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선물거래 도박죄 처벌 여부 검토 필요' 주장 나와]
뉴스1에 따르면 8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주최로 열린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과 과제' 정책토론회에서 자본시장법 적용을 받지 않는 암호화폐 선물 거래의 도박죄 처벌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유성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가상자산 선물거래를 도박죄로 의율할 것인지에 관해 깊이 있는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기준을 확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크립토 우호적 美 SEC 위원 마크 우예다, 두 번째 임기 시작]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최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SEC 위원 마크 우예다(Mark Uyeda)가 지난해 12월 28일(현지시간) 부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마크 우예다는 2022년 6월 30일 SEC 위원 임기를 시작했으며, SEC의 강제적인 집행 조치 접근 방식을 비판한 바 있다.
[유니스왑 인터페이스 수수료 355만 달러 돌파]
유니스왑(UNI) 인터페이스 수수료 누적 수익이 7일(현지시간) 기준 355만 달러를 돌파했다. 유니스왑은 지난해 10월 자사의 웹 및 앱 인터페이스를 통해 ETH, USDC, WETH 등 11종의 토큰을 거래할 때 0.15%의 수수료를 부과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업비트, 1만원 미만 디지털 자산 호가 간격 변경]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10,000원 미만 디지털 자산의 호가 간격이 변경된다고 공지했다. 1,000원 이상 10,000원 미만 자산 호가 단위는 5원에서 1원으로 변경되며, 1,000원 미만 자산 호가 단위는 기존 대비 1/10로 세분화된다. 10,000원 이상 자산 호가 단위는 변경되지 않는다. 변경 안은 오는 1월 29일부터 반영된다.
[금감원, 발행량·유통량·상장 코인 가이드라인 발표 예정]
테크M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가상자산 발행량, 유통량, 거래지원(상장)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있다. 연초에 해당 가이드라인들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서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실이 개최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과 과제' 정책토론회에서 안병남 금감원 디지털자산연구팀 팀장이 발행량, 유통량, 거래지원 등과 관련된 가이드라인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안 팀장은 "시장에서 기존 금융 수준의 유사한 규제가 만들어질거라고 기대하는데, 만드는 입장에선 쉽지 않다"며 "법이 처음 만들어지고 있는 새로운 시장이기 때문에 전세계에서 모두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안 팀장은 "동일위험에는 동일규제를 부과하는 것이 큰 원칙이지만, 시장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며 "글로벌 시장과 국내 시장이 잘 구별되지 않는 점, 다양한 거래소들의 존재로 복수 시장이 존재하는 점을 생각해봐야한다"고 덧붙였다.
[분석 "BTC 네트워크 펀더멘털, 2017년 이후 가장 강력"]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소속 암호화폐 마켓 애널리스트 제이미 쿠츠(Jamie Coutts)가 X를 통해 "미디어에서는 비트코인이 지난 1년 동안 150% 상승한 이유가 현물 ETF 출시 기대감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인스크립션 등 새 사용 사례와 함께 BTC의 네트워크 펀더멘털은 2016~2017년 사이클 이후 가장 강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펀더멘털 측정을 위해서는 BTC 네트워크 활동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살펴볼 수 있다. 현재 비트코인 네트워크 활동(Bitcoin Network Activity)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이지만, BTC 가격은 최고점 대비 40% 낮다. BTC가 저평가돼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ZK페어 사이드스왑 "거래량 기반 에어드랍 진행"]
영지식 증명 기반 레이어2 네트워크 ZK페어(ZKFair) 기반 DEX 사이드스왑(SideSwap)이 X를 통해 "오는 1월 10일부터 20일(현지시간)까지 거래량 기반 에어드랍을 진행할 예정이다. 총 락업 예치금(TVL) 규모는 2,066만 달러를 돌파한 상태이며, 이는 ZK페어 생태계 중 1위"라고 전했다.
