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X 현 CEO, SBF 기부처에 후원금 상세 정보 요구]
블룸버그에 따르면, 존 레이 3세(John J. Ray III) FTX 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소재 비영리 인공지능(AI) 연구기관 CAIS에 지난해 FTX가 후원한 650만 달러 관련 상세 정보를 요구했다. 그는 델라웨어 파산법원 판사에게 해당 지불 건에 대한 자료, 정보 등 열람을 강제할 수 있는 '소환장'(subpoenas) 발부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그는 "FTX가 챕터11 파산보호(회생) 신청 전 샘 뱅크먼 프리드(SBF)의 주도로 지급됐던 상당량의 금액을 발견했으며, 이로부터 FTX 고객들의 자금을 회수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며 "CAIS가 '자발적 회계 자료 제공'을 거부했기 때문에 법원의 강제 명령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코인플렉스 채권자, CEO 및 로저 버에 소송 제기]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지난해 파산을 신청한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플렉스 채권자들이 마크 램(Mark Lamb) 코인플렉스 최고경영자(CEO)와 코인플렉스 초기 투자자 로저 버(Roger Ver)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지난 12일 홍콩 민사법원에 제출된 소장에서 채권자들은 "마크 램은 이사회와 채권자 승인을 받지 않고, 암호화폐 거래소 OPNX를 새롭게 론칭했다. 이는 신탁 의무 위반이다. 아울러 OPNX 론칭을 위해 회사의 지적 재산, 기술을 무단 사용했다. 로저 버는 OPNX 지분을 보유하면서 이득을 봤다"고 주장했다.
[코인베이스 CLO “SEC 소송 구두변론, 내년 1/17 진행”]
코인베이스의 최고법률책임자(CLO) 폴 그레왈(Paul Grewal)이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에서 구두변론 일정이 2024년 1월 17일(현지시간)로 정해졌다”고 밝혔다. 한편 전날 코인베이스는 40페이지 분량의 SEC 소송 기각 촉구 최종 탄원서를 제출, "SEC는 미국 의회가 아직 결정하지 않은 사안에 대해 월권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 CEO "하마스 $4100만 암호화폐 조달 보도, 사실 아냐"]
최근 미 의원 100여명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4100만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받았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를 인용하며, 무장단체의 테러자금조달에 암호화폐가 사용되지 못하도록 재무부에 조치를 요구한 가운데,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가 X를 통해 "이는 말도 안 된다. 부정확한 WSJ 기사로 인해 의원의 20%가 서한에 서명했다. 기사에 데이터를 제공한 일립틱은 전날 이 데이터가 잘못 해석됐다고 밝혔다. WSJ가 정정보도를 할 것인가"라고 말했다. 앞서 일립틱은 WSJ가 우리 데이터를 잘못 해석했으며, 현재 이를 정정하기 위해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 WSJ 기자들과 소통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멕시코 상원의원 "BTC 법정화폐 도입, 엘살바도르가 해냈다면 우리도 가능"]
멕시코 상원의원이자 내년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인디라 켐피스(Indira Kempis)가 디크립트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법정화폐 도입과 관련 "엘살바도르가 할 수 있다면 멕시코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멕시코 의회 내에서 '비트코인 법정화폐 도입' 입법 논의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켐피스 의원은 지난해 멕시코 중앙은행의 디지털 화폐(CBDC) 발행 추진을 골자로한 법안을 발의한 바 있다. 당시 발의한 법안 내용 중 비트코인 및 탈중앙화 자산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 그는 비트코인을 자신의 정치적 아젠다의 필수적인 요소로 만들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는 게 디크립트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그는 "CBDC 발행은 (암호화폐 법제화를 위한) 실용적 접근 방식이었으며,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인정하고 수용하는 데 필요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의회 내부에서도 갑론을박이 많은 주제지만, 이는 비트코인 법제화를 위한 건설적 논의가 시작됐다는 의미다. 멕시코의 CBDC인 디지털 페소화는 내년 출시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비트코인이 멕시코 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비트코인을 위한 '십자군 전쟁'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dan@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