CBS가 출원한 NFT 마켓플레이스 스타 트렉 컨티늄(STAR TREK CONTINUUM) 상표권을 승인했다.
[팬케이크스왑, 아비트럼에 배치]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겸 디파이 플랫폼 팬케이크스왑(CAKE)이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아비트럼(ARB)에 배치됐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현재 팬케이크스왑은 BNB체인, 이더리움(ETH), 폴리곤(MATIC) zkEVM, zkSync Era 등에 배치돼 있으며 락업예치금(TVL)은 15억달러 상당이다.
[$460만 상당 ETH’ 소각 주소, 이번엔 BAYC 등 NFT 3개 소각]
이더스캔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460만 상당 ETH를 소각했던 이더리움 월렛(nd4.eth)이 약 30분 전 BAYC #1368, MAYC #1826, BAKC #6663 등 NFT 3개도 블랙홀 주소로 전송해 소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체인 보안 기업 큐브3.AI가 $820만 시드투자 유치]
디크립트에 따르면 큐브3.AI가 블록체인지 벤처스가 주도한 시드 라운드에서 820만 달러를 조달했다. 이번 라운드에는 디스커버리 캐피털, 심볼릭 캐피털, 하이퍼스피어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조달된 금액은 범죄자금 탈취를 막기 위한 AI 기반 블록체인 보안 애플리케이션 출시에 쓰인다.
[분석 “BTC 미실현 순손익 상승세 지속…강세 전환 가능성”]
온체인 데이터 분석 사이트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그레이티스트트레이더'(Greatest Trader) 기고자가 “최근 비트코인(BTC) NUPL(유통량 대비 자산의 순손익을 측정한 비트코인 미실현 순손익)의 상승세를 고려할 때 현재 시장에선 낙관론이 우세하다”며 “이 지표가 BTC 가격 상승과 함께 전고점을 돌파하면 강세 추세로 전환될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NUPL은 시가총액과 실현 시가총액의 차이를 시가총액으로 나눈 값으로, 현재 수익을 보고 있는 투자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척도로 쓰인다. 지표가 양수이면 투자자가 수익을 내고 있음을 의미하며, 추세가 증가하면 수익 상태에 진입하는 투자자가 늘고 있음을 나타낸다. 크립토퀀트 데이터에 따르면 NUPL은 지난 1월 13일 이후 양수 상태다. 현재 NUPL은 약 0.32다.
[사이버커넥트 “50여개 프로젝트에 커뮤니티 구축 지원”]
웹3 SNS 인프라 프로젝트 사이버커넥트(CYBER)가 현재까지 50개 이상 프로젝트가 사이버커넥트를 활용해 자체 커뮤니티를 구축했다고 전했다. 사이버커넥트는 지금까지 125만명의 온체인 유저를 확보했으며 활성지갑 수 40만개, 온체인 트랜잭션 수 1600만건을 돌파했다. 앞서 바이낸스는 오는 15일 21시(한국시간)에 CYBER를 상장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러시아, 8/15 디지털 루블 파일럿 진행]
러시아가 8월 15일부터 소비자 대상 디지털 루블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워처구루가 전했다. 이번 테스트에는 11개 도시 600여명 참가자, 30여개 기업 등이 참여하며 디지털 월렛 생성, 거래 등을 진행한다. 앞서 지난달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디지털 루블 도입 법안에 서명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앱토스와 파트너십…AI 개발 협력]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가 레이어1 블록체인 앱토스(APT)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 인공지능(AI) 모델에 앱토스의 블록체인 정보를 활용할 계획이다. 앱토스도 마이크로소프트의 AI를 활용해 블록체인 주제에 대해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챗봇 서비스도 제작할 예정이다. 아울러 양사는 스마트 컨트랙트 및 디앱 개발자 지원, 블록체인 기술 기반 금융서비스 솔루션 발굴,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 검토 등도 협력한다. 앱토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애저(Microsoft Azure)를 사용해 밸리데이터 노드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나이지리아 환전사업자협회 “바이낸스, 현지 사업 중단해야”]
나이지리아 자율 규제 기관 환전사업자협회(ABCON)가 바이낸스 현지 사업을 금지해줄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ABCON의 알하지 아미누 과데베 회장은 “바이낸스에서 매초 120만 건의 거래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는 나이지리아 화폐가치를 하락시키는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ABCON은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이 허가한 모든 환전소(BDC)를 취급하는 자율 규제 기관이다. 앞서 나이지리아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자국 내 바이낸스의 사업 활동은 불법이라며 투자자 모집 활동 등을 중단하라고 명령한 바 있다.
soheeyang@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