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브리핑] 지난주 BTC 선물 미결제약정 규모, 2022년 3월 이후 최대 규모 外

| 하이레 기자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블랙록 등과의 회의에 SEC 담당자 다수 참여"]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구 트위터)를 통해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블랙록, 그레이스케일, 프랭클린, 피델리티와 비트코인 현물 ETF 관련 미팅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SEC의 트레이딩 및 마켓 부서와 기업 금융 부서 담당자가 각 회의에 모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19b-4(심사를 정식 요청하는 신청서) 및 S-1(증권신고서)의 승인 여부과 시기를 결정짓는 담당 부서"라고 전했다.

[서클 CEO "BTC, 가치저장수단이자 헤지수단... 투자 매력 높아"]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의 최고경영자(CEO) 제레미 알레어(Jeremy Allaire)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치저장수단이자 헤지수단으로 매력을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블랙록 등 유명 기업의 ETF 신청, 기술 발전 및 더욱 명확해진 규제 규정이 암호화폐 시장의 상승세를 이끌고 있다. 촉매제 역할을 한 이것들 모두 거시경제적 요인과 관련 없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체포 당시 입은 정장 포함 새로운 NFT 컬렉션 출시]

CNBC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월 구치소에 자진출두해 체포 절차를 진행했을 당시 입었던 정장 옷 조각을 포함한 새로운 NFT 컬렉션 머그샷 에디션(Mugshot Edition)을 출시했다. 해당 컬렉션은 47장의 디지털카드로 구성됐으며 가격은 개당 99 달러다. 47장의 카드(총 4653 달러)를 모두 구매할 경우, 실제 정장 조각을 배송받게 되며 도널드 트럼프와 플로리다주에서 저녁식사를 하게 된다.

[미 국세청 범죄수사부, 올해 10대 사건 선정... 암호화폐 관련 4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국세청(IRS) 산하 범죄수사부(CI)가 '올해 세간의 관심이 집중된 사건 10개'를 선정한 가운데, 이중 4개가 암호화폐 관련 사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550만 달러 상당의 탈세 혐의로 징역 4년 형 선고받은 오이스터 프로토콜(Oyster Protocol) 창시자 아미르 브루노 엘마아니(Amir Bruno Elmaani) 사건 △실크로드 거래 시스템 조작 혐의로 징역 1년 1일을 선고 받고 34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몰수당한 제임스 중(James Zhong) 사건 △비트코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자금세탁 혐의로 징역 8년 형을 선고받은 뉴햄프셔 남성(이안 프리먼) 사건 △3대 암호화폐 스캠 원코인(OneCoin)을 통한 사기, 자금세탁 혐의로 징역 20년 형을 선고받은 원코인 공동 창업자 칼 세바스찬 그린우드(Karl Sebastian Greenwood) 사건 등이 포함됐다.

[체인링크, zkSync Era 가격 피드 지원]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영지식 증명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zkSync Era가 체인링크(LINK) 가격 피드를 적용했다. 이에 따라 zkSync Era에서 체인링크의 가격 피드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코닉파이낸스 "해킹 보완 업그레이드 버전 출시 준비 완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커브파이낸스 생태계 옴니풀 코닉파이낸스(Conic Finance)가 지난 7월 해킹 이후 이를 보완한 업그레이드 버전 v2를 배포할 준비를 거의 끝냈다고 전했다. 코닉파이낸스는 지난 7월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으로 360만 달러 상당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후 업그레이드 버전 출시를 준비, 관련 버전의 감사 및 테스트를 완료한 상태라는 설명이다. 해당 발표 이후 커버넌스 토큰 CNC이 급등세를 보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CNC는 49.83% 오른 2.2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셀레스티아, 폴리곤 CDK에 적용... TIA 토큰 급등]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레이어1 블록체인 셀레스티아(TIA)가 폴리곤(MATIC)의 체인개발키트(CDK)에 적용된다고 발표했다. 폴리곤 CDK는 영지식 롤업 기술을 활용해 레이어2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툴 세트다. 이번 조치로 셀레스티아는 폴리곤의 맞춤형 소프트웨어 스택에 포함되며, 이를 통해 개발자는 자체 블록체인을 시작할 때 데이터 가용성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셀레스티아의 DA(Data Availability) 솔루션은 오는 2024년 초에 출시, 개발자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해당 소식 발표와 함께 TIA가 급등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TIA는 현재 18.05% 오른 12.0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 스테이킹 플랫폼 SSV, 무허가형 메인넷 출시]

