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아크인베스트먼트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낙관론 우세" 外

| 하이레 기자

[프로골퍼 안성현·이상준 빗썸홀딩스 대표 불구속 기소]

뉴스1에 따르면 코인 상장 뒷거래 의혹을 받은 프로골퍼 안성현씨(42)와 이상준 빗썸홀딩스 대표(54)가 불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2부(부장검사 채희만)는 8일 안씨와 이 대표를 배임수재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 안씨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사기) 혐의도 받는다. 아울러 코인 상장을 청탁한 강종현씨(41)와 코인 발행업체 관계자 송모씨도 각각 배임증재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대검, '가상자산 규율 법적 과제' 형사법 세미나]

연합뉴스에 따르면 대검찰청이 8일 '가상자산의 규율에 관한 법적 과제'를 주제로 형사법 학계와 유관기관 관계자를 초청해 '제3회 형사법 아카데미'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정과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 합동수사단 출범 등에 발맞춰 관련 형사법적 쟁점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토론에서는 가상자산의 특징을 반영한 민사집행 관련 법안 등 보완 입법과 가상자산의 실효적인 압수·몰수·보전을 위한 플리바게닝 제도 도입 등이 제시됐다.

[탈중앙화 인퓨라, 수개월 내 출시]

컨센시스 산하 웹3 API 제공업체 인퓨라(Infura)가 수개월 내 탈중앙화 인퓨라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탈중앙화 인퓨라는 주요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네트워크의 일부를 담당할 예정이다. 사이먼 모리스(Simon Morris) 컨센시스 전략 책임자는 "탈중앙화 인퓨라는 데이터 서비스 제공업체 한 곳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이더리움에 대한 액세스가 더욱 안정적이며 검열에도 강할 것"이라고 말했다.

[호주 핀테크 업체 블록 어너, 암호화폐 담보 대출 상품 출시 예정]

무허가 금융 서비스 제공 혐의로 규제 기관과 법적 공방을 벌이고 있는 호주 핀테크 업체 블록 어너(Block Earner)가 새로운 암호화폐 담보 대출 상품 출시를 계획 중이라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블록 어너는 최근 X(구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를 담보로 현금을 빌릴 수 있는 상품을 9월 말 출시할 계획이다. 우선 비트코인만 담보로 인정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호주증권투자위원회(ASIC)는 암호화폐 기반 고정 수익 상품을 제공한 블록어너에 대해 영업 정지 명령 및 벌금 부과를 위한 사법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전한 바 있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BTC 청산 규모: $3224만(롱 $732만, 숏 $2492만) 청산 비율: 숏 77.28% 2. ETH 청산 규모: $703만(롱 $193만, 숏 $510만) 청산 비율: 숏 72.54%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1.6% / 숏 48.4% 1. 바이낸스: 롱 51.8% / 숏 48.2% 2. OKX: 롱 51.5% / 숏 48.5% 3. dYdX: 롱 49.8%/ 숏 50.2%

[EOS 창업자 댄 라리머 "세계 종말 임박, 암호화폐 구세주 아냐"]

댄 라리머(Daniel Larimer) 이오스(EOS) 창업자가 8일 자신의 X를 통해 "세계에 종말이 머지 않았으며, 암호화폐는 우리를 구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세계 3차대전이 다가오고 있으며, 환난과 심판이 함께 할 것이다. 세계의 부패한 정부는 모든 것을 불태울 것다. 하나의 '세계 통화'와 폭정에 대비해야 한다. 목숨보다 진실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어떤 컨센서스도 정의를 구현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분석 "고래들, 지난주 $2.6억 상당 ADA 매도 혹은 다른 지갑 이체"]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알리(Ali)가 X(구 트위터)를 통해 "카르다노(ADA) 고래들이 지난주 약 10억2000만 ADA(2억6500만 달러)를 매도하거나 다른 지갑으로 이체했다"고 전했다.

[아베 커뮤니티, 센트리퓨지 통해 RWA 투자 인프라 구축 제안]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아베(AAVE) 커뮤니티가 실물자산(RWA) 기반 탈중앙 대출 프로토콜 센트리퓨지(CFG)와 파트너십을 체결, RWA(토큰화 실물자산) 투자 인프라를 구축하는 거버넌스 제안을 발의했다. 해당 제안은 센트리퓨지가 서비스 제공자 역할을 맡아 아베DAO의 RWA 투자를 지원한다는 것이 골자다. 아베는 센트리퓨지 프라임에 참여, 트레저리에서 100만 USDC를 할당해 미국 단기 국채 풀 아네모이 LTF(Anemoy LTF)에 투자할 계획이다.

