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美 검찰, SBF 소송 증거로 알라메다 전 CEO 일기장 활용 계획 外

| 박원빈 기자

[美 검찰, SBF 소송 증거로 알라메다 전 CEO 일기장 활용 계획]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미국 검찰이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의 형사 재판에서 캐롤라인 엘리슨(Caroline Ellison) 알라메다리서치 전 최고경영자(CEO)의 개인 노트 및 일기 내용을 증거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14일(현지시간) 검찰 측은 엘리슨이 개인 소장하고 있던 '투두리스트'(to-do list, 해야 할 일 목록)와 '샘이 경악하는 것들'이라는 제목의 메모를 증거로 법원에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메모에는 SBF와 엘리슨이 나눈 대화 중 ▲비즈니스 관련 우려 사항 ▲자금 조달 ▲알라메다의 헤지 거래 ▲알라메다와 FTX 관계에 대한 부정적 여론 등 내용이 요약되어 기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FTX와 알라메다리서치가 파산 신청하기 이틀 전인 지난해 11월 9일 회의의 녹취록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녹취록에서는 알라메다 소속 직원 중 한 명이 FTX 사용자 자금 부족 문제를 알고 있는 내부자가 누구인지 엘리슨에게 물었고, 엘리슨은 게리 왕, 니샤드 싱 등 임원을 언급했다. 또 사용자 예치금 유용 주동자로 SBF를 지목한 내용도 포함됐다. 한편 SBF 측 변호인단은 검찰 측의 증거 채택 요청에 "7월 1일 이후 입수된 모든 증거는 재판에서 제외시켜야 한다. 적시에 제공되지 못한 정보로 인해 방어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와이언 커뮤니티, V3 출시 거버넌스 제안 발의]

이더리움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와이언 파이낸스(YFI) 커뮤니티가 V3 출시를 골자로 한 거버넌스 제안을 발의했다. 제안에는 V3 개발 사양, 배포, 구현 프로세스, 거버넌스 역할 등의 내용이 담겼다.

[홍콩 사이버포트 매니지먼트 CEO "당국과 스테이블코인 개발 협력 중"]

홍콩이코노믹저널에 따르면 홍콩 사이버포트 매니지먼트의 피터 얀(Peter Yan) CEO가 "스테이블코인 개발과 관련해 금융 당국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예비 연구가 완료되면 구체적인 기업 지원 전략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홍콩 사이버포트 매니지먼트는 홍콩 정부가 전액 출자해 설립한 회사로, 비즈니스 파크인 사이버포트를 관리하고 있다.

[그레이스케일 GBTC 프리미엄 -23.9%]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글로벌 최대 가상자산 자산 운용사 그레이스케일의 비트코인 신탁 상품의 프리미엄이 -(마이너스) 23.9%를 기록하고 있다. 이외에 그레이스케일 ETH 신탁 상품의 프리미엄은 -35.9%, ETC는 -55.8%, LTC는 -38.7%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그레이스케일이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를 상대로 제기한 GBTC의 BTC 현물 ETF 전환 소송 판결이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있었으나, 이날 별다른 판결 소식은 전해지지 않았다.

[3개 고래 주소, 총 $246만 상당 UNIBOT·밈토큰 BITCOIN 매집]

룩온체인에 따르면 3개 고래 주소가 텔레그램 트레이딩 봇 테마 토큰 UNIBOT과 밈토큰 해리포터오바마소닉10이누(BITCOIN)을 매집하고 있다. 총 246만 달러 상당이다. 이들 주소는 최근 새 주소를 활용해 130만 달러 상당의 6528 UNIBOT을 평단가 195 달러에, 116만 달러 상당의 843만 BITCOIN을 평단가 0.1376에 매수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UNIBOT은 현재 6.38% 오른 195.10 달러에, BITCOIN은 13.79% 오른 0.169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로켓스왑 해커, 탈취 자금으로 토큰 발행 뒤 판매]

펙실드에 따르면 코인베이스의 이더리움(ETH) 레이어2 네트워크 베이스 내 프로젝트인 로켓스왑(RocketSwap_Labs)의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 해커가 방금 전 탈취 자금으로 LoveRCKT 토큰을 발행한 뒤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자는 발행 물량 가운데 2.5조개를 20.33 WETH에 판매했다. 이 해커는 15일 로켓스왑 익스플로잇으로 471ETH(약 $86.8만)을 탈취한 바 있다.

