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 WOZX 상장폐지·TITAN 유의종목 지정]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포스(WOZX)를 상장폐지한다고 공지했다. 투자유의 지정 사유에 대한 소명내용이 불충분하고, 이전 투자유의 지정 시 제출된 소명자료에 대한 이행 수준이 낮은것으로 확인됐다는 것이 빗썸의 설명이다. 또 타이탄스왑(TITAN)은 신규 투자유의종목으로 지정됐다. 재단의 로드맵, 개발 및 사업현황을 확인하기 어렵고, 낮은 유동성 및 거래지원 시점 대비 시가총액이 크게 하락했다는 것이 지정 사유다.
[싱가포르 통화청 총재 "CBDC·스테이블코인은 미래 금융 생태계 핵심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싱가포르 통화청(Monetary Authority of Singapore, MAS) 총재 라비 메논(Ravi Menon)이 핀테크 페스티벌에 참석해 "미래 금융 생태계의 일부가 되는 건 암호화폐가 아닌, 스테이블코인과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디지털 화폐에는 4개의 경쟁자가 있다. 민간 발행 암호화폐, CBDC, 토큰화 자산, 규제 적격 스테이블코인 등이다. 그러나 민간 발행 암호화폐는 가치 저장 수단으로 작동하지 못했고, 가격 변동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손실을 입었고, 결국 디지털 화폐 적격성 테스트에서 사실상 낙제점을 받았다. 반면 디지털 자산 결제 인프라 업체 스트레이츠엑스(StraitsX)의 헤데라 네트워크 기반 싱가포르달러 스테이블코인(XSGD), 팍소스의 PYUSD, 그리고 CBDC의 전망은 매우 밝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필리핀 재무부, 11/20 토큰화 국채 $1.7억 규모 발행]
블룸버그에 따르면 필리핀 재무부가 오는 20일(현지시간) 1년 만기 토큰화 국채를 발행할 예정이다. 발행 물량은 1억 7900만 달러 규모다. 재무부는 이를 위해 당초 예정됐던 일반어음 국채 발행 계획을 취소했다. 국채 금리는 수요조사를 거친 뒤 오는 20일(현지시간) 발표될 예정이다.
[금융위 상임위원 "가상자산 규제 계획 수립 적기"]
서울경제에 따르면 김용재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이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에서 "지금이 가상자산과 관련한 규제 실행계획을 세우기 적절한 시기"라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국가 간 관련 규제에 대한 이행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FSB가 계획 중인 상호평가(peer review)가 충실히 이행돼야 한다. 향후 FSB 등에서 논의될 보다 구체적인 규제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JRNY 크립토, 산하 커뮤니티에 200만 APE 투표권 일임]
APE 고래로 알려진 JRNY 크립토(@JRNYcrypto)가 X를 통해 자신이 보유한 200만 APE의 투표권을 산하 커뮤니티인 JRNY 클럽에 일임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에 따라 JRNY클럽 NFT 보유자는 에이프코인 커뮤니티에 거버넌스 제안(AIP)을 발의할 수 있다. 또 해당 제안은 JRNY 클럽이 일임받은 200만 APE 투표권의 지원을 받기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우리는 조만간 JRNY 클럽 DAO를 구축하는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스시스왑, 토크노믹스 개편안 거버넌스 투표 개시]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 스시스왑(SUSHI)의 자레드 그레이(Jared Gray) 헤드셰프 겸 최고경영자(CEO)가 이달 초 제시한 토크노믹스 개편안이 거버넌스 투표에 부쳐졌다. 현재 찬성률은 100%로, 투표는 오는 25일 2시에 종료될 예정이다. 자레드 그레이가 제시한 토크노믹스는 ▲유동성 보조금 효율 개선 ▲재무 안정성 개선 ▲유동성 공급자(LP) 인센티브 재조정 ▲스테이킹 메커니즘 개선 ▲xSushi 배포 메커니즘 조절 ▲거래·라우팅·스테이킹 수수료 ▲파트너십을 통한 매출 확대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RWA 프로토콜 폴리트레이드, 온도파이낸스 등과 RWA 마켓 구축 파트너십]
실물자산 토큰화(RWA) 프로토콜 폴리트레이드 파이낸스(TRADE)가 온도파이낸스, 오픈에덴, 골드핀치파이낸스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비트코인닷컴이 전했다. 폴리트레이드는 "파트너십을 통해 RWA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RWA 마켓플레이스는 RWA 거래 및 수집을 위한 공간으로, 'RWA용 오픈씨'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폴리트레이드는 암호화폐 마켓 메이커 겸 웹3 투자사 DWF랩스(DWF Labs)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탈중앙화 개인정보 보호 프로토콜 힌칼, $410만 규모 투자 유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탈중앙화 개인정보 보호 프로토콜 힌칼(Hinkal)이 410만 달러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 라운드는 드레이퍼 어소시에잇츠(Draper Associates)가 주도했으며, NGC벤처스, 오렌지DAO, 노리미트홀딩스 등이 참여했다. 구체적인 투자금 사용처는 알려지지 않았다. 힌칼은 현재 6개 EVM 체인 메인넷에 배포돼 있으며, 디파이 거래자를 위한 규제 준수 및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2년 휴면 주소, 크라켄으로 $497만 DYDX 입금]
룩온체인이 X(구 트위터)를 통해 "2년간 휴면 상태였던 특정 주소가 5시간 전 120만 DYDX(497만 달러)를 크라켄으로 입금했다. 해당 주소는 지난 2021년 DYDX 재단으로부터 400만 DYDX를 전송 받은 바 있으며, 현재 280만 DYDX(1160만 달러)를 보유 중이다"라고 전했다.
