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스타인 "BTC, 올해 신고점 경신 전망...내년엔 $15만까지 상승"]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 번스타인이 보고서를 통해 "BTC는 올해 신고점을 경신하고 2025년에는 최대 15만 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우리는 전통시장에서 암호화폐로 자본이 대거 유입되는 전례 없는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특히 글로벌 기준금리가 정점을 찍었고, 인플레이션은 완화되고 있으며 세계 각국 선거에서 통화 부양책 공약이 쏟아지는 매우 유리한 거시적 환경까지 펼쳐지고 있다. 우리는 BTC와 BTC 채굴기업 주가 전망을 매우 낙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BTC 현물 ETF 출시가 확정되면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질 우려가 있다. 단, 비트코인 반감기와 ETF 마케팅 등 BTC 강세 재료는 여전히 풍부히 남아있다. 또 주식 투자자 사이에서 암호화폐 테마주가 저평가 돼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올해 기관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관련주에 눈을 돌릴 것이다. 한편, 우리는 알트코인 가운데서는 이더리움(ETH)이 현물 ETF로 출시되는 암호화폐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핑거, 지닥 운영사 피어테크에 투자]
아시아경제에 따르면 코인 거래소 지닥을 운영하는 피어테크가 핑거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고 4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투자집행이 완료되면서 파트너십을 통해 NFT를 포함한 디지털 자산 서비스에 대한 역량 강화를 공동 추진키로 했다. 각 회사 노하우를 바탕으로 B2B 전문성 및 사업성도 함께 끌어올릴 계획이다. 핑거는 핀테크 기술 심으로 제 1∙2 금융권 등 여러 금융기관에 스마트 금융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작년 암호화폐 보안사고 피해액 $18.4억]
블록체인 보안업체 서틱(CertiK)이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발생한 암호화폐 보안 사고는 총 751건(18.4억 달러)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사고 유형은 프라이빗 키 유출(47건)이 가장 많았으며, 피해액은 8.81억 달러 수준이었다.또 전체 블록체인 중 이더리움(ETH)에서 발생한 손실액이 6.86억 달러로 가장 컸다. 피해액 기준으로는 믹스인(Mixin) 월렛 해킹(2억 달러), 오일러 파이낸스 익스플로잇(1.97억 달러), 폴로닉스 핫월렛 해킹(1.25억 달러) 사건 등의 피해가 컸다"고 설명했다.
[dYdX "지난해 시세 조종 공격자 신원 특정.. 사법기관 조사 중"]
탈중앙화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 dYdX(DYDX)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지난해 있었던 SUSHI, YFI 시세 급락 사건에 대한 공격자 신원이 밝혀졌다. 현재 사법 기관이 이를 조사 중이며, 법적 책임을 물을 계획이다. 공격자는 오라클 조작으로 시세를 조작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11월 dYdX를 표적으로 삼은 (시세조종) 공격이 발생하면서 dYdX 내 YFI 미결제약정 5000만달러 규모가 강제청산됐으며, SUSHI 시세도 급락한 바 있다. 이날 dYdX V3 업데이트로 유동성 낮은 마켓에 대한 마진을 수정하고, 리스크 관리 기능 등을 개선했다고도 밝혔다.
[카드거래 금지에 가상자산 추가…금융위, 여전법 개정안 입법예고]
금융위원회가 카드 거래 금지대상에 가상자산을 추가하는 동의 내용을 담은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 개정안에 대한 입법예고를 이날부터 오는 2월 13일까지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고 뉴스핌이 전했다. 미디어는 "국내 가상자산거래소는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아 실명 확인이 가능한 입출금 계정을 통해서만 금전과 가상자산 간의 거래가 가능한 반면, 해외 가상자산거래소는 동 규정의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금융위는 향후 주식 등 금융투자상품, 사행행위 및 환금성 상품 등과 동일하게 가상자산을 카드 결제 금지대상에 포함해 국제브랜드사의 협조 근거를 마련하고 외화유출 및 자금세탁 방지 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BTC 채굴업체 사이퍼마이닝, 카난 채굴기 16,700대 구매 계약 체결]
미국 나스닥 상장 채굴 업체 사이퍼마이닝(Cipher Mining, 이하 사이퍼)이 3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사이퍼가 약 4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합작 투자 법인 베어(Bear LLC)와 치프마운틴(Chief Mountain LLC)이 중국계 암호화폐 채굴기 제조사 카난(CANAAN)과 최신형 채굴기 모델 아발란 A1466 16,700대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다가오는 비트코인 반감기를 대비하기 위함"이라고 발표했다. 이어 사이퍼 측은 "올 2분기 인도받을 신규 채굴기의 절반은 베어 산하 시설에, 나머지 절반은 치프마운틴 산하 시설에 설치될 예정이다. 이는 각 데이터 센터 당 최대 30MW의 전력, 즉 1.25 EH/s 해시레이트 추가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외신 "최근 3개월 새 美 정부 보유 BTC 가치 $50억→$83억"]
블록웍스에 따르면 최근 비트코인 가격 상승으로 미국 정부가 보유한 BTC의 평가 가치가 3개월 전 50억 달러에서 현재 83억 달러 상당으로 늘었다. 미디어는 "미국 정부는 지난 2020년 11월 이후 다크웹 마켓 실크로드 등으로부터 207,189 BTC를 압수했다고 공개한 바 있다. 이후 지난 2월 코인베이스에서 9,861 BTC를 평균 매도가 21,800 달러에 현금화 했고, 2억 1,500만 달러의 수익을 냈다. 당시 매도가는 현재 가격 대비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아울러 미국 정부가 압수한 BTC를 단 1개도 매도하지 않고 보유하고 있었다면 현재 가치로 약 174억 달러(약 40만 BTC)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BTC 현물 ETF, 1/8~1/10 승인 가능성 높아"]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오는 1월 8일(현지시간)에서 1월 10일 사이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승인을 공식 발표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SEC의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이슈와 관련 개인적으로는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 폭스비즈니스 기자의 관점과 일치한다. 또 SEC가 공식 승인 이전 발행사에게 신호를 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비트코인 현물 ETF의 실제 거래 개시일은 SEC의 승인 이후 몇 주가 아닌 며칠 후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폭스비즈니스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SEC가 이번주 금요일(현지시간 5일) BTC 현물 ETF 신청사들에게 승인 여부를 통보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dan@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