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브리핑] SBF "알라메다리서치 통한 FTX 고객 자금 사용, 합법이라 생각" 外

| 하이레 기자

[미 법원, '유가랩스 인종차별 주장' 라이더 립스에 160만 달러 배상 명령]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지방법원이 유가랩스와의 상표권 침해 소송과 관련해 라이더 립스(Ryder Ripps) 측에 약 160만 달러 상당의 손해배상금을 지불하라고 명령했다. 앞서 지난해 6월 라이더 립스는 "유가 랩스가 BAYC를 사용해 동양인과 흑인을 유인원화하는 방식으로 인종적으로 차별하고 있다. 또한 의도적으로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나치의 호루라기를 삽입한 데는 숨은 동기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유가랩스는 라이더 립스를 상대로 명예훼손 및 상표권 침해 등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 올해 4월 미국 법원은 "라이더 립스가 유가랩스의 명예를 훼손했으며 BAYC의 로고를 차용한 NFT를 발행해 유가랩스의 상표권을 침해한 점이 인정된다"고 판결했다.

[김치프리미엄 0% 기록]

BTC 김치프리미엄 0% 기록.
업비트 = 46,130,000 원
바이낸스 = 46,129,122 원
차액 = 878 원

[미 법원, 클라이만 '자칭 사토시 나카모토 크레이그' 항소 기각]

유투데이에 따르면 미국 법원이 아이라 클라이만이 제기한 자칭 '사토시 나카모토' 크레이그 라이트(Craig Wright) 엔체인 수석 엔지니어에 대한 항소를 기각했다. 아이라 클라이만은 자신의 형인 데이브 클라이만(이미 작고)이 크레이그 라이트의 오랜 동료이자 친구였으며, 데이브와 라이트가 공동 채굴한 110만 BTC의 일부는 데이브가 소유권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며 지난 2018년 소송을 제기했다.

[미 증시 3대 지수 하락 마감]

미 증시 3대 지수가 하락 마감했다.

S&P500: -1.18%
나스닥: -1.76%
다우: -0.76%

[업비트, SUI 입출금 일시 중단... 월렛 시스템 점검]

업비트가 수이(SUI) 월렛 시스템 점검으로 인하여 SUI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SBF "알라메다리서치 통한 FTX 고객 자금 사용, 합법이라 생각"]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샘 뱅크먼 프리드 FTX 창업자가 26일(현지시간) 진행된 본인의 형사재판에 참석해 "알라메다 리서치를 통해 FTX 고객 자금을 받는 것이 합법적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FTX가 시그널 및 슬랙과 같은 메시징 플랫폼을 사용하는 것은 사내 변호사의 조언에 따른 것이었다"고 전했다. SBF 측 변호인은 "SBF가 의도적으로 사기를 저지른 것이 아니다. 스타트업 창업 환경에서는 실수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재판은 배심원단 없이 진행됐다.

[1인치 3분기 거래량 $200억]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업체 메사리에 따르면 올 3분기 1인치(1INCH)의 거래량이 200억 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이는 탈중앙화 거래소(DEX) 애그리게이터 전체 거래량의 50% 이상에 해당하는 수치다.

[왁스, 아마존 프라임 게이밍과 파트너십]

왁스(WAXP)가 공식 미디엄을 통해 아마존 프라임 게이밍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파트너십에 따라 왁스 게임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웹3 게임 브롤러즈(Brawlers)가 아마존 프라임 게이밍 사용자들에게 제공된다.

[테더 "엄격하게 규제 준수... 암호화폐 불법 자금 악용 반대"]

테더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암호화폐의 불법 행위 악용 가능성을 둘러싼 최근 이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테더는 "최근 암호화폐 활용 테러 자금 조달 관련 잘못된 데이터가 포함된 보도가 나왔다. 부정확한 정보는 테더를 비롯 암호화폐 업계 전체에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테더는 규제 준수에 있어 타협하지 않는다. 엄격한 모니터링을 시행 중이다. 우리가 부적절한 고객 혹은 관행을 통해 규제를 위반했다는 증거는 없다. 우리는 불법 활동 억제를 위해 19개 관할권의 31개 규제 기관과 협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일부 미국 상원의원은 법무부에 서한을 발송, 바이낸스와 데더가 불법 금융에 연루돼 있을 가능성에 대해 추가 조사할 것을 촉구했다.

