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 CEO "XRP, SEC 항소 인용되더라도 증권 아니다"]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리플 최고경영자(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가 X(구 트위터)에서 “법원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항소를 인용할지와 관계없이 XRP는 증권이 아니다. XRP의 증권성 여부는 논쟁이나 재판의 대상이 아니다. SEC의 주장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말했다. 갈링하우스 CEO는 리플이 미 SEC의 중간 항소(interlocutory appeal)에 반대한다는 입장문을 법원에 제출한 직후 이와 같은 포스트를 남겼다. SEC는 지난 10일 리플소송 판결에 대해 중간 항소를 제기한 바 있다. 담당 재판부는 피고와 원고 측 주장을 종합해 중간 항소를 받아들일지를 결정하게 된다.
[CME그룹, 아태지역 BTC·ETH 기준가격 데이터 제공 예정]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그룹이 암호화폐 인덱스 제공업체 CF벤치마크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비트코인, 이더리움 기준 가격 데이터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CME 측은 "9월 11일부터 매일 오후 4시(홍콩 시간 기준) CME CF 비트코인 기준가격 APAC(BRRAP)와 CME CF 이더리움-달러 기준가격 APAC(ETHUSD_AP)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다. 이는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영국 시간 기준 매일 오후 4시 발표되는 유럽 전용 CME CF 비트코인 기준 가격(BRR), CME CF 이더리움-달러 기준가격(ETHUSD_RR)과 미국 전용 CME CF 비트코인 기준가격 뉴욕(BRRNY), CME CF 이더리움-달러 기준가격 뉴욕(ETHUSD_NY)을 보완한다. BRR, ETHUSD 데이터는 CME 그룹이 제공하고 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선물 계약 정산을 위한 기준가격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분석 “올해 미국 거래소 마켓 뎁스 점유율, 49%→43% 감소”]
암호화폐 분석업체 카이코(Kaiko)에 따르면 올해 미국 거래소의 비트코인(BTC) 및 이더리움(ETH) (2%) 마켓 뎁스 점유율이 49%에서 43%로 떨어졌다. 반대로 미국 외 거래소들은 51%에서 57%로 상승했다. 카이코는 "유동성이 미국에서 이탈하고 있다"고 밝혔다. 2% 마켓뎁스는 유동성 평가 지표로, 중간 가격의 ±2% 이내에 걸려있는 매수 및 매도 주문의 총량을 말한다.
[이달 내 베이스에 신세틱스V3 배포]
탈중앙화 합성자산 프로토콜 신세틱스(SNX)의 거버넌스 기구 스파르탄 카운슬이 코인베이스 레이어2 네트워크 베이스에 신세틱스V3을 배포하자는 제안 SIP-336을 승인했다. 이달 내 배포 완료될 예정이다.
[크립토 인플루언서, 제프리 황에 200개 디갓 NFT 구매 제안]
크립토 인플루언서 ZK 샤크(ZK_shark)가 X(구 트위터)를 통해 NFT 고래이자 대만 유명 가수인 제프리 황(Jeffrey Huang)에게 200개 디갓 NFT 구매를 제안했다. 그는 제프리 황 X 계정을 태그한 뒤 "디갓 커뮤니티를 위해 장외거래(OTC)를 통한 200개 디갓 구매를 제안한다. 구매 가격을 ETH으로 제시해 달라"고 전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 산하 NFT 담보 대출 프로토콜 블렌드에서 지난 7일간 디갓의 NFT 미상환 대출 규모가 41% 증가했다고 전한 바 있다. 디갓 NFT 바닥가는 최근 일주일 사이 50% 이상 하락했다.
[담보 청산 손실액 상위 25건 NFT 대출 중 10건이 BAYC 담보]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NFT 담보 대출 청산으로 인해 채무자가 가장 큰 손실을 입은 NFT 컬렉션은 BAYC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게코는 "상위 25건 NFT 담보 청산 사례 중 10건이 BAYC가 담보로 설정된 대출이었으며, 이로 인한 채무자 손실액은 75만 4,000달러에 달했다. 이외 오토글리프(Autoglyphs)가 25건 중 4건을 차지했으며, 손실 규모가 37만 2,000 달러를 기록해 BAYC의 뒤를 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NFT 담보 대출은 청산을 비롯한 위험을 수반한다. 25개 NFT 청산에서 채무자들은 최소 2만 6,756달러에서 최대 19만 4,861달러의 손실을 봤다"고 덧붙였다.
