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 CEO "리플 해킹 아니다... 누군가의 개인 월렛 해킹"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가 웨일와이어와의 인터뷰에서 리플이 해킹됐다는 추측에 대해 반박했다. 그는 "1억 2250억 달러 상당 XRP를 도난 당한 것으로 추정되는 월렛은 리플 공식 계정이 아닌 누군가의 개인 계정이다. 곧 공식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리플 공동설립자 크리슨 라슨은 자신의 개인 XRP 계정이 해킹됐다고 밝힌 바 있다.
리플 공동 설립자 "개인 XRP 계정 해킹... 거래소에 영향 받은 주소 동결 요청"
리플 공동 설립자 크리스 라슨(Chris Larsen)이 X를 통해 "어제 나의 개인 XRP 계정 중 일부에 무단 액세스가 있었다. 우리는 신속하게 문제를 파악하고 영향 받은 주소를 동결하도록 거래소에 알렸다. 이미 법 집행 기관이 해당 문제 해결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블록체인 전문가 잭XBT(ZachXBT)가 리플 해킹 정황이 포착됐다며, 약 1.12억 달러 상당 XRP가 도난 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한 바 있다.
분석 "미연준 고금리 기조 유지에 BTC 자금 유출 발생 가능"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웹3 핀테크 플랫폼 유홀더 마켓 책임자 루슬란 리엔하가 "미연준이 시장의 예상보다 더 오래 고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BTC 등 위험자산에서 자금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암호화폐 자산관리업체 스위스블록은 "BTC가 42,000~44,000달러대를 유지하면서 하락 시도는 제한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앞서 제롬 파월 미연준 의장은 3월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낮다고 언급한 바 있다.
아르헨티나 정부, 암호화폐 보유 합법화 기준 완화 계획 철회
디크립트에 따르면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암호화폐 보유 합법과 관련 계획을 철회했다. 그는 앞서 아르헨티나 개혁 패키지인 레이 옴니부스(Ley Ómnibus)를 제안한 바 있다. 초안에는 암호화폐 보유 합법화 기준을 완화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으나 최근 제외됐다. 미디어는 "하비에르 밀레이가 전략적 조치로 반발, 비판, 논쟁의 여지가 있는 암호화폐 내용을 제외한 것으로 보인다. 중요도에 따라 결정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법안명은 '자유를 위한 기반 및 출발점 법안(the Law of Bases and Starting Points for the Freedom of Argentines)으로 국방, 세금유예, 개인자산 과세, 공공사업, 연금 시스템, 국영기업의 민영화, 환경법 등 다양한 부문의 급진적 개혁 개편을 담고 있다.
파월 "연준 의장 3선 연임 가능 여부, 별 관심 없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연준의장 3선 연임 가능성에 대해 나는 별다른 입장이 없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오는 3월 회의에서 대차대조표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있을 것이다. 오늘도 대차대조표 관련 논의를 진행했고, 다음번에는 좀더 심도있는 논의를 할 계획"이라며 "대차대조표 축소 속도 조절을 주의깊게 관찰 및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비탈릭 "암호화폐 업계 리더 역할, 다음 세대에 물려줄 것"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공동 설립자가 블로그를 통해 "지난 2년 동안 해커톤 등을 참석하면서 느낀 것은 나보다 10살 어린 사람들이 모든 분야에서 개발자, 조직자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제 새롭고 더 젊은 혁신가들이 암호화폐 기술 전반에 걸쳐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나는 이제 다른 역할을 맡게됐다. 과거 내 역할은 이제 다음 세대가 이어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샘 뱅크먼 프리드(SBF) 사건이 발생했을 때 누군가 트윗에 암호화폐 업계 리더 이름을 나열하며 어떤 인물이 업계에서 사라졌고 혹은 여전히 존재하는지 표시했다. 내가 깨달은 것은 암호화폐 업계의 등불이었던 대다수의 인물이 더이상 업계에 남아있지 않다는 것이었다"며 "새로운 커뮤니티를 구축함으로 탈중앙화 자체가 계속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것이 우리의 임무다.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금융, 신원확인, 통신 등 분야에서 중앙화된 기술기업과 경쟁해야 한다. 이를 위해 탈중앙화 기술 스택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파월 “3월 금리인하 가능성 낮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오늘 회의 결과를 토대로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파월 “이번 FOMC 회의서는 금리 인하 의견 없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번 회의에서는 금리 인하 의견이 없었으며, 금리 인하를 적극적으로 고려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파월 “FOMC 위원 대부분 올해 금리 인하에 동의”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FOMC 위원 대부분이 올해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지난 12개월 동안 인플레이션율이 급격하게 하락했고 앞으로도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노동시장이 예상치 못한 약세를 보이면 금리를 더 일찍 인하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파월 “금리 인하 늦으면 경제 약화 부작용 우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기준 금리를 늦게 인하하면 경제가 과도하게 약화될 수 있다. 