[아우라 파이낸스, 연간 언락 물량 175만개 감축]

밸런서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아우라 파이낸스(AURA)가 개선안 AIP-42가 통과됨에 따라 토크노믹스를 업데이트한다고 X(구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개선안에는 연간 언락 물량 175만개 감축, 투표에 대한 보상 15% 인상 등 내용이 포함돼 있다.

[몽크다오, NFT 프로젝트 솔라나 몽키 비즈니스 $100만에 인수]

외신에 따르면 솔라나(SOL) 기반 NFT 프로젝트 몽크다오(MonkeDAO)가 NFT 프로젝트 솔라나 몽키 비즈니스(Solana Monkey Business)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인수 금액은 100만 달러 규모다. 이에 따라 솔라나 몽키 비즈니스의 모든 지식재산권(IP)은 몽크다오에 귀속된다.

[비탈릭 "트위터 커뮤니티 노트, 크립토 가치에 근접한 기능"]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가 16일 개인 블로그를 통해 "X(구 트위터)의 커뮤니티 기반 팩트체크 기능인 '커뮤니티 노드'(구 버드워치)는 유용하고 가치 있는 기능"이라며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아님에도 암호화폐의 가치를 구현하는 인스턴스화(instantiation, 객체화)에 가장 근접하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그는 "커뮤니티 노트는 중앙화된 주체가 선별한 전문가 집단에 의해 작동되거나 큐레이션되지 않는다. 누구나 작성하고 투표할 수 있으며, 노트의 표시 여부는 전적으로 오픈소스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다. 꽤나 매력적인 소셜 미디어 실험이며,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매커니즘 도입 사례다. 향후 10년간 커뮤니티 노트와 유사한 정신을 계승하는 알고리즘이 더 발전하고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드로파 컴즈 CEO "월가 전통금융 대기업들, 암호화폐 주목도 여전"]

영국 소재 금융 및 핀테크 홍보 전문 에이전시 기업 드로파 컴즈(Drofa Comms)의 최고경영자(CEO) 발렌티나 드로파(Valentina Drofa)가 포캐스트에 게시한 기고문을 통해 "월스트리트 전통금융 플레이어들은 여전히 암호화폐를 주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그는 "JP모건, 씨티그룹 등 주요 은행은 암호화폐 기업들과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감추지 않으며, BNY멜론 은행은 자체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플랫폼을 선보이기도 했다. 비자와 마스터카드 등 결제 네트워크 역시 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테스트하고 있다. 다만, 아직 전통금융권과 암호화폐 산업은 가치관과 관행에 큰 차이가 존재하는 상반되는 진영이다. 두 그룹간의 교집합을 정의하긴 어렵다. 이는 다수의 전통금융 기업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음에도 실질적인 행동에 나서지 않는 이유다. 하지만 암호화폐 산업의 시가총액은 1조 달러를 상회하며, 글로벌 금융의 틈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다. 이미 전통금융 고객들은 암호화폐 시장을 무시해서는 안된다며 기업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라이도, zk오라클 개발사 닐 재단에 개발 보조금 지원]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 라이도(LDO)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라이도 생태계 보조금 프로그램을 통해 영지식(zk) 기술 개발사 닐 재단(Nil Foundation)에 자금을 지원, zk오라클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캐시 개발사, 커뮤니티 연합 TF 조직 추진..."플젝 소유권 탈중앙화"]

프라이버시(트랜잭션 익명성 강화) 암호화폐 프로젝트 지캐시(ZEC) 개발사 ECC가 16일 공식 커뮤니티에서 프로젝트의 디지털 자산 소유권 탈중앙화를 위해 커뮤니티 구성원이 참여하는 태스트포스 팀 조직을 제안했다. 이와 관련 ECC 측은 "지캐시 웹사이트, 기술 관련 문건 허브, 트위터 계정 등 자산의 소유권 탈중앙화와 원활한 관리를 위해 커뮤니티와 연합하길 희망한다. TF 팀은 ECC 측 대표 인원과 커뮤니티 핵심 구성원을 포함해 최대 3명으로 구성된다. 공유 소유권 모델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기술 인프라의 양도 및 신규 거버넌스 메커니즘 수립과 같은 로드맵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ZEC는 현재 4.81% 내린 27.9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 "월드코인, 케냐 당국 1차 경고 무시...이달 초까지 홍채 데이터 수집"]

