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10/23 13시 SEI 입출금 일시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3일 13시부터 세이(SEI)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기존 23일 18시에서 5시간 앞당겨졌다.
[비밀번호 관리 플랫폼 '키패스' 피싱 사이트 주의보]
블록체인 보안업체 슬로우미스트 분석가 23pds가 X를 통해 "오픈소스 기반 비밀번호 관리 플랫폼 키패스(KeePass)의 피싱 사이트가 구글 검색 광고 상단에 노출되고 있다. 해당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링크를 누르면 트로이목마 소프트웨어를 다운 받게 된다. 현재 구글이 이에 대해 조사 중"이라고 전했다.
[특정 고래, 3,574 ETH 추가 매수...총 1.4만 ETH 규모]
엠버CN에 따르면 특정 고래 주소가 방금 전 600만 USDC로 3,574ETH를 추가 매수했다. 해당 고래는 지난 20일 이후 1만 4,647 ETH(2,400만 USDC)를 매집했다. 평균 매수가는 1,638달러 수준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2.64% 오른 1,674.5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루미다웰스 CEO "DCG, NYAG에 패소시 그레이스케일 잃는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등록된 자산운용사 루미다 웰스 매니지먼트의 CEO 램 아루와리아(Ram Ahluwalia)가 X(구 트위터)를 통해 "디지털커런시그룹(DCG), 암호화폐 대출 업체 제네시스(Genesis) 등에 대한 미국 뉴욕 검찰총장실(NYAG)의 기소장을 보면, 이들은 2001년 회계 부정으로 파산한 에너지기업 엔론(Enron)보다 더 교활한 범죄 행각을 벌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지적했다.
[월드코인 재단 "향후 홍채 스캔 장치 운영자들에 USDC 대신 WLD 보상"]
더블록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홍채 스캔 신원 인증 프로젝트 월드코인(WLD) 재단이 "홍채 스캔 장치인 오브(Orb)를 운영하는 오퍼레이터들은 기존 스테이블코인 USDC를 보상으로 받았지만, 향후 WLD으로 보상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재단은 "현재 WLD 유통량은 1.34억개(총 공급량 1.34% 상당)이며, 이 중 1억개는 마켓 메이커에 대출금으로 제공됐고 3,400만개는 오퍼레이터와 사용자들에게 보조금 형태로 분배됐다. 오는 10월 24일 만료되는 1억 WLD 대출은 12월 15일까지 7,500만 WLD으로 축소돼 갱신될 것이며, 마켓 메이커들은 2,500만 WLD(약 4,075만 달러)을 상환하거나 매입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메이커다오, 이번달 1억3000만 달러 규모 실물자산 추가]
메이커번 데이터에 따르면 메이커다오가 이번 달 블록타워 안드로메다 등을 통해 1억3000만 달러 규모의 RWA(실물 자산)를 추가했다. 현재 메이커다오의 RWA 총 자산은 33.27억 달러에 달한다
[패러다임·DEF "미 국세청, 코인베이스 고객 정보 압수는 위헌"]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벤처 투자사 패러다임(Paradigm)과 디파이 교육팀인 디파이 에듀케이션 펀드(DEF)가 법원에 "미국 국세청(IRS)이 코인베이스의 고객 정보를 압수한 것은 정당한 조치였다고 판단한 지방 법원의 판결은 부당하다"는 내용의 아미쿠스 브리프(제3자 의견서)를 제출했다. 앞서 코인베이스 사용자 제임스 하퍼(James Harper)는 IRS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당시 IRS의 압수수색에 문제가 없다고 판결한 바 있다. 패러다임은 "암호화폐 거래소를 이용한다고 해서 행정부가 함부로 개인정보를 압수할 수는 없다. 수정헌법 제4조는 이같은 국민의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또 IRS는 특정인, 특정 그룹의 개인정보를 압수한 것이 아니라 약 1만 명 코인베이스 사용자 정보를 무작위 압수했다"고 주장했다. DEF도 “법원은 암호화폐 기술과 전통 금융 사이의 차이점을 고려해 판결해야 한다. 개인의 금융 생활과 내밀한 사생활이 기록된 블록체인 데이터를 정부가 압수하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더리움 레이어2 스크롤, TVL $900만 돌파]
디파이라마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 zkEVM 확장성 네트워크 스크롤의 총 암호화폐 락업 예치금(TVL) 규모가 906만 달러를 기록했다. 스크롤은 지난 17일 메인넷 출시를 발표했으며, 19일에는 TVL 500만 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다. 향후 분산형 증명 네트워크 및 시퀀서를 구축할 예정이다.
