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와이즈 CIO "금융 자문가 61%, 2025년 이후에야 BTC 현물 ETF 승인 가능"]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Bitwise)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트 호건(Matt Hougan)이 X를 통해 "매년 우리는 수백명 금융 자문가 대상 암호화폐 서베이를 진행한다. 올해 서베이 작업은 절반 정도 진행된 상태다. 우리가 던진 질문 중 하나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시기다. 응답자의 61%는 2025년 이후라고 답했다"고 말했다.
[블랙록 이더리움 현물 ETF 델라웨어 등록]
블랙록이 델라웨어 주 기업 등록 웹사이트에 이더리움 현물 ETF 'ISHARES ETHEREUM TRUST'를 등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 사용자(@SummersThings)의 해당 포스트를 리포스트 했다. SummersThings는 "블랙록은 앞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서를 제출하기 7일 전 델라웨어 기업등록 웹사이트에 'ISHARES BITCOIN TRUST'를 등록한 바 있다"고 부연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ETH는 현재 8.3% 오른 2,043.1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1시간 0.62억 달러 규모 선물 포지션 강제 청산]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0.62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2.67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BTC 미실현 수익 $12억 돌파]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의 미실현 수익이 12억 달러를 돌파했다. 회사는 158,400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매수가는 29,586 USDT다.
[라오스 암호화폐 사업자, $2천만 부채 보유...체납 등 원인]
라오스 암호화폐 사업자들이 체납 등을 이유로 2000만달러 부채를 지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앞서 라오스 정부는 세수 확대를 위해 15개 블록체인 회사에 라이선스를 발급한 바 있다. 하지만 암호화폐 시장 침체로 회사들이 제때 세금을 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에 정부는 부채액의 50%를 삭감해줄 계획이다.
[서클, USDC 및 EURC v2.2 업그레이드 발표]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이 공식 페이지를 통해 USDC 및 EURC v2.2 업그레이드 내용을 발표했다. 업그레이드 내용은 ▲스마트 컨트랙트 월렛에서 서명 검증 활성화 ▲차단 주소 설정 ▲타임스탬프 체크 스킵 등 기능이 포함됐다. 오늘부터 각 블록체인 테스트넷 메인넷에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며 완료될 때까지 수개월이 걸릴 예정이다.
[갤럭시디지털 설립자 "미국, 내년까지 암호화폐 규제 승인 안 할 것"]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 노보그라츠 갤럭시디지털 설립자가 “미국은 내년까지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를 승인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VC 라이트스피드 팩션, 3700억원 규모 암호화폐 펀드 출범]
블록체인 VC 라이트스피드 팩션(Lightspeed Faction)이 2.85억달러(3700억원) 규모 암호화폐 펀드를 출범한다고 테크크런치가 단독 보도했다. 해당 펀드는 블록체인 스타트업의 시드투자, 시리즈A 투자에 중점을 둔다. 이미 일부 프로젝트에 자금의 20%를 투자한 상태다. 라이트스피드 팩션에는 과거 코인베이스, 블록체인닷컴, 앰버그룹 등에서 근무했던 멤버들이 합류해 있다.
[일본 노무라 암호화폐 자회사, 기관용 이더리움 펀드 출시]
일본 대형 금융그룹 노무라홀딩스 암호화폐 자회사 레이저디지털(Laser Digital)이 공식 페이지를 통해 이더리움 펀드 출시를 발표했다. 이 펀드는 케이맨 제도 기반 장기 뮤추얼 펀드로,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코마이누(Komainu)가 커스터디를 맡는다. 이더리움 현물에 투자할 뿐 아니라 스테이킹을 통한 수익도 거둘 계획이다. 앞서 9월 레이저디지털은 기관용 비트코인 펀드를 출시한 바 있다.
[캐세이증권, 대만 최초 STO 사업 승인 획득]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대만 증권사 캐세이증권(Cathay Securities)이 규제 당국으로부터 토큰증권(STO) 사업 승인을 획득했다. 대만에서 STO 사업 승인을 받은 최초 사례다.
[바이낸스 CEO "웹3 지갑에 많은 시간 할애할 것"]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자오창펑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가 터키 바이낸스 블록체인 주간에서 "디파이(DeFi) 지갑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것이다. 현재 지갑은 안전하지 않고 사용하기도 쉽지 않다. 바이낸스 웹3 지갑은 시작일 뿐 앞으로 더 많은 작업이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들이 사용할 만한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비트코인 반감기로부터 1년 안에 많은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 티월렛·탑포트에 니어프로토콜 기술 활용]
뉴스1에 따르면 SK텔레콤이 현재 운영 중인 웹3 서비스에 니어프로토콜의 블록체인 운영체제 '보스(BOS)'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SK텔레콤 웹CO 담당 부사장은 니어콘(Nearcon) 2023에서 이같은 소식을 전하며 자체 월렛 티월렛, NFT마켓 탑포트에 니어프로토콜이 개발한 블록체인 운영체제 '보스'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니어프로토콜의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니어 호라이즌'과 함께 웹3 스타트업들의 창업을 지원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분석 "솔라나, 신규 자금 유입...한달새 TVL $1.6억 증가"]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지난 한 달간 솔라나(SOL)가 110% 상승하며, 솔라나 블록체인으로 신규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솔라나 생태계 프로젝트의 TVL은 10월 초 3억 달러에서 현재 4억 6,5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지난 1월 출시된 솔라나 밈코인 봉크(BONK) 가격의 경우에도 지난 24시간 동안 66% 상승, 일주일간 170%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soheeyang@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