[분석 "올해 강세장 본격 시작, 스테이블코인 증가세에 달렸다"]
오데일리에 따르면 암호화폐 펀드 EMC랩스가 2023년 12월 보고서를 통해 "2023년 스테이블코인 유통량은 90억 달러 줄었지만 4분기 들어서는 증가세로 바뀌었고, 10월 14일에는 14억 USDT가 시장에 유입돼 비트코인의 박스권 상승 돌파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11월과 12월에도 스테이블코인 유입세가 지속되며 BTC는 상승 채널 상단을 돌파했다. 스테이블코인 유통량은 10월에는 8억 달러, 11월에는 35억 달러, 12월에는 13억 달러 늘었다. 올해에도 스테이블코인 증가 추세가 지속되면 다섯 번째 강세장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분석 "BTC, 사상 첫 주봉 50·200일 이평선 골든크로스 발생"]
유투데이가 바차트(Barchart) 데이터를 인용해 "비트코인 주봉 차트에서 강세 패턴이 포착됐다"고 분석했다. BTC 주봉 차트 기준 사상 최초로 50일 이동평균선과 200일 이동평균선이 교차하는 골든크로스가 형성됐다. 바차트가 첨부한 캔들차트에서는 8일 새로운 캔들이 오픈되며 두 이평선 간의 골든크로스가 발생했다. 교차하는 지점은 30,073.27 달러로 확인된다. 이와 관련 바차트는 "주봉 차트에서 50-200일 이평선 골든크로스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사상 처음이다. 비트코인이 역사를 만들고 있다"고 진단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72% 내린 43,604.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특정 2개 고래 주소, 2일 동안 $7,710만 상당 BTC 매집]
스팟온체인에 따르면 특정 2개 고래 주소가 지난 2일 동안 바이낸스에서 1,755 BTC(7,710만 달러 상당)를 매집했다. 스팟온체인은 "특정 주소(bc1pj로 시작)는 평단가 43,953 달러에 1,750 BTC를 매집했으며, 현재 4,750 BTC(2.7억 달러 상당)를 보유 중이다. 이 주소는 현재까지 2,640만 달러의 수익을 실현했다. 또 다른 주소(3MVqp로 시작)는 지난해 BTC를 3번 거래했으며 6,100만 달러 수익을 냈다. 이 주소는 30분 전 5 BTC(217만 달러 상당)를 바이낸스에서 출금했으며, 이는 테스트 거래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0.68% 내린 43,615.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아비트럼 커뮤니티, ArbOS 11 업그레이드 제안 통과]
아비트럼(ARB) 커뮤니티가 8일 ArbOS 11 버전 업그레이드 제안을 찬성률 99%로 통과시켰다. ArbOS 11 논의는 지난해 11월 28일 시작됐으며 EVM 상하이 업그레이드 지원 및 버그 수정, 아비트럼 오르빗·아비트럼 원·아비트럼 노바 네트워크 지원 계획이 추가됐다. 제안서에 따르면 ArbOS 업그레이드는 아비트럼 하드포크로 간주될 수 있다. 제안 통과에 따라 향후 업그레이드가 진행될 예정이다.
[관세청, 닥사와 가상자산 불법 외환거래 방지 협의회 발족]
파이낸셜신문에 따르면 관세청이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와 '가상자산 불법 외환 거래 방지 협의회'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향후 관세청과 가상자산 관련 외환 범죄 대응 현황과 수사 사례를 공유하고, 국내업체 횡령뿐 아니라 무역 관련 불법 거래 차단 등 불법외환거래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SEC 투자자 교육팀장 "암호화폐 투자자, FOMO에 흔들리지 말아야"]
크립토글로브에 따르면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 투자자 교육 담당 총괄 로리 쇼크는 최근 Say ‘NO GO to FOMO'라는 제목의 글에서 FOMO(매수 기회를 놓칠 것에 대한 두려움) 현상과 이것이 특히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투자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생각을 공유했다. 그는 암호화폐, ICO, 밈주식, NFT 등은 확실히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매력이 있지만 투기성이 높고 예측 불가한 암호화폐 시장에서 FOMO에 기반해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투자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두려움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암호화폐 외에 주식, 채권, 현금 등 다양하게 포트폴리오를 꾸릴 것을 권장했다.
[빗썸, 오늘 18시 AXL·YGG 원화마켓 상장]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1월 8일 18시 엑셀라(AXL), 일드길드게임즈(YGG)를 원화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1월 8일 15시부터 지원한다.
[설문조사, 국내 투자자 51.4% "이번주 BTC 상승 혹은 급등 전망"]
코인니스와 크라토스가 공동 진행하고 있는 주간 국내 투자자 시장 동향 정기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1.4%(전주 55.7%)가 이번주 비트코인이 상승 또는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횡보를 예상한 응답자는 약 28.5%(전주 35.4%), 하락과 급락을 예상한 응답자는 20.1%(전주 8.9%)를 차지했다. 시장 심리를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42%가 중립이라고 답했다. 낙관 혹은 극단적 낙관이라고 답한 비중은 39.2%로 집계됐다. 또 이더리움(ETH) 공동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최근 제시한 2024 로드맵과 관련 응답자 중 가장 많은 33.6%가 '보안 취약성, 유동성 풀링 문제 개선안 '스커지'(Scourge)가 기대된다'고 답했다.
[특정 고래, 바이낸스에 1906 ETH 입금]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X를 통해 "8시간 전 ETH 고래 vladilena2.eth가 스파크프로토콜에서 8002 ETH(1801만달러)를 출금했다. 이중 4100 ETH는 1인치에서 매도했고 1906 ETH는 바이낸스에 입금했다. 해당 주소는 지난해 12월 평단가 2261달러에 1만5063 ETH를 매수했다"고 전했다.
[업비트 싱가포르, 주요 결제기관 라이선스 획득]
PR뉴스와이어에 따르면 업비트 싱가포르가 싱가포르통화청(MAS)으로부터 주요 결제 기관(MPI)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에 따라 업비트는 싱가포르 당국의 승인된 상품을 합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해 10월 업비트가 싱가포르에서 잠정 MPI 라이선스를 취득했다고 전한 바 있다.