[RDNT 커뮤니티, 장기 dLP 지원에 100만 ARB 할당 논의]
아비트럼(ARB)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레이디언트캐피탈(RDNT) 커뮤니티가 장기 적격 탈중앙화 유동성 프로토콜(dLP)에 ARB 준비금을 사용하자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에 투표를 진행 중이다. 제안자는 약 100만 ARB를 장기 dLP에 인센티브로 제공해 토큰의 장기 스테이킹을 장려하자고 말했다. 투표는 23일 5시 16분에 시작됐으며 오는 26일 5시 16분까지 진행된다. 현재 정족수의 84%가량이 투표했으며, 찬성률은 9.55%·반대율은 90.2%다.
[FTX 클레임 장외시장서 달러당 52센트에 거래]
더블록이 FTX 클레임(고객자산 상환 청구) 전문가인 토마스 브라지엘(Thomas Braziel)을 인용해 장외거래(OTC) 시장에서 FTX 클레임이 달러당 50센트 이상에 거래되고 있다고 전했다. 미디어는 "지난주 2,000만 달러 규모의 FTX 클레임이 OTC 경매에서 달러당 52센트에 거래됐다. 클레임 가격이 달러당 50 센트를 넘는 것은 시장이 FTX 사용자 자산 중 약 절반 이상이 회수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FTX 클레임을 구매하면 FTX에 묶인 자산의 회수 권한을 모두 갖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시간 기준)
- 10/24 21:30 라가르드 ECB 총재 연설
- 10/26 02:00 라가르드 ECB 총재 연설, 05:35 연준 의장 파월 연설, 21:15 유로존 금리결정, 21:30 미국 3분기 국내총생산(GDP),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2:00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 23:15 라가르드 ECB 총재 연설
-10/27 21:30 미국 9월 근원 소비지출물가지수
[HTX, 3Q 매출 2475만 달러]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진써차이징에 따르면 HTX(구 후오비)가 3분기 2,475만 달러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HTX는 3분기 수익 중 20%를 자체 거래소 토큰인 HT 소각에 투입했다.
[아네타BTC 커뮤니티, cNETA·NETA 유통량 30% 소각 논의]
카르다노(ADA) 기반 비트코인 래핑 토큰 프로토콜 아네타BTC(AnetaBTC) 커뮤니티가 프로토콜 내 BTC펀드7을 폐쇄하고 3억 cNETA와 NETA(유통량의 30%)를 소각하자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제안은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cNETA 매도 압력이 BTC 획득에 따른 이익보다 더 크다고 지적했다. 앞서 아네타BTC는 cNETA를 cBTC로 전환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BTC펀드7을 조성한 바 있다. 오는 10월 25일 23시에 진행되는 투표 결과에 따라 기존 펀드 유지 혹은 소각이 결정된다.
[외신 "마이크로스트래티지, BTC 미실현 수익 6000만 달러 규모"]
워처구루가 X(구 트위터)를 통해 "단일 기업 기준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 중인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의 미실현 BTC 투자 수익이 6,000만 달러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앞서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설립자는 지난 9월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5,445 BTC($1.473억)를 추가 매수했으며 9월 24일 기준 158,245 BTC(평단 $29,582)를 보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04% 오른 29,976.3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