[잭XBT "컴포저블 파이낸스 설립자, 러그풀 전적 있다"]

코스모스 허브는 "새로운 컨슈머(소비자) 체인 초안이 포럼에 올라왔다. 컴포저블 파이낸스는 폴카닷-코스모스 생태계 간 첫 IBC(블록체인 간 통신 프로토콜) 연결에 성공했다. 컴포저블은 코스모스 이코노믹 존(경제 구역)에서 IBC 확장을 꾀하고 있다"고 포스트했다. 이 포스트에 온체인 전문가 잭XBT는 "(컴포저블) 설립자는 몇 가지 러그풀에 연루돼 있다. 다수 핵심 팀원이 불투명한 운영 방식으로 인해 컴포저블/Brainjar(컴포저블 설립자 오마르 자키)의 프로젝트를 떠났다. Brainjar는 SEC(증권거래위원회)에 기소된 전적도 있다"는 답글을 달았다.

[니어 프로토콜, 서울 동대문구와 '웹3 산업 육성' 업무협약 체결]

한국경제에 따르면 니어 재단(NEAR Foundation)은 서울시 동대문구청과 역내 웹 3 산업 육성을 지원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역내 경제발전 및 웹3 산업 정착을 위한 행정 절차 간소화·세제 혜택 부여 △ 웹3 산업의 성장을 위한 인재 양성 프로그램 수립 △원활한 추진을 위한 상시 커뮤니케이션 채널 개설 등 적극적인 상호 지원 구조를 설계, 동반성장 및 발전을 위한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앤장 변호사 "한국, 형사법만으론 가상자산 단속 한계"]

국내 유명 로펌 김앤장 소속 조성훈 변호사가 대한변호사협회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시세조작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나 주된 대응 수단으로 수사기관에 의한 형사법 집행만 이뤄지고 있다. 형법의 보충적 성격을 고려할 때 형사법 집행만으로는 새로운 현상에 적절한 대응이 어렵다"고 진단했다. 그는 "그간 판례를 살펴보면 가상자산 관련 사기죄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핵심은 '기망' 여부다. 부실한 토큰 백서가 투자자를 기망한 것으로 볼 수 있느냐인데, 백서 내용 중 일부라도 수행됐다면 기망으로 인정되기 쉽지 않은 분위기다. 또 최근 판례를 고려하면 가상자산 거래소가 상장을 대가로 금품을 받더라도 배임수증재 성립이 어렵고, 상장 담당 임원이 같은 이유로 돈을 챙기더라도 업무방해죄 적용도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최근 제정된 가상자산법에서 이같은 사각지대를 꼼꼼히 살펴보고 구체적인 규제 항목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노무라 암호화폐 자회사 "약세장 장기화에 흑자 전환 목표 시점 연기 불가피"]

일본 대형 금융사 노무라홀딩스 암호화폐 자회사 레이저디지털(Laser Digital)의 최고경영자(CEO) 제즈 모히딘(Jez Mohideen)이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약세장 장기화로 인해 흑자 전환 목표 시점 연기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지난해 우리는 2024년까지 손익분기점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었다. 하지만 디지털 자산(암호화폐) 약세장이 장기화되면서 거래량이 감소하고, 투자 활동도 위축됐다. 규제 기관의 요구 조건도 점점 더 엄격해 지고 있다. 종합적으로 약세장의 장기화는 흑자 전환을 포함한 전반적인 사업 계획을 지연시키고 있다. 하지만 힘든 시기는 반드시 기회를 동반한다. 블랙록 등 다수의 기관 투자자들의 시장 유입에 자신감을 얻고 있다. 미래는 밝지만 시간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업비트, 9/13 SEI 입출금 일시 중단...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업비트가 세이(SEI)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오는 13일 18시 SEI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홍콩 의원 "규제 기관, '웹3' 표방 불법 기업들 철저히 단속해야"]