반대로 금리를 너무 일찍 인하하면 인플레이션율 완화세가 다시 반전될 위험이 있다. 우리는 경제상황과 인플레에 자신감이 있지만 더 많은 데이터와 근거가 필요하다. 지난 6개월 동안은 인플레이션 완화를 보여주는 좋은 데이터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파월 “올해 금리 인하 적절할 수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미국 기준 금리는 정점에 이르렀을 수 있으며, 올해 특정 시점부터는 금리 인하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경제상황이 예상대로 흘러간다면 올해 정책 금리를 조정하겠지만, 필요하다면 현재 금리를 장기간 유지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美 연준 “인플레 완화 확신 전까지 금리 조정 범위 축소 부적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웹사이트를 통해 발표한 공식 성명서에서 “위원회는 인플레이션율이 2% 이내로 진입할 것이라는 확신을 얻기 전까지는 금리 조정 범위를 축소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아울러 인플레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문제가 발생한다면 통화 정책 기조를 조정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CME 페드워치 "연준 3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54%"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확률을 54.1%로 내다보고 있다. 43.6%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 FOMC, 기준금리 동결...시장 전망치 부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공식 성명을 통해 기준금리를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시장 전망치와 부합한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5.25~5.50%를 유지했다.
스페인, 암호화폐 이용해 IS에 테러자금 지원한 30대 엔지니어 체포
스페인 현지 미디어 라 방가디아(lavanguardia)에 따르면 암호화폐를 이용해 이슬람국가(IS)에 최대 20만 유로(약 2.89억 원)를 송금한 혐의로 스페인 국적 30대 컴퓨터 엔지니어가 바르셀로나에서 체포됐다. 해당 인물은 2년 전부터 IS 송금을 추진했으며, 테러리스트 그룹에 자금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디어는 "조사는 처음부터 암호화폐를 중심으로 진행됐다"며 "해당 인물은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해 여러 개의 암호화폐 주소를 보유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스페인 정부는 조사를 위해 스페인 비밀 정보기관 국가정보국(CNI), 미국 연방수사국(FBI), 유럽연합 법집행협력청(Europol) 등과 협력했다.
외신 “FTX, 고객 자산 전액 상환 방침…거래소 재개 계획 철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FTX가 31일(현지시간) 열린 법원 심리에서 파산 절차를 통해 암호화폐 고객 자금을 전액 상환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FTX 측 변호인은 "인수자를 찾지 못한 탓에 거래소 운영을 재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FTX 현 경영진은 법원 심리에서 변호인을 통해 “올해 안에 챕터11 회생 절차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올해 중반까지 회생 절차에서 벗어나 전 세계 피해자들에게 실질적인 피해 복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자산 회수 규모에 대한 세부 사항을 제공할 수 없지만, 2024년 1월 31일로 예정된 심리에서 이를 업데이트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FTT는 현재 4.49% 오른 2.8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이낸스, JUP 상장 완료
바이낸스가 USDT, FDUSD, TRY 마켓에 주피터(JUP)를 상장했다. 앞서 바이낸스는 JUP 상장을 30분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英 노동당 “집권시 토큰화 증권 허브 구축 계획”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영국 야당인 노동당이 금융 공약 보고서를 내고 집권시 영국을 토큰화 증권 허브로 만들고 디지털 파운드를 적극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토큰화 증권은 영국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분야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노동당은 토큰화 증권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기 위해 규제 기관과 협력하고 합리적인 규제 체제를 확립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미디어는 “올해 예정된 총선과 관련해 여론조사에서 노동당이 집권당인 보수당보다 높은 지지율을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블랙록 IBIT, 30일 기준 63,488 BTC 보유... $27.61억
블랙록이 비트코인 현물 ETF(IBIT)의 포지션 데이터를 공식 업데이트했다. 1월 30일 기준 IBIT는 총 63,488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가치는 약 27.61억 달러다.