더블록에 따르면, 탈중앙화 이더리움(ETH) 스테이킹 인프라 서비스 플랫폼 SSV네트워크(SSV)가 무허가형 메인넷을 출시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해당 메인넷은 탈중앙화 검증 기술(DVT)를 도입, ETH 스테이킹 접근성을 제고하고 밸리데이터의 블록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게 SSV 측의 설명이다.

[QCP캐피털, 비트고 실시간 결제 네트워크 파트너로 합류]

암호화폐 커스터디 기업 비트고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싱가포르 소재 암호화폐 거래 업체 QCP캐피털(QCP Capital)이 고 네트워크(Go Network)에 파트너로 합류했다. 해당 파트너십을 통해 QCP는 기관 수준의 인프라를 제공받게 된다"고 전했다. 비트고 고 네트워크의 실시간 결제 네트워크 파트너로는 현재 비트스탬프, 게이트아이오 등이 있다.

[님·프로토콜랩스·오아시스, '유니버설 프라이버시 얼라이언스' 출범]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프로젝트 님(NYM), 파일코인(FIL) 개발사 프로토콜랩스, 오아시스(ROSE), 아스텍(Aztec) 등 프라이버시 강화 웹3 프로젝트들이 디지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유니버설 프라이버시 얼라이언스'(Universal Privacy Alliance)를 출범했다. 해당 얼라이언스는 님 프로젝트가 주도, 15만 달러 규모의 초기 자금을 지원받아 암호화폐 관련 정책 및 규제 관련 로비 활동에 주력할 예정이다.

[비체인, 노드 거래 마켓플레이스 출시]

이어1 블록체인 비체인(VeChain, VET)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노드 보상 플랫폼 기능 강화를 위해 노드 거래 마켓플레이스를 출시했다고 전했다. 해당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노드를 입찰, 판매, 양도할 수 있다는 게 비체인 측의 설명이다.

[데이터 "지난주 BTC 선물 미결제약정 규모, 2022년 3월 이후 최대 규모"]

언폴디드가 카이코 리서치의 데이터를 인용 "지난주 바이낸스, 바이비트, OKX, 데리비트 등 주요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내 BTC 무기한 선물 계약의 미결제약정 규모는 약 102억 달러를 기록, 2022년 3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美 검찰, $2,500만 규모 암호화폐 폰지 사기 주동자 2명 기소]

미국 검찰(DOJ)이 공식 사이트를 통해 2,500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폰지 사기 주동자 2 명을 기소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피고는 인공지능(AI) 기반 암호화폐 거래 프로그램으로 고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피해자들을 호도하며 조달한 2,500만 달러 상당의 투자금을 사적인 용도로 유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외신 "美 SEC, 이번 달 프랭클린템플턴과 BTC 현물 ETF 관련 미팅"]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이 방금 전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12월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랭클린템플턴과 BTC 현물 ETF 승인 관련 미팅을 가졌다"고 전했다. 프랭클린템플턴은 앞서 신청한 비트코인 현물 ETF의 투자설명서 수정본을 SEC에 제출한 바 있다.

[알고랜드 재단, 베스티지랩스에 전략적 투자]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알고랜드(ALGO) 재단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알고랜드 가상 머신(AVM)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사 베스티지랩스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고 13일 발표했다. 구체적인 투자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스트라이크 "내년 거래소 상장 등에 최소 $230만 투자"]

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 프로토콜 스트라이크(STRK)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2024년 로드맵을 공개, 2,300,000~2,870,000 달러 상당을 거래소 상장, 보안 강화, 파트너십 확장, 확장성 개선, 유동성 공급, 플랫폼 개선 등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자금 조달 경로는 벤처캐피털, 엔젤 투자, 크라우드 펀딩, 전략적 파트너십, 그랜트(보조금) 프로그램 등이다.

alice@tokenpos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