테크크런치가 "블록체인 기반 홍채 스캔 신원 인증 프로젝트 월드코인(WLD)의 모기업인 툴스포휴머니티(Tools for Humanity, TFH)는 케냐 데이터 보호 위원회(ODPC)의 1차 경고를 무시하고 이달 초까지 현지 사용자들의 홍채 데이터를 수집했다"고 16일 보도했다. 테크크런치는 "ODPC는 지난 5월 월드코인 측에 홍채, 안면 인식 등 개인 데이터 수집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하지만 TFH는 케냐 내무부가 개입하기 전까지 데이터 수집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결국 케냐 내무부가 개입하고, 경찰이 수사에 착수하자 이들은 데이터 수집을 중단했다. ODPC는 케냐 고등법원에 탄원서를 제출했고, 이를 인용한 법원은 월드코인 측에 4월 19일부터 8월 8일까지 케냐인들로부터 수집한 모든 정보를 보존하도록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WLD는 현재 10.38% 내린 1.6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특정 고래, 윈터뮤트에 $149만 UNI 장외 매도 정황]

온체인 데이터 애널리스트 더 데이터 너드(The Data Nerd)가 트위터를 통해 "특정 고래 주소(0xf83로 시작)가 8시간 전 장외거래(OTC)로 암호화폐 마켓메이킹 업체 윈터뮤트(Wintermute)에 250,000 UNI($149만 상당)를 매도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후 윈터뮤트 추정 주소는 59만 8000달러 상당의 100,000 UNI를 바이낸스에 입금했다. 이체 이후 해당 고래 주소는 현재 468,000 UNI($276만 상당)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 기준 UNI는 현재 5.99% 내린 5.8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6.3억 상당 ARB 베스팅 컨트랙트로 전송..."언락 준비 추정"]

스팟온체인에 따르면 약 7시간 전 5억 5300만 ARB($6.3억 상당)가 세이프 멀티시그에서 151개 베스팅 컨트랙트로 분배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멀티시그는 '아비트럼: 투자자 ARB 베스팅'으로 명시돼 있다. 스팟온체인은 "이는 2024년 3월 16일로 예정된 ARB 락업 해제를 위한 준비 작업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BTC
청산 규모: $1237만(롱 $1153만, 숏 $84만)
청산 비율: 롱 93.19%
2. ETH
청산 규모: $1587만(롱 $1530만, 숏 $57만)
청산 비율: 롱 96.43%

[네오, 9/1~2 서울서 해커톤 진행]

네오(NEO)가 OKX, KWB2023과 공동으로 9월 1~2일 서울에서 APAC 해커톤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우승한 2개 팀과 AWS 초이스 수상 2개 팀에 각각 5000달러씩 제공된다. 현재 신청 접수를 받고 있다. 네오는 지난 7월부터 도쿄, 호치민, 싱가포르 등 아태지역 6개 도시에서 해커톤을 진행 중이다.

[인도 코인스위치, 웹3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출시]

힌두비즈니스라인에 따르면 인도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스위치가 현지 VC 그래비티X(GravityX)와 함께 웹3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레비테이트X(LevitateX)를 출시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아시아 태평약 지역 진출을 희망하는 웹3 스타트업에 비즈니스 컨설팅, 자금 지원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코빗, 오늘 18시 ATOM 입출금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코빗이 코스모스(ATOM)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오늘 18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6.3% / 숏 53.7%
1. 바이낸스: 롱 44.7% / 숏 55.3%
2. OKX: 롱 46.8% / 숏 53.2%
3. 데리비트: 롱 42.0% / 숏 58.0%

[애널리스트 "XRP $0.56~$0.6 지지 구간, 장기 투자 진입 타이밍"]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약 66.3만명의 X(구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마이클 반 데 포페(Michaël van de Poppe)가 "바이낸스 XRP/USDT 일봉 차트 기준 0.5663~0.6022 달러 사이에 매물대가 쌓인 지지 구간이 존재한다. 이는 장기 추세를 염두에 둔 진입 타이밍이기도 하다"고 분석했다. 해당 포스트에 첨부한 메모를 통해 그는 "지난달 XRP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진행했던 소송의 약식 판결 발표로 상당한 상승을 기록했지만, 물려있던 홀더들의 이탈과 시장 전반에 대한 관심 약화로 인해 강세장과 비교될 만큼 조정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럴 때 일수록 장기 추세를 보고 뚜렷한 진입 기회를 찾아야 한다. 이러한 기회는 왕왕 투자자들이 신뢰를 상실하는 시점과 겹친다"고 설명했다.

joshua@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