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초기 개발자, BTC 사이드체인 도입 제안]
블록웍스에 따르면 비트코인 초기 개발자 중 한 명인 Luke Dashjr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드라이브체인을 도입하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을 발의했다. 그는 “드라이브체인 기능을 활용하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는 연결돼 있으면서도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사이드체인을 구축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보안과 안정성은 지키면서도 실험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사이드체인을 위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지 않고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방식이어서 더 투명하고 유지가 편리하다”고 강조했다. 미디어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커뮤니티에서는 드라이브체인으로 인해 채굴자들의 조작이나 오류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40억 자산 운용’ 홍콩 금융사 회장 “고객 요구로 암호화폐 주목”]
홍콩 매체 HKEJ에 따르면 40억 달러 자산을 운용하는 홍콩 금융 서비스 그룹 DL홀딩스 천닝디 회장이 “주로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암호화폐에도 주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아베V3, 베이스에 배치 완료]
아베(AAVE)가 X(구 트위터)를 통해 “코인베이스 L2 네트워크 베이스(BASE)에 아베V3이 배치 완료됐다”고 전했다. 앞서 아베 커뮤니티는 베이스에 아베V3을 배치하자는 제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DWF랩스, 11위 CYBER 고래 등극]
룩온체인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마켓메이커 겸 투자 업체 DWF랩스 추정 주소가 바이낸스에서 17만 CYBER(77만달러)를 출금, 11위 CYBER 고래가 됐다”고 전했다.
[스타크웨어, 8/31 이더리움 스케일링 솔루션 오픈소스화]
zk 롤업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스타크넷(STRK) 개발사 스타크웨어(StarkWare)가 공식 미디엄을 통해 이더리움 스케일링 솔루션 스타크프루버(STARK Prover) 코드를 8월 31일(현지시간) 커뮤니티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앞서 스타크웨어는 스타크프루버를 오픈소스화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해당 엔진은 이더리움 보안 수준을 유지하면서 확장성을 개선한다.
[노달파워, $1300만 투자 유치…BTC 채굴 데이터 센터 확장]
미국 에너지 기업 노달파워가 1300만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블록웍스가 전했다. 자금은 비트코인 채굴을 위한 데이터 센터 확장에 쓰일 계획이다. 노달파워는 미국에서 채굴 데이터 센터 2곳을 운영하고 있으며 3번째 센터는 내년 초 가동될 예정이다.
[미 법원, 그레이스케일 BTC 현물 ETF 전환 소송 오늘도 미판결]
그레이스케일 최고법률책임자 크레이그 살름(Craig Salm)이 X(구 트위터)를 통해 “그레이스케일이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를 상대로 제기한 GBTC의 BTC 현물 ETF 전환 소송 판결이 오늘도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당초 업계 안팎에선 오늘 법원이 결정을 내릴 것이란 전망이 있었다. 앞서 법원이 지난 18일 판결을 내릴 것으로 예상됐으나 당시에도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DEX 클리퍼, 거버넌스 토큰 출시…에어드랍 클레임 진행]
탈중앙화 거래소 클리퍼(Clipper)의 거버넌스 조직 AdmiralDAO가 거버넌스 토큰 SAIL을 출시했다고 X(구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총 발행량은 1억개이며, 에어드랍 물량은 1000만개다. 에어드랍 클레임은 오픈된 상태다.
[EDX마켓, 암호화폐 커스터디 파트너로 앵커리지 선정]
블룸버그에 따르면 시타델 증권,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 찰스 슈왑 등 금융 대기업들이 공동 설립한 암호화폐 거래소 EDX마켓(EDX Markets, 이하 EDXM)이 암호화폐 커스터디 파트너로 앵커리지디지털(Anchorage Digital)을 선정했다. 이에 따라 자체 청산 사업(clearing house business)을 통해 거래를 청산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EDXM은 설명했다. EDXM의 청산 업무는 내달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쉐어스봇 “봇 v1, 프렌드테크 API 제한 우회”]
소셜 네트워크 지분 추적 및 거래 봇 쉐어스봇(Shares Bot)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오늘 출시한 봇 v1을 통해 베이스(Base) 기반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프렌드테크 API 제한을 우회했다”고 밝혔다. 이어 "v1은 재미를 위해 개발됐으며 프렌드테크 전용 TG 트레이딩/스나이퍼 봇 기능에서 그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페이, 브라질서 서비스 개시]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브라질에서 바이낸스 페이를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브라질 이용자들은 헤알화를 이용한 실시간 암호화폐 결제를 이용할 수 있다.
[오안다, 영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패스 대주주 등극]
미국 외환 트레이딩 업체 오안다가 영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패스 지분을 인수, 대주주가 됐다고 크립토슬레이트가 전했다. 구체적인 인수 금액은 밝히지 않았다. 2018년 설립된 코인패스는 영국 금융감독청(FCA)에 등록돼 있으며 기관, 전문 투자자, 개인 등에게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테더, 스위스 루가노시 자체 블록체인 3A체인과 파트너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T 발행사 테더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스위스 루가노시가 자체 구축한 블록체인 3A체인(3Achain)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테더는 3A체인의 검증 노드를 호스팅하고 관리하게 된다. 루가노시가 출시한 스테이블코인 루가(LVGA)는 3A체인에서 발행되고 있다.
[메이플 파이낸스, $500만 투자 유치]
메이플 파이낸스(MPL)가 500만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이번 라운드는 블록타워 캐피털, 타이오가 캐피털이 주도했다. 투자금은 아시아 시장 진출에 쓰일 예정이다. 메이플파이낸스는 지난해 FTX 파산 여파로 암호화폐 대출 시장이 위축돼 솔라나 블록체인에 대한 대출 서비스를 중단했다가 최근 재개한 바 있다.
soheeyang@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