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이창용 한은 총재 "비트코인, 투자재로 자리잡아" 外

| 하이레 기자

[이더리움 기반 DEX 거래량 $25억 돌파...전날比 15%↑]

디파이라마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 기반 DEX 거래량이 1월 10일 기준 25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전날 대비 15.7% 증가한 수치다. 같은 날 기준 아비트럼 기반 DEX 거래량은 16억 6900만 달러, BSC는 11억 달러를 기록했다.

[앤에프 프롬프트, opBNB 일일 로그인 컨트랙트 마이그레이션]

AI 기반 UGC 플랫폼 앤에프 프롬프트(NFP)가 X를 통해 "파밍으로 인한 시빌 활동을 완화하기 위해 opBNB의 일일 로그인 컨트랙트를 마이그레이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이전 컨트랙트의 일일 로그인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매일 로그인 해 cNFP를 파밍하는 것이 아니라 창작 및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오르빗체인 "도난금 복구 기여자에 최대 $800만 포상금 제공"]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 노출로 약 8,150만 달러 규모 피해를 입은 오르빗 브릿지 개발사 오르빗체인(ORC)이 X를 통해 "해커와의 협상 시한이 마감됐다. 공격자를 식별하거나 도난금 복구에 도움을 주는 사람에게 최대 800만달러 포상금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해킹 피해' 카이버스왑 "피해 배상 절차 연기...감사 진행 목적"]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에 노출됐던 카이버네트워크(KNC) 산하 DEX 카이버스왑이 X를 통해 피해자 배상 절차를 연기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당초 2월 1일(현지시간)으로 예정됐던 피해 자금 청구 접수가 같은달 6일로 미뤄졌다. 카이버스왑은 "배상을 위한 트레저리 그랜트 프로그램이 현재 내부 테스트를 진행 중인 동시에 스마트컨트랙트 감사를 진행하고 있다. 보다 정확한 감사를 위해 배상 일정을 다소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더리움 기반 아베 v3 플랫폼, PYUSD 담보 지원 유력]

탈중앙화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아베(AAVE) 커뮤니티가 이더리움(ETH) 기반 아베 v3 플랫폼에서 페이팔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PYUSD를 담보로 지원하자는 예비안건(온도체크)에 대한 투표를 진행, 현재 찬성률이 99.98%를 기록하고 있다. 이번 투표는 목요일(현지시간) 종료된다. 해당 제안은 PYUSD 유동성 파트너사 트라이던트디지털이 제안했다.

[보안업체 "BTC 현물 ETF 승인 악용 에어드랍 사기 기승"]

슬로우미스트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O) 23pds가 X를 통해 "BTC 현물 ETF 승인을 이용한 신종 에어드랍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월렛 서명을 요구하는 에어드랍 피싱 링크나 광고, 웹사이트를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비영리단체 베터마켓 "BTC 현물 ETF 승인해도 'BTC 무가치'는 변하지 않아"]

금융 시장 관련 비영리단체 베터마켓(Better Markets)이 X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BTC 현물 ETF를 승인했더라도, 이 쓸모 없는 자산에 대해 무언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BTC를 비롯한 암호화폐는 여전히 합법적으로 활용할 방안이 없다. 오히려 투기꾼, 도박꾼, 약탈자, 범죄자들만 찾는 제품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저스틴 선 추정 주소, 멀티 시그 주소로 500 ETH 이체]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X를 통해 "저스틴 선 추정 주소가 2시간 전 멀티 시그 주소(0x290로 시작)로 500 ETH(130만 달러)를 전송했다. 해당 물량은 곧 암호화폐 거래소 폴로닉스(Poloniex)에 입금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일론머스크 "X 인프라에 BTC 적용, 고려 안해"]

일론머스크가 아크-21쉐어스 BTC 현물 ETF 승인에 대한 캐시우드 주최 X(구 트위터) 스페이스 라이브 방송에 참여해 "X (결제)인프라에 BTC 적용과 관련 개방적인 스탠스이긴 하지만, 이를 고려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 그는 화성에 인간을 착륙시킬 것이라는 자신의 계획과 관련해서도 "화성에서의 주요 화폐로 BTC를 사용하는 일이 가능할 수 있겠지만, 트랜잭션 속도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9.51% / 숏 50.49% 1. 바이낸스: 롱 48.76% / 숏 51.24% 2. OKX: 롱 49.06% / 숏 50.94% 3. dYdX: 롱 48.48% / 숏 51.52%

[애널리스트 "BTC 현물 ETF 승인 후 내재 변동성 축소"]

암호화폐 옵션 거래 툴킷 그릭스닷라이브 소속 애널리스트 아담(Adam)이 X를 통해 "BTC 현물 ETF 승인 발표 후 내재 변동성(IV)이 크게 축소됐다. 단기 IV와 중기 IV는 각각 70%, 60% 하락했다. 시장은 등락세를 보였으나 상승세, 하락세 모두 예상했던 수준만큼은 못미쳤다. 투기 세력은 이더리움으로 옮겨가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위메이드 대표 "비트코인 현물 ETF, 위믹스에도 호재"]

