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뉴욕 브리핑] 모스크바 경찰, 암호화폐 거래소 웩스 전 소유주 구속 外

| 양소희 기자

[모스크바 경찰, 암호화폐 거래소 웩스 전 소유주 구속]

현지 미디어 포크로그에 따르면 모스크바 경찰이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웩스(WEX) 전 소유자인 드미트리 모리치크 카첸코(Dmitry Moryachk Khavchenko)를 구속했다. 웩스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의 자산 유용에 대한 다음 심리가 시작되기 전 조치이다. 그는 무기 소지 혐의로 수배됐다.

[외신 "홍콩 주요 통신사, 무허가 거래소 JPEX 모바일 앱 접속 차단"]

홍콩 현지 미디어 이코노믹 저널(hkej)이 "1010, CSL 등 홍콩 내 주요 통신사들이 최근 일련의 사기 혐의를 받고 있는 무허가 암호화폐 거래소 JPEX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속을 차단했다는 일부 사용자의 제보를 입수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홍콩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모두 경찰 당국으로부터 JPEX 모바일 앱 접속을 차단하라는 지시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결과적으로 홍콩 내 모든 통신사가 JPEX 모바일 앱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웜홀, 서클 크로스체인 전송 프로토콜 CCTP와 통합]

블록체인간 통신 지원 프로토콜 웜홀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서클 크로스체인 전송 프로토콜(CCTP)와 통합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웜홀 기반 브릿지를 통해 이더리움, 아발란체, 아비트럼, 옵티미즘 블록체인 간 USDC 크로스체인 전송이 가능해졌다.

[英 국회, 메타버스 이용 연령 확인 조항 포함 '온라인 안전법' 통과]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영국 국회에서 메타버스 이용 연령 확인 조항이 포함된 '온라인 안전 법안'이 통과됐다. 해당 법안 통과에 따라 영국 내 메타버스 플랫폼에 불법 콘텐츠 관련 한층 강화된 감시 및 처벌이 적용될 전망이다.

[홍콩 20대 암호화폐 투자자 20% "내년에도 투자"]

리완추 홍콩 투자자금융교육위원회(IFEC) 총책임자가 최근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지난 4월 위원회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홍콩 젊은층 투자자 중 20%는 내년에도 암호화폐에 투자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 4월까지 홍콩 전체 인구 중 암호화폐 투자자 비율은 2019년 1%에서 6%로 증가했다. 특히 18~29세의 비율이 늘어났으며 이들 중 20%는 내년에도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답했다.

[알고랜드, AWS와 $20만 규모 해커톤 개최 예정]

체인와이어에 따르면 알고랜드(ALGO)재단이 아마존 웹 서비스(AWS)과 함께 20만 달러 규모 글로벌 해커톤을 개최한다. 해커톤은 오는 10월 18일(현지시간)부터 11월 15일까지 진행되며, 등록은 20일 오픈된다. 참가자는 △서클이 제시한 디파이 △유니티가 제시한 게임 △AWS에서 제시한 소비자 △웜홀이 제시한 상호운용성 △알고랜드 재단이 제시한 임팩트 등 다섯가지 트랙을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개발한다.

[배리스캐피털, $7500만 규모 블록체인 펀드 조성 계획]

외신에 따르면 배리스캐피털(Varys Capital)이 블록체인 중심 7500만 달러 규모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당 펀드를 통해 배리스 캐피털은 디파이, 시파이, 게임파이 등 12개 분야에 투자할 계획이다.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 CBDC 감시 방지법에 지지 표명]

블록웍스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DC 소재 싱크탱크이자 비영리 자유주의 연구기관 CEI(The Competitive Enterprise Institute)가 성명을 통해 "연방준비제도(연준)가 CBDC 개발과 관련된 시범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 하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 하원에서 투표 예정인 'CBDC 감시 방지법'에 지지를 표한 것이다. CBDC 감시 방지법은 연방준비은행이 CBDC나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의 발행이나 개발을 감독하는 것을 중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크랩네트워크 거버넌스 공격 노출.. 해커 탈취금 반환 약속]