[이더리움 개발자 "연내 하드포크 덴쿤 구현 어렵다"]

블록웍스에 따르면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개발자들이 올해 안에 이더리움 하드포크 덴쿤(Dencun)을 구현하기 어려워 보인다고 전했다. 앞서 개발자들은 이더리움 새 테스트넷 홀스카이(Holesky)이 예정보다 늦게 출시되면서 12월 말 전에 업그레이드를 완료하는 것이 불가능해 보인다고 말한 바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 익명의 개발자는 26일(현지시간) 코어 개발자 회의에 참석, "2023년 내 메인넷을 포크할 방법이 없어보인다. 데브넷(devnet)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팀 베이코 이더리움 코어 개발자도 X(구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 테스트넷 데브넷 10(Devnet 10)에서 몇 가지 버그가 발견됐다. 이로 인해 Goerli 테스트넷을 포크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논의 결과 Goerli 테스트넷 포크는 11월 말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 현실적으로 테스트넷 포크에는 2주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메인넷 포크는 내년 진해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DYdX, 코스모스 기반 자체 개발 메인넷 공식 출시]

더블록에 따르면 탈중앙화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dYdX(DYDX)가 코스모스(ATOM) 기반 자체 개발 메인넷 DYdX체인을 공식 출시했다. 이는 독립형(Standalone) 코스모스 레이어1이다. 이에 따라 26일 13시(EST 기준) DYdX체인 검증인이 제네시스 블록을 생성했다. DYdX 재단 최고경영자(CEO)인 찰스 다우시(Charles d'Haussy)는 "수년 간의 개발과 5개의 테스트넷을 운영한 끝에 DYdX체인을 공식 출시했다. 이는 토큰 보유자가 경영에 참여하는 프로토콜 전환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DYdX는 DYdX V4를 알파 메인넷 버전으로 출시했다.

[FTX·알라메다 관련 주소, $267만 LINK 및 $134만 AGLD 매도]

룩온체인에 따르면 FTX와 알라메다 관련 주소가 약 30분 전 253,862 LINK(267만 달러)와 159만 AGLD(134만 달러)를 매도했다.

[시타델 증권 " UST 디페깅 사태와 무관"... 테라 주장에 반박]

시타델 증권이 과거 UST 디페깅 사태를 촉발시켰다는 테라폼랩스의 주장에 대해 시타델 측이 반박했다. 블록웍스에 따르면 시타델증권은 테라폼랩스의 시타델 증권 데이터 공개 요청 거부 서류를 통해 "테라폼랩스는 스스로 초래한 붕괴 과정에 시타델을 끼워 넣어 터무니없는 음모론을 펼치고 있다. 테라폼랩스의 주장은 어떠한 근거도 없으며, 요청한 데이터 역시 사건과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테라폼랩스는 시타델을 UST 디페깅 사태 촉발 원인으로 지목하며, 지난해 3월1일부터 5월 31일까지 UST 및 LUNA와 관련된 시타델 거래 데이터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미 의원, 법무부에 테러 자금 연루 관련 바이낸스·테더 추가 조사 촉구]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 및 하원의원 프렌치 힐(French Hill)이 26일(현지시간) 법무부(DOJ)에 서한을 발송, 테러리스트 그룹과 관련해 바이낸스와 테더가 불법 금융에 연루돼 있을 가능성에 대해 추가 조사할 것을 촉구했다. 그들은 "제재법 및 은행비밀보호법을 근거로 바이낸스와 테더의 테러리스트 지원 가능성을 추가 조사할 것을 촉구한다. 이스라엘을 표적 삼고 있는 테러리스트의 자금원 차단을 위해 바이낸스 및 테더를 강력하게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레오, zk 기반 신원확인 프로토콜 출시]

