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SEC, '중간항소' 의지 전달..."리플 판결, 항소 법원 검토 필요" 外

| 토큰포스트 기자

[SEC, '중간항소' 의지 전달..."리플 판결, 항소 법원 검토 필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 판결 한 달 만에 공식적인 항소 의지를 나타냈다. SEC는 9일(현지시간) 애널리사 토레스 판사에 서한을 발송, 리플 판결에 대한 항소 법원의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증권 당국은 판결 일부에 대한 재판이 진행 중인 가운데, 판결의 다른 부분에 대한 중간항소 진행을 요구하고 있다. 중간항소는 판결 확정 전에 진행하는 항소를 말한다. SEC는 항소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한 '프로그램 판매'와 제3자에게 무상 지급했던 '기타 배포'가 증권 거래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법원 판결을 검증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비트킵, 비트겟월렛으로 리브랜딩 완료]

웹3 멀티체인 지갑 비트킵이 비트겟월렛으로 리브랜딩을 완료했다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발표했다. 비트겟은 2021년부터 비트킵에 투자해왔으며 올 3월 3000만달러 규모 비트킵 지분을 인수한 뒤 양사간 사업 통합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리플 CLO "SEC 중간항소 답변서 다음주 제출 예정"]

리플(XRP) 최고법률책임자(CLO) 스튜어트 알데로티(Stuart Alderoty)가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중간항소에 대한 답변서를 다음주 중으로 법원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SEC는 아직 항소할 권리가 없기 때문에 중간항소를 제기할 수 있는 권한을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y00ts, 폴리곤→이더리움 마이그레이션 예정]

NFT 프로젝트 y00ts가 폴리곤에서 이더리움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한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폴리곤에서 제공받은 자금은 전액 반환할 예정이며 마이그레이션 일정은 추후 발표된다. 당초 솔라나에서 구축됐던 y00ts는 지난 3월 폴리곤 체인으로 한차례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한 바 있다.

[폭스비즈니스 기자 "SEC 리플 중간항소 인용 가능성 높지 않다"]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법조계 유력 인사들의 의견을 구해본 결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을 상대로 제기한 중간항소가 법원에서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간항소 인용은 그 과정이 매우 까다롭기로 악명 높다"고 덧붙였다.

[빗썸 HFT 원화마켓 상장]

빗썸은 8월 10일 오후 4시 해시플로우(HFT)를 원화마켓에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오후 2시 오픈이다.

[크립토로 "SEC 중간항소, XRP 증권성 판결과 무관"]

리플(XRP) 커뮤니티를 대변하는 미국 변호사 존 디튼(John E Deaton)이 운영하는 크립토로(CryptoLaw)가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을 상대로 중간항소를 제기하기로 했으나, 쟁점은 앞선 XRP 증권성 판결과는 무관하다"고 진단했다. 크립토로는 "이번에 SEC가 문제를 삼은 지점은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CEO와 크리스 라센 리플 공동 창업자가 XRP 불법 판매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다'는 부분이다. 개인 투자자에게 판매된 XRP는 증권이 아니라는 판결은 이번 중간항소 쟁점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SEC는 '갈링하우스와 라센이 XRP를 증권이라고 인지했음에도 이를 불법으로 판매했다'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이를 입증할 만한 증거나 정황이 없다며 받아들이지 않았었다.

[채굴업체 클린스파크, 2Q 매출 전년 동기비 47%↑]

비트코인 채굴업체 클린스파크(CleanSpark)가 2분기 4550만 달러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3110만 달러 대비 47% 증가한 규모다. 클린스파크는 2분기 말 기준 2180만 달러 어치 현금과 1390만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BTC)을 보유 중이라고 밝혔다.

[테더 CTO "USDT·XAUT 모바일 결제 앱 조만간 출시"]

파올로 아르도이노 테더 CTO가 트위터를 통해 "B2B, B2C, C2C 분야 국가간 결제에 USDT, XAUT를 활용하는 모바일 앱이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이 앱은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현재 비공개 베타 버전이 나와 있으며 조만간 정식 버전이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앱이 비트파이넥스나 제3 플랫폼에서 구축된 것이냐는 질문에는 아직 응답하지 않았다.

[업비트, 오늘 BTC마켓에 STG 상장]

업비트가 오늘 15시 BTC 마켓에 STG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3시간 내 오픈된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3... 중립 유지]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3 포인트 오른 53을 기록하며 중립 단계가 유지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테더 CTO "페이팔 PYUSD, USDC 등 미국 주력 스테이블코인에 타격]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테더 CTO 파올로 아르도이노는 벤징가 인터뷰에서 페이팔 스테이블코인 PYUSD가 미국 시장에 크게 의존하는 USDC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테더는 미국 외 신흥 시장에 역점을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재생에너지 활용 BTC 채굴 연구 논문, 학술저널 플랫폼서 고득점]

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비트코인 에너지 절감을 다룬 연구논문이 스위스 소재 유명 학술저널 플랫폼 MDPI 영향력 지표에서 '매우 높음(168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인용 횟수, 소셜 미디어 언급량, 매체 보도, 온라인 커뮤니티 토론 등을 통해 점수가 매겨진다. 이 논문은 비영리단체 DLT과학재단 소속 후안 이바네즈(Juan Ibañez)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블록체인 기술센터 소속 연구원 알렉산더 프라이어(Alexander Freier)가 저술했다. 이들은 논문을 통해 "비트코인은 작업증명 방식으로 채굴되지만,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채굴은 에너지 그리드에 탈탄소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지난 8일(현지시간) MDPI에 게재된 해당 논문은 이틀 만에 많이 읽은 논문(6개월 기준) TOP5에 이름을 올렸다.

[라이도, 이더리움 스테이킹 800만 개 돌파]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 라이도(LDO)를 통해 스테이킹된 ETH가 800만 개를 넘어섰다. 현재 8,022,382 ETH가 스테이킹 됐으며, 지급된 스테이킹 보상은 383,914 ETH에 달한다. 라이도의 현재 APR은 3.8%이다.

[스타크넷 브릿지 이용자 수, 아비트럼 추월]

듄애널리틱스 데이터에 따르면 zk 롤업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스타크넷(STRK)의 브릿지 이용자 수가 누적 66만738명을 기록해 아비트럼(ARB)의 66만104명을 근소한 차이로 넘어섰다. ETH 예치금 물량은 스타크넷과 아비트럼이 각각 19만5953ETH, 274만4190ETH를 기록 중이다.

[더샌드박스, 8/14 $1.51억 SAND 언락]

토큰언락에 따르면 더샌드박스(SAND)는 8월 14일(현지시간) 총 유통량의 16.16%인 3.72억 SAND를 언락할 예정이다. 약 1.51억달러 규모다. 여기에는 팀 물량 7100만개, 컨설턴트 3700만개, 재단 3900만개, 리저브 9600만개 등이 포함된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