홍콩 입법회 의원 던컨치우(邱達根)가 친중 매체 문회보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홍콩 규제기관은 집행 부문과 밀접하게 협력해 '웹3'를 표방하는 불법 기업들이 홍콩에서 돈을 갈취할 수 없도록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현재 홍콩은 웹3 산업 육성에 있어 중요한 시기를 지나고 있다. 질서있고 안정적인 산업 발전을 지원하되 기술 혁신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반대로 이러한 과도기는 사기꾼들과 같은 범죄자들의 표적이 될 수 있다. 웹3 산업의 경우 다단계 쓰레기 코인(空气币) 사기 등이 수면 위로 올라올 수 있다. 규제의 고삐를 늦춰선 안된다. 증권선물감독위원회(증감회, SFC) 등 감독 기관은 라이선스 신청 의지가 없는 사업자를 공표해 투자자들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젝티브 기반 DEX 헬릭스, 시드 라운드서 $200만 투자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인젝티브(INJ)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 헬릭스(Helix)가 시드 라운드에서 2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사이슨 캐피털(Saison Capital)과 슈퍼스크립트(Superscrypt)가 공동으로 주도했으며 이머고 벤처스(Emurgo Ventures), 콤마3 벤처스(Comma3 Ventures) 등이 참여했다. 기업 평가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투자금은 제품 개발에 활용될 예정이다.

[비너스, 4Q 인센티브 플랜 도입...XVS 스테이킹 장려]

탈중앙화 대출 프로토콜 비너스(XVS)가 4분기 새로운 인센티브 플랜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X(구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는 XVS 스테이킹을 장려하기 위함이며 XVS 홀더는 스테이킹 기간, 수량에 따라 두 종류의 소울바운드토큰(SBT)을 받을 수 있다.

[메이커다오, $5천만 규모 미 국채 추가 매입]

메이커번 데이터에 따르면 메이커다오(MKR) 커뮤니티가 암호화폐 투자사 블록타워캐피탈(BlockTower Capital)을 통해 5000만 달러 규모의 실물자산(RWA)을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은 단기 미국 국채를 매입했으며, 연간 이자율은 4.5% 수준이다. 이에 따라 메이커다오가 보유한 총 RWA 자산 규모는 25억 1300만 달러 규모로 집계됐다.

[신세틱스 설립자 "올 4분기 DEX 프런트엔드 출시 예정"]

탈중앙화 합성자산 프로토콜 신세틱스(SNX) 창업자 케인 워윅(Kain Warwick)이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올 4분기 중으로 신세틱스 V3와 DEX 프런트엔드인 인파이넥스(Infinex)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인파이넥스는 옵티미즘(OP)에서의 거래를 지원하며 탈중앙화 무기한 선물 거래소 프런트엔드라는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사용자를 디파이로 유입시키는 것이 우리의 목표다. 아울러 우리는 디파이와 중앙화 거래소 간 사용자 편의성(UI) 격차를 좁히는데 주력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아직 중앙화 거래소의 UI를 편하게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알리바바 앤트체인, 새 웹3 브랜드 'ZAN' 런칭]

진써차이징에 따르면 알리바바가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앤트체인이 글로벌 핀테크 행사 번드(Bund) 컨퍼런스에서 새 웹3 브랜드 ZAN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브랜드는 웹3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솔루션 제공에 주력할 예정이다. 앤트그룹은 올초 ZAN 기술 서비스 시범 테스트를 시작했으며 아시아 디지털자산 투자사 해시키그룹이 ZAN의 e-KYC 기능을 도입한 바 있다. 앞서 코인니스는 앤트체인이 중국과 홍콩 등을 겨냥한 새로운 웹3 브랜드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메이커다오 커뮤니티, 美 재무부 채권 토큰화 상품 개발에 $1억 할당 제안]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메이커다오(MKR) 커뮤니티가 미국 재무부 채권(T-Bill) 토큰화 상품 개발에 1억 달러를 할당하자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을 발의했다. 여기에는 재무부 채권으로 뒷받침되는 fDAI 등이 포함된다. 제안자는 "이를 통해 투명성 확보, 회계 용이성, 자동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0x스코프, 폴리곤 지원]