[日 '당근마켓' 메루카리, 올 6월부터 BTC 결제 허용]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에 따르면 일본 중고 거래 플랫폼 메루카리(Mercari)가 올해 6월부터 비트코인(BTC) 결제를 허용한다. 메루카리는 "암호화폐 자회사 멜코인(Melcoin)을 통한 BTC 결제를 지원한다. 고객이 웹사이트에서 결제 수단으로 BTC를 선택하면, 멜코인에서 BTC가 엔화로 환전돼 결제되는 방식이다"라고 설명했다. 메루카리는 2013년 설립 후 2023년 7월 기준 월간 활성 사용자 수가 2200만명을 기록한 일본 최대 중고 거래 플랫폼이라고 미디어는 전했다.
[암호화폐 결제 앱 스트라이크, 아프리카 20개국서 출시 예정]
암호화폐 결제 앱 스트라이크(Strike)가 2~4주 내 아프리카 20개국에서 출시될 예정이라고 비트코인뉴스가 전했다. 이를 위해 스트라이크는 테스트 사용자를 모집하고 있다.
[펙실드 "레이디언트캐피털 공격자, 외부 주소로 $115만 ETH 이체"]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펙실드(PeckShield)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디파이 프로토콜 레이디언트(RDNT)를 공격한 해커가 소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주소에서 방금 전 약 522 ETH(약 115만 달러 상당)이 외부 주소로 이체됐다"고 8일 분석했다. 앞서 레이디언트캐피털은 지난 3일 새벽 3시 53분(한국시간) 아비트럼(ARB) 상에 새로운 네이티브 USDC 마켓을 출시하는 과정에서 플래시론 익스플로잇을 당해 $450만 상당 ETH를 도난당한 바 있다.
[ETH/BTC 매집 고래, 아베서 대규모 담보 청산 위험 직면]
디뱅크에 따르면, 탈중앙화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아베(AAVE)에서 담보 대출 레버리지를 통해 ETH/BTC를 매집하고 있는 특정 고래 주소 '0x1111567e0954e74f6ba7c4732d534e75b81dc42e'가 대규모 담보 청산 위험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해당 고래는 아베에서 33,578 ETH(약 7,357만 달러), 1,555,833 USDC를 담보로 약 6,377만 달러 상당의 WBTC를 차입하고 있으며, 해당 대출 포지션의 건전성 비율(Health Rate)은 1.02를 기록하고 있다. 건전성 비율 지표 값이 1에 도달하면 담보로 맡겨둔 예치 자산의 청산이 시작된다.
[비트코인 현물 ETF 관심도, 룩셈브루크 1위]
코인게코가 보고서를 통해 국가별 BTC 현물 ETF 관심도 상위 4개 국가는 룩셈브루크, 세인트헬레나, 싱가포르, 스위스 순이라고 전했다. 한편 미국 50개 주 중에서는 네바다주의 현물 BTC ETF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았다.
[이번주 BTC 현물 ETF 관전 포인트 5가지]
미국 ETF 전문 업체 ETF스토어 최고경영자(CEO) 네이트 제라시(Nate Geraci)가 X를 통해 이번주 BTC 현물 ETF 이슈와 관련해 5가지 관전포인트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1) 블랙록과 그레이스케일의 운용 수수료: 수수료 경쟁은 중요한 이슈다. 현재 피델리티 수수료가 0.39%로 가장 낮다. 인베스코는 0.59%로 책정했으며 첫 6개월 동안엔 수수료 면제를 내걸었다. 2)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승인 여부: 현물 ETF가 통과되려면 SEC 트레이딩&마켓 부서로부터 19b-4s(거래규칙변경)를, 기업금융부서로부터 S-1(증권신고서)를 승인받아야 한다. 이중에서도 핵심은 19b-4s 승인이다. 내 예상엔 수요일(현지시간) 결과가 나올 것 같다. 3) 현물 ETF 출시 후 자금 유입: 예상대로 ETF가 목요일 출시되면 얼마나 자금이 유입될지가 관건이다. 블랙록은 이미 20억달러를 확보했다는 소문이 있으며 아크인베스트는 GBTC의 ETF 전환을위해 2억달러 상당 BTC를 매수할 수도 있다. 4) 현물 ETF 출시와 동시에 GBTC의 ETF 전환 승인 여부: GBTC는 270억달러 상당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ETF 출시와 동시에 AUM 기준 상위 60위권 안에 드는 ETF가 될 수 있다. 5) 마케팅 공세: 비트와이즈, 해시덱스, 반에크 등이 이미 BTC 현물 ETF 광고를 공개했다. 나머지 운용사들이 과연 어떤 마케팅 공세를 펼질지 기대된다.
[캐리프로토콜 "게임업계 전용 광고 프로토콜 전환 논의"]
웹3 광고 플랫폼 캐리프로토콜(CRE)이 공식 X를 통해 "오는 1월 12일부터 16일(UTC 기준)까지 캐리프로토콜이 게임업계 전용 광고 프로토콜로 전환하는 데 대한 투표를 진행한다"고 전했다. 월렛에 1,000 CRE 이상을 보유 중인 주소는 거버넌스 제안에 투표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CRE는 6.75%내린 0.00516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alice@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