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내기사
[디센터] 삼정KPMG가 말하는 최근 블록체인 업계 동향은?
기업이 블록체인을 이해하는 수준이 높아졌다. 2년 전 만해도 효과를 낼 수 없는 부분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려는 기업이 많았다. 블록체인 기술은 만능열쇠처럼 여겨졌지만, 막상 깊이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엔 추세가 바뀌었다. 블록체인을 활용해 실질적 효과를 내려는 기업이 늘고 있다.
[코인리더스] 비트코인 새디스트 루비니 교수 "인도 암호화폐 금지 계획 환영"
24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대표적인 비트코인 회의론자인 루비니 뉴욕대 경제학 교수는 "현재 전 세계 인구수 2위(14억 명)인 국가가 암호화폐를 실제로 금지하면, 해당 국가의 개인 투자자들이 '쓰레기 코인'에 투자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슈어테크 속도전④ -끝] 보험·블록체인 결합 가속화…번거로운 보험금 청구 한큐에
4차 산업혁명의 꽃으로도 불리는 ‘블록체인’ 기술을 보험업에 접목하고자 하는 시도는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코인리더스] 이더리움, '51% 공격'에 취약해지고 있다
시가총액 2위 암호화폐인 이더리움(Ethereum, ETH)이 갈수록 '51% 공격'에 취약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 해외기사
[COINDESK] 비트플라이어·스미토모,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렌탈 시스템 개발
비트플라이어 블록체인과 일본 대기업 스미토모가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에 힘을 합쳤다. 렌탈 계약 서명 처리 등, 렌탈 사업 전체를 모바일 앱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원스톱’ 샵을 구축할 계획이다.
[COINDESK] 비자, “아직 리브라 공식 파트너 아니다”
페이스북의 리브라는 28개 창립 협력사를 확보했다고 알려졌다. 한편, 비자의 CEO 알프레으 켈리(Alfred F. Kelly, Jr)는 올해 3분기 수익 결산 보고 자리에서 리브라 참여가 “구속력이 없는 의향서에 조인한 것”이라며 “27개 업체들도 관심을 표한 것이지 공식적으로 참여를 결정한 것은 아닐 것”이라고 지적했다.
[COINDESK] 뉴에그, ‘비트코인’ 결제 73개국 확장
미국 온라인 전기·소프트웨어 소매업체인 뉴에그(Newegg)가 비트코인 결제 옵션을 확대한다. 성명에서 기업은 73개 국가를 추가해 총 80여 국가에서 비트코인으로 결제를 받을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COINDESK] 암호화폐 스타트업, ‘배틀그라운드’와 맞손
암호화폐 게임 마케팅 스타트업 리퍼리움(Refereum)은 포트나이트의 경쟁사인 플레이어언노운스배틀그라운드(PUBG)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해당 파트너십으로 리퍼리움은 PUBG 로그인 시스템에 접근성을 확보하여, 게임에 기술을 접목할 수 있게됐다고 밝혔다.
미국이 페이스북의 리브라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시빅사이언스(CivicScience )가 미국 성인 17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 약 2%만이 비트코인보다 리브라와 칼리브라 월렛을 신뢰한다고 답했다.
[COINDESK] 데스크톱 채굴 멀웨어 줄고, 클라우드 컴퓨팅 착취 늘고
스카이박스시큐리티의 새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데스크톱 암호화폐 채굴 멀웨어의 활동이 상당히 감소했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 공격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COINDESK] 美 므누신 재무장관, 비트코인 전망 ‘암울’
미국 스티븐 므누신 장관이 암호화폐의 생존 가능성을 낮게 봤다. 장관은 “개인적으로 10년 뒤에도 비트코인을 쌓아두게 되지 않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 있다. 5~6년만 지나도 재무장관으로 비트코인을 거론하는 일도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COINTELEGRAPH] 獨 규제기관, “암호화폐 기업, 내년부터 BaFin 라이선스 있어야”
내년부터 독일이 새로운 자금세탁방지법이 발효한다. 해당 규제는 내년 1월부터 금융 수단으로 간주되는 암호화 자산을 취급하는 사업, 거래소, 월렛 제공업체 등이 연방금융감독청 발행 라이선스를 보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