뉴시스에 따르면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은 '위믹스'에도 호재라고 자신했다. 장 대표는 "비트코인 ETF 다음엔 이더리움, 결국엔 위믹스 차례까지 올 것"이라며 "미국에서 비트코인 ETF 승인이 났으니, 한국에서도 가능해질 것이다. 이는 유틸리티(유용성)를 확보한 위믹스와 같은 가상자산에겐 좋은 기회다. 위믹스는 한국 가상자산 중 가장 거래량이 많다. 한국에 비트코인 ETF가 만들어진다면, 다음은 위믹스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ETH 급등에도 이더리움 NFT 가격 하락세...문버드 바닥가 -23%]

우블록체인이 X를 통해 "24시간 동안 ETH는 10% 넘게 상승했지만 이더리움 NFT 가격은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문버드는 24시간 동안 23% 넘게 하락, 바닥가가 처음으로 1 ETH를 하회했다. MAYC도 6% 이상 하락했다"고 전했다.

[트론 설립자 "중국 등 아시아서도 BTC 현물 ETF 출시될 것"]

저스틴 선 트론(TRX) 설립자가 X를 통해 "미국의 BTC 현물 ETF 승인은 암호화폐 시장이 거침없이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머지 않아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도 이러한 기회를 받아들일 것이며, 전세계 80억 인구가 BTC을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 SEC 위원 "BTC 현물 ETF 승인 지지하나 우려 남아있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 마크 우예다(Mark Uyeda)가 성명을 발표, "SEC의 BTC 현물 ETF 승인 결정에 동의하지만 3가지 측면에서 우려가 남아있다. 1) BTC ETF 대규모 테스트에 대한 부적절한 검증 시도 2) 명문화되지 않은 기준을 승인 근거로 삼음 3) 특정 BTC 현물 ETP(ETF)의 시장 선점 방지 시도 등이다. 이번 SEC 승인 명령의 근거가 위의 우려를 해소할 만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그럼에도 BTC 현물 ETF 승인 결정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비탈릭 "이더리움 가스 한도 상향 조정 제안... 3000만→4000만"]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설립자가 10일(현지시간) 이더리움 재단 주최 레딧 AMA에서 네트워크 처리량 향상을 위한 가스 한도 상향을 제안했다. 가스 한도는 각 블록에서 트랜잭션이나 스마트컨트랙트를 실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최대 가스량이다. 그는 "현재 가스 한도는 3000만으로, 지난 2021년 이후 거의 3년 가까이 유지되고 있다. 프로토콜 역사상 가장 오래 유지된 것이다. 따라서 가스 한도를 4000만으로 상향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1/17 이더리움 골리 테스트넷서 덴쿤 업그레이드 확정]

이더리움(ETH) 재단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17일 약 15시 32분(한국시간)에 골리 테스트넷에서 덴쿤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업그레이드가 무사히 완료되면 세폴리아 및 홀스카이 테스트넷에서도 덴쿤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이더리움 재단은 덧붙였다. 개발자들은 오는 1월 31일 세폴리아(Sepolia), 2월 7일 홀스카이(Holesky) 테스트넷에 덴쿤 업그레이드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서 이더리움 개발자들은 당초 지난해 4분기 덴쿤 업그레이드 진행을 목표로 삼았으나 기술적 복잡성을 이유로 2024년으로 일정을 연기한 바 있다. 덴쿤 하드포크는 ETH 확장성 업그레이드를 위한 EIP-4844(프로토-댕크샤딩, proto-danksharding), 가스 수수료 최적화와 네트워크 보안 개선 등 다수 업데이트를 포함하는 대규모 업그레이드다.

[홍콩 입법회 의원 "홍콩, 빠른 시일 내 BTC 현물 ETF 거래 추진"]

홍콩 입법회 우제좡 의원이 X(구 트위터)를 통해 "홍콩도 빠른 시일 내에 BTC 현물 ETF 거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오늘 새벽 BTC 현물 ETF 신청을 승인했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 중요한 움직임이다. 홍콩 금융관리국은 이미 BTC 현물 ETF 신청을 받을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홍콩이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이 같은 상품의 거래를 시작해 암호화폐 글로벌 중심지가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외에도 암호화폐에 대한 대중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 "비트코인, 투자재로 자리잡아"]

문화일보에 따르면 이창용 한은 총재는 11일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후 가진 간담회에서 미국의 비트코인 ETF 상장 승인과 관련해 “그 뉴스를 보고서 비트코인이 투자재로 자리 잡았구나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비트코인이 화폐 대체재는 아니지만 위험한 투자자산으로서는 자리 잡은 것 같다. 바람직한 투자자산이냐는 변동성과 실질적 내재가치가 있는지를 고민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이더리움 현물 ETF 5월 승인 가능성 70%"]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Eric Balchunas)가 5월 이더리움 현물 ETF가 승인될 가능성은 70%라고 점쳤다. 그는 "소식통에 따르면 이더리움 현물 ETF가 승인될 것으로 보인다. 5월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여러 신청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하는 달이다. 다만 본격적인 ETH 현물 ETF 출시 시기는 불분명하다"고 덧붙였다.

[그레이스케일 "1/11 BTC 현물 ETF 거래 개시 예상"]

그레이스케일이 X를 통해 "11일(현지시간) GBTC가 BTC 현물 ETF로 거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alice@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