[아서헤이즈 추정 주소, 크라켄으로 $34만 SUSHI 이체]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엠버CN(EmberCN)이 "비트멕스 설립자 아서헤이즈 소유 추정 주소가 3시간 전 331,470 SUSHI(34만 달러)를 크라켄으로 이체했다. 해당 주소는 지난해 5월 바이낸스와 FTX에서 131만 SUSHI(176만 달러)를 평균가 1.345 달러에 스테이킹한 바 있다. 이후 같은해 8월 100만 SUSHI(150만 달러)를 알라메다 리서치로 이체했다. 1년 반 동안의 SUSHI 투자로 예상되는 아서헤이즈의 수익은 8만 달러다"라고 밝혔다.
[액시인피니티 공동설립자 "픽셀 일일 활성사용자 수 10만"]
액시인피니티(AXS) 공동설립자 제프리 저린(Jeffrey Zirlin)이 X(구 트위터)를 통해 "P2E 게임 픽셀(Pixels)의 일일 활성사용자 수가 10만명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싱가포르통화청, 스트레이츠엑스 스테이블코인 발행 잠정 승인]
라비 메논 싱가포르 통화청(MAS) 총재가 "싱가포르 소재 디지털자산 플랫폼 스트레이츠엑스(StraitsX)가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잠정 승인했다"고 밝혔다.
[팍소스, 싱가포르서 라이선스 취득...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계획]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팍소스(Paxos)가 싱가포르에서 디지털 토큰 결제 서비스 임시 라이선스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팍소스는 싱가포르에서 미국 달러로 지원되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계획이다.
[썸씽, DWF랩스와 파트너십 확대]
블록체인 기반 소셜 노래방 앱 썸씽(SSX)이 공식 미디엄을 통해 DWF랩스와 파트너십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 확대로 DWF 랩스가 썸씽 생태계 개발을 위해 2년간 100만 달러 이상의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며, 해당 자금은 연구개발(R&D), 마케팅, 홍보, 글로벌 거래소 상장 및 유동성 확대에 쓰일 예정이다. DWF랩스는 지난해 11월 썸씽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후, 첫 투자를 단행 한 바 있다.
[국민연금, 美 코인베이스 주식 260억원치 매수]
국민연금이 나스닥에 상장된 코인베이스 주식을 약 260억원어치 사들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뉴스1이 단독 보도했다. 국민연금이 미국 주식 포트폴리오에 가상자산 관련 기업을 담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민연금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주식 보유 현황 보고서 공시에 따르면 지난 3분기 국민연금은 코인베이스 주식 28만2673주를 취득했다. 평가액은 1993만4100달러로 한화 261억원에 이르는 규모다. 미디어는 "국민연금이 코인베이스를 매수한 뒤 비트코인이 강세를 나타내면서 국민연금은 해당 종목으로 높은 수익을 거둔 것으로 파악된다. 국민연금의 코인베이스 주당 평균 매수가는 70.5달러다. 간밤 종가 기준으로 코인베이스가 98.15달러에 마감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 분기 만에 40%가량의 수익을 올리고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DWF랩스 파트너십' 썸씽, SSX 유통량 변경...3.99억 SSX↑]
쟁글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소셜 노래방 앱 썸씽(SSX)이 DWF랩스와의 파트너십에 따라 SSX 토큰 분배 계획을 업데이트했다. ▲락업 해제 기간은 오는 1월 1일부터 내년 12월 31일 ▲해당 기간 내 락업 해제 물량은 7.18억 SSX(유통량의 24.85%) ▲락업 해제 후 유통량 3,606,885,739개 등이다. 특히 락업 해제 후 유통량은 당초 공개했던 2024년 말 유통량과 비교해 3억 9900만 SSX가 증가한 수치다.
[빗썸, WOZX 상장폐지·TITAN 유의종목 지정]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포스(WOZX)를 상장폐지한다고 공지했다. 투자유의 지정 사유에 대한 소명내용이 불충분하고, 이전 투자유의 지정 시 제출된 소명자료에 대한 이행 수준이 낮은것으로 확인됐다는 것이 빗썸의 설명이다. 또 타이탄스왑(TITAN)은 신규 투자유의종목으로 지정됐다. 재단의 로드맵, 개발 및 사업현황을 확인하기 어렵고, 낮은 유동성 및 거래지원 시점 대비 시가총액이 크게 하락했다는 것이 지정 사유다.
alice@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