블록웍스에 따르면 프라이버시 강화 블록체인 인프라 플랫폼 알레오(Aleo)가 영지식(zk) 기반 신원확인 프로토콜 zPass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알레오는 "zPass는 2단계에 걸쳐 개인 신원을 안전하게 확인한다. 사용자는 신원확인 관련 서류를 개인정보 보호 서버에 업로드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대상 및 데이터 공개 설정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비트럼 "오르빗 메인넷 곧 출시"]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아비트럼(ARB)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아비트럼 오르빗(Arbitrum Orbit) 메인넷을 곧 출시한다"고 전했다. 아비트럼 오르빗은 보안을 유지하면서 대규모 확장성을 제공하는 레이어3용 프레임워크로, L3 배포에 DAO의 허가가 필요하지 않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SEC 제출된 BTC 현물 ETF 신청 서류, 8-10건 아닌 12개"]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구 트위터)를 통해 "그(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위원장)는 지난주 인터뷰에서도 8-10개의 BTC 현물 ETF 신청 서류가 있다고 말했다. 누군가 그에게 8-10개가 아닌 11개라고 전해줘야 한다. 그레이스케일의 GBTC까지 포함하면 12개"라고 말했다. 앞서 게리 겐슬러는 “SEC에 제출된 8~10건의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신청 서류를 검토 대상으로 보고있다"고 말했다.

[분석 "BTC, 강세장 초기 단계.. 온체인 지표상 추가 상승 여지 충분"]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분석 플랫폼 인투더블록(IntoTheBlock) 리서치 총괄 루카스 아우투무로(Lucas Outumuro)가 "비트코인이 강세장 초기 단계에 들어섰다"고 진단했다. 그는 "MVRV(실현 가치 대비 시장 가치) 비율이 100% 이상을 회복하면 강세장 초기 시그널이다. 현재 MVRV 비율은 165%를 가리키고 있다. 이전 강세장에서 해당 지표가 300% 이상을 찍었던 것을 감안하면 BTC의 추가 상승 여지는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외신 "튀르키예 정부, 내년 암호화폐 수익에 세금 부과 계획"]

우블록체인(wu blockchain)이 현지 미디어를 인용, 튀르키예 정부가 내년 암호화폐 수익에 세금을 부과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튀르키예 정부는 암호화폐 자산 정의를 위한 법률 연구와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규제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해당 자료는 2024년 튀르키예 대통령 연간 계획서에 포함된 내용이다.

[DWF랩스, 데리비트로 280 ETH 이체]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아캄 인텔리전스 데이터에 따르면 DWF랩스 추정 주소가 약 35분 전 암호화폐 옵션 거래소 데리비트로 280 ETH를 이체했다.

[미 상원 은행위원회 위원장 "암호화폐, 테러 자금 조달 방지 조치 시급"]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위원장 셰러드 브라운(Sherrod Brown)이 테러 자금 조달 및 제재 회피에 대한 암호화폐 사용 단속을 촉구했다. 그는 "일부 암호화폐 플랫폼은 신원확인 등 보안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 일부 암호화폐는 익명 거래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악용하는 일이 없도록 은행위원회의 초당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션 케이스튼(Sean Casten) 미국 하원 의원이 암호화폐를 이용한 테러 자금 조달을 막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라고 전한 바 있다.

[미 법원, SBF 무죄 선고 요청 거부]

로이터에 따르면 FTX의 창업자 샘 뱅크먼 프리드(SBF)의 재판 담당 판사 루이스 카플란(Lewis Kaplan)은 해당 사건이 배심원단에 회부되기 전 SBF에 대한 무죄를 선고해 달라는 SBF 측 요청을 거부했다. 앞서 SBF 측 변호인단은 "검찰이 SBF의 사기 등 7건에 대한 혐의를 입증하지 못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디브릿지, 보조금 10만 OP 배포 위해 인센티브 프로그램 출시]

크로스체인 프로토콜 디브릿지(deBridge)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보조금 10만 OP 배포를 위해 프로젝트 이니셔티브인 OP호라이즌(OP Horizon)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 DLN API 또는 DLN위젯 2) DLN 트레이드 및 디스왑(deSwap) 사용자를 대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며, 규모는 지불한 수수료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alice@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