폴카닷(DOT) 기반 크로스체인 브릿지 프로젝트 다위니아 네트워크(RING)가 X(구 트위터)를 통해 "크랩 네트워크가 거버넌스 공격에 노출됐다. 해커는 대량 CRAB 토큰을 탈취했다. 이에 따라 탈중앙화 거래소 헬릭스(Helix)가 다위니아와 크랩 간 브릿지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했다. 해커는 네트워크가 복구되면 탈취한 자금을 반환하겠다고 약속한 상태"라고 전했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US에 얼마전 $2.5억 빌려줘.. 아직 돌려받지 못했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X(구 트위터)를 통해 "(바이낸스 US 운영사인 BAM가 자오창펑에 2.5억 달러 전환사채를 발행했다는 디크립트 기사는) 방향이 잘못됐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나는 얼마전 BAM에 2.5억 달러를 빌려줬다. 그리고 아직 돌려받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디크립트는 BAM이 지난해 자오창펑에 2.5억 달러 전환사채를 발행해줬으며, 자오창펑은 이를 BUSD로 매입해 이중 1.83억 달러를 팍소스로 송금, USD로 환전했다고 전한 바 있다.

[아즈텍, 스마트컨트랙트 개인정보 테스트넷 '아즈텍 샌드박스' 출시]

ZK롤업 기반 이더리움(ETH) 프라이버시 보호 솔루션 아즈텍(Aztec)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개발자용 테스트넷 '아즈텍 샌드박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아즈텍 샌드박스는 빠른 아즈텍 노드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

[데이터 "NFT 95%, 시가총액 0ETH"]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워처구루가 댑갬블(dappGambl)의 연구 데이터를 인용, 73257개의 NFT 컬렉션 중 69795개 컬렉션의 시가총액이 0ETH라고 전했다. 보고서는 "이 통계를 살펴보면 사실상 NFT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의 95%가 현재 가치 없는 투자를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23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이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코인엑스 "오는 21일 17시, 암호화폐 입출금 서비스 재개"]

해킹 공격을 당한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엑스가 X(구 트위터)를 통해 "오는 9월 21일 17시(한국시간)부터 BTC, ETH, USDT 및 기타 암호화폐에 대한 입출금 서비스를 재개할 예정이다. 해당 자산에 대해 새로운 입금 주소를 생성하므로 이전 주소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인출 요청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다. 공식 업데이트를 계속 확인해달라"고 전했다.

[분석 "올해 암호화폐 거래소 트래픽 대폭 상승"]

올해 암호화폐 시장 약세장 속에서도 다수 암호화폐 거래소 트래픽은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웹 분석 플랫폼인 시밀러웹(Similarweb)의 데이터에 따르면, HTX(구 후오비) 월간 방문자 수는 지난 1월 730만 명에서 8월 2,200만 명으로 200% 이상 급증했고, OKX 방문자 수도 올 초 800만 명에서 8월 2,280만 명으로 급증했다. 게이트아이오와 코인w 트래픽은 올 해 각각 143%, 66%증가했으며, XT.com과 미트마트 트래픽도 올 들어 약 40% 급증했다. 크라켄도 올해 트래픽이 11% 증가했다. 거래소 외에도 암호화폐 지갑인 메타마스크의 월간 방문자 수는 지난 1월 450만 명에서 8월 590만 명으로 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바이낸스 웹사이트의 월별 총 방문 수는 2023년 1월 6,900만 명에서 8월 5,400만 명으로 22% 감소했으며, 코인베이스 웹사이트는 해당 기간 동안 트래픽이 15% 줄었다.

[렛저 CEO "시드 복구 솔루션 '렛저 리커버', 연말 출시"]

암호화폐 하드월렛 업체 렛저(Ledger)의 최고경영자 파스칼 고티에(Pascal Gauthier)가 최근 더블록과의 인터뷰에서 "시드문구 복구 기능을 지원하는 '렛저 리커버' 서비스를 올해 말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티에는 "24단어를 어딘가 저장해야 하는 일은 굉장히 고통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렛저 리커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렛저는 시드문구 복구 기능을 지원하는 렛저 리커버가 포함된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그러나 사용자들 사이에서 제3자에게 시드문구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고, 렛저는 리커버 서비스 출시를 연기했다.

soheeyang@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