폴리곤 스페이스에 따르면 웹3 지식 그래프 프로토콜 겸 블록체인 분석 업체 0x스코프(0xScope)가 폴리곤(MATIC)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0x스코프는 폴리곤 네트워크 내 위험도 측정, 트랜잭션 추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외신 "엘살바도르, BTC 채택 2년 성과 처참한 수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웨일와이어(WhaleWire)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엘살바도르가 정확히 2년 전 비트코인(BTC)을 법정화폐로 채택한 뒤 현재까지 눈에 띌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7가지 근거를 제시했다. 먼저, 정부의 BTC 투자 수익률은 현재 -40%를 기록하고 있으며, 엘살바도르 대통령의 무모한 투기로 인해 6,300만 달러 규모의 손실을 입었다. 엘살바도르 사례를 계기로 각국 정부가 BTC 투자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채굴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기관들의 BTC 투자도 86% 이상 감소했다. 엘살바도르 국가경제국 연구에 따르면 정부가 내놓은 BTC 앱 '치보(Chivo)' 사용량이 이전 최대치 대비 98.6% 감소했다. 올 들어 앱 신규 고객은 83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2년 전 발표한 것과 달리 비트코인 시티, 비트코인 병원 등과 같은 프로젝트는 아직 가시화 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 별다른 논의도 진행되지 않고 있다. BTC 도입으로 인해 엘살바도르의 신용등급이 하락했다. 국제통화기금(IMF)과의 관계도 악화됐으며, 국가 신용이 무너지면서 현지 대출 수요자들에 대한 이자율은 더 높아지고 있다. 엘살바도르 대통령은 BTC 채택으로 새로운 기업들이 물밀듯 들어올 것이라 장담했으나, 현재까지 새롭게 등록된 비트코인 관련 기업은 48곳뿐이다. 정부는 비트코인 기반의 10억 달러 규모 채권을 발행하겠다고 발표했으나 돌연 이를 번복하고 막판에는 프로젝트를 무기한 중단했다.

[업비트, 9/15 VAL·DGB 입출금 일시 중단...월렛 업그레이드]

업비트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밸리디티(VAL)와 디지바이트(DGB) 월렛 업그레이드 작업 진행에 따라 15일 00시부터 DGB 및 VAL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블록체인 결제 플랫폼 지부, 사전판매로 $2500만 투자유치]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결제 플랫폼 지부(Zeebu)가 사전판매에서 25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에는 반카이 벤처스(Bankai Ventures) 등이 참여했다. 지부는 로열티 토큰 개발에 투자금을 활용할 예정이다.

[바이낸스, REI 및 MOB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원...입출금 일시 중단]

바이낸스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레이네트워크(REI)와 모바일코인(MOB)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하드포크를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레이네트워크의 경우 블록높이 15,084,585에서 업그레이드가 활성화되며 한국시간 기준 11일 11시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11일 10시부터 REI 입출금이 일시 중단된다. 모바일코인은 한국시간 기준 13일 3시 블록높이 1,894,628에서 업그레이드가 진행되며, 13일 2시부터 MOB 입출금이 중단된다.

[옵사이드 알파 테스트넷, ZK 스택 및 GPU 마이닝 도입]

서비스형 영지식(ZK) 롤업(ZK-RaaS) 솔루션 옵사이드(Opside)는 알파 테스트넷에 원클릭 ZK 롤업 생성을 지원하는 ZK 스택, ZK-PoW 프로토콜을 위한 GPU 마이닝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옵사이드는 현재 zkSync, 폴리곤 zkEVM을 포함한 zkEVM 타입을 지원하며 곧 스크롤, 리네아, 스타크넷 등을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튀르키예 법원, '고객 자금 유용' 거래소 설립자에 1만년 징역형]

튀르키예 법원이 20억달러 고객 자금을 유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토덱스(Thodex) 설립자 파루크 파티 오제(Faruk Fatih Öze)에게 1만1196년 징역형 및 500만달러 벌금을 부과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앞서 그는 40만명 넘는 고객들에게 20억달러 예치금을 반환해주지 않은 채 알바니아로 도피했다가 2022년 8월 체포돼 재판에 넘겨졌다. 이번 재판에서 총 21명 피고인에게 선고된 징역형은 모두 합쳐 4만564년이다.

[빗썸, XYM·GPT·QKC 상폐 및 STAT 투자유의종목 지정]

빗썸이 심볼(XYM), 크립토지피티(GPT), 쿼크체인(QKC) 거래지원을 오는 25일 15시 종료하고 스탯(STAT)을 투자유의종목으로 지정한다고 공지했다.

[비트겟 "전체 암호화폐 지급준비율 208%"]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겟이 준비금 증명 페이지를 통해 “8일(현지시간) 기준 비트코인(BTC), 테더(USDT), 이더리움(ETH), USDC 등 주요 자산의 지급준비율은 416%, 159%, 132%, 1839%를 기록해 초과 담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전체 지급준비율은 208%”라고 밝혔다. 전월 기준 전체 지급준비율은 201%였다.

alice@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