[웹3 콘텐츠 플랫폼 미러, 리네아 지원]
웹3 콘텐츠 배포 플랫폼 미러(Mirror)가 컨센시스의 zkEVM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리네아를 지원하기 시작했다고 X(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용자는 리네아에서 콘텐츠를 작성, 배포할 수 있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BTC
청산 규모: $4744만(롱 $4489만, 숏 $255만)
청산 비율: 롱 94.63%
2. ETH
청산 규모: $2279만(롱 $1923만, 숏 $356만)
청산 비율: 롱 84.39%
[보안 업체 "시바리움 트랜잭션 처리 대기 중"]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비오신이 "시바이누(SHIB) 자체 레이어2 블록체인 솔루션인 시바리움(Shibarium)에서 트랜잭션이 처리되지 않고 있다. 현재 시바리움 크로스체인 브릿지에는 170만 달러 상당 이더리움(ETH)이 락업돼 있다. 시바리움 사용을 일시 중단하는 게 나을 것"이라고 전했다.
[코인베이스 캐나다 지사장 "캐나다인, 암호화폐 투기 수단으로 안 봐"]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코인베이스(Coinbase)의 캐나다 지사장인 루카스 매더슨(Lucas Matheson)은 "캐나다에서는 디지털 자산을 투기 수단으로 보지 않고 있다. 일상적인 거래를 위한 합법적인 자산으로 보는 시각이 퍼지고 있다. 일상 생활에서 암호화폐 유틸리티, 사용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디갓 공동개발자, 팀 떠난다]
NFT 프로젝트 디갓(DeGods)의 공동개발자 Finny가 X(구 트위터)를 통해 "디갓 팀을 떠날 계획이다. 지난달부터 팀을 떠날 준비를 시작했기 때문에 최근 미상환 대출 증가 등 이슈는 이번 사임 결정과 관련이 없다. 여전히 디갓을 낙관적이라고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작가 벤 맥켄지 “암호화폐, 유가 증권으로 분류해야”]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최근 이지 머니(Easy Money)를 출간한 배우 겸 작가 벤자민 맥켄지(Ben Mckenzie)가 NBC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투자자 보호를 위해 암호화폐를 유가 증권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업계의 워시 트레이딩(자전매매) 행태도 지적했다.
[SHIB, 시바리움 결함 이슈로 9% 급락]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시바이누(SHIB)가 오늘 새벽 출시한 자체 레이어2 블록체인 솔루션인 시바리움(Shibarium)의 브릿지 결함 이슈로 24시간 동안 약 9% 급락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시바이누는 8.38% 하락한 $0.000009227에 거래 중이다. 앞서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비오신이 시바이누(SHIB) 자체 레이어2 블록체인 솔루션인 시바리움(Shibarium)에서 트랜잭션이 처리되지 않고 있다며 사용 중단을 권고한 바 있다. 현재 시바리움 크로스체인 브릿지에는 170만 달러 상당 이더리움(ETH)이 락업돼 있다.
[펜들 파이낸스, 옵티미즘 지원]
일드 거래 프로토콜 펜들 파이낸스(PENDLE)가 옵티미즘 네트워크 지원을 시작했다고 전날 밝혔다. 펜들은 wstETH, rETH 등 유동성 스테이킹 파생상품 금융(LSDFi) 이용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7.5% / 숏 52.5%
1. 바이낸스: 롱 47.1% / 숏 52.9%
2. OKX: 롱 47.0% / 숏 53.0%
3. 데리비트: 롱 48.2% / 숏 51.2%
[국정원 "북한, 올 상반기 1.8억달러 가상자산 해킹 관여"]
아시아투데이에 따르면 국정원은 북한이 2015년 이후 15억달러 이상 가상자산을 불법 탈취했는데, 올해 상반기에만 1억8000만달러 이상 해킹 사고에 관여한 것으로 추정했다.
[업비트, 8/24 이더리움 기반 NFT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가 NFT 월렛 업그레이드로 인해 8월 24일 새벽 2시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 NFT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시바리움 네트워크, 블록 생성 또 중단]
시바리움스캔 블록 브라우저에 따르면 시바이누(SHIB)가 오늘 새벽 출시한 자체 레이어2 블록체인 솔루션인 시바리움(Shibarium)에서 약 40분 전 블록 생성이 다시 멈췄다. 8시간 동안 블록 생성이 멈췄다가 1시간 전 블록 생성을 재개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SHIB는 7.86% 내린 $0.000009285을 기록 중이다.
[분석 "BTC, 단기홀더 실현 가격 근접.. 하향 돌파시 '약세 신호'"]
크립토퀀트 기고자이자 비트코인 온체인 애널리스트 온체인드(Onchained)가 "최근 비트코인(BTC) 가격이 28,300 달러까지 하락하면서 BTC 보유 기간(age band)이 1~3개월인 홀더의 실현가격(Realized Price, 온체인 취득가)에 가까워졌다. 과거 패턴을 감안할 때 BTC가격이 단기홀더 실현가격을 밑돌면 이는 약세 신호다"라고 분석했다.
joshua@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