마브렉스, 출시 예정 게임에 ‘사가’ 활용 계획
디크립트에 따르면 넷마블의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 마브렉스(MBX)가 조만간 출시될 암호화폐 블록체인 게임에 블록체인 게임 메인넷 프로젝트 사가(SAGA)를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펀디엑스, 팍소스 PAXG 거래 지원
펀디엑스(PUNDIX)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아프리카 금 거래소 에스코인(Scoin)과 협력해 자체 개발 POS 암호화폐 결제 단말기 XPOS에서 팍소스의 실물 금 기반 토큰 PAX골드(PAXG)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서베이 “투자자 84%, 반감기 후 BTC 사상 최고치 경신 전망”
코인텔레그래프가 비트겟 설문조사를 인용해 암호화폐 투자자 중 84%가 이번 반감기 이후 BTC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서유럽 지역 투자자 중 41%는 BTC가 10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또 라틴 아메리카,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 투자자들은 BTC 가격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반감기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는 비트겟 이용자 10,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9,748명이 응답했다.
업비트·빗썸·코인원, XRP 투자유의 촉구
업비트·빗썸·코인원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리플(XRP) 투자유의를 촉구한다고 공지했다. 이와 관련 해당 거래소들은 "리플 공동 창업자의 개인계정(personal account, not @ripple) 탈취 정황이 발견됐다. 이에 XRP의 가격 변동성 확대에 유의하라"고 설명했다.
GBTC 보유 BTC, 전날 대비 4,461 BTC 감소
룩온체인에 따르면 1월 31일(현지시간) 그레이스케일의 비트코인 현물 ETF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이날 4,461 BTC(1.91억 달러) 감소했다. 이외 8개 현물 ETF의 BTC 보유량은 10,733 BTC(4.59억 달러) 순증가했다. 블랙록이 2.93억 달러 상당의 6,859 BTC를 추가했다.
테더, 4Q 초과 준비금 $54억.. 전 분기 대비 증가폭 역대 최대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가 지난해 4분기 28억5000만 달러의 순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테더는 "전체 순익 중 10억 달러가 순영업이익(주로 미국 국채 이자)이며, 나머지는 금 및 비트코인 보유로 인한 수익이다. 초과 준비금은 54억 달러로 전 분기 대비 22억 달러 증가했다. 증가폭이 역대 가장 크다. 유동성이 높은 자산으로 담보된 미결제 담보대출은 48억 달러다"라고 전했다.
제타체인 "2/1 테스트넷 사용자 대상 에어드랍 시작"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제타체인(ZETA)이 X를 통해 "테스트넷 사용자 대상 에어드랍이 2월 1일 11시(한국시간) 제타 허브에서 시작된다"고 밝혔다. 앞서 제타체인은 3,150만 ZETA 규모의 첫 에어드랍을 예고한 바 있다.
보안업체 "리플 해킹 정황.. $1.12억 XRP 피해 추정"
블록체인 전문가 잭XBT(ZachXBT)가 X를 통해 "리플 해킹 정황이 포착됐다. 현재까지 약 2.13억 XRP(약 1.12억 달러) 피해가 예상된다. 도난 당한 자금은 MEXC, 게이트 아이오, 바이낸스, 크라켄, OKX, HTX 등을 통해 세탁됐다"고 전했다.
비트파이넥스, 엘살바도르서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 시작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비트파이넥스가 31일(현지시간) 엘살바도르에서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을 시작한다. 앞서 비트파이넥스는 지난해 4월 엘살바도르 당국으로부터 첫 암호화폐 라이선스를 취득한 바 있다. 라이선스 승인 범위에는 토큰화된 주식 및 수익창출 자산이 포함됐다.
ETH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렌조, 펜들파이낸스와 연동
이더리움(ETH)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렌조(Renzo)가 X를 통해 디파이 수익률 프로토콜 펜들 파이낸스와 연동했다고 밝혔다. 렌조 사용자는 펜들을 통해 ezETH 유동성 공급에 참여, 리스테이킹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암호화폐 업계, 미 대선에 $8500만 후원금 지출
악시오스에 따르면 암호화폐 업계는 미국 대선 후원금으로 총 8500만달러를 지출했다.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와 리플이 각각 2000만달러 이상 지출했다. 그 외 주요 후원자로는 아크인베스트먼트, 점프크립토, 프레임워크 벤처스, 크라켄, 메사리, 패러다임, 멀티코인캐피털 등이 있다.
바이너리X "CNFT 보유자 대상 BNX 에어드랍 진행"
게임파이 및 IGO 플랫폼 바이너리X가 X를 통해 "일부 CNFT 보유자 대상 BNX 에어드랍을 진행할 계획이다. 에어드랍을 위한 스냅샷은 지난해 12월 21일부터 1월 20일 진행됐다"고 전했다.
스타크넷 기반 거래소 ZKX 메인넷 출시
zk 롤업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스타크넷(STRK) 기반 파생상품 거래소 ZKX가 메인넷을 공식 출시했다고 X를 통해 밝혔다. 앞서 ZKX는 네이티브 토큰 ZKX를 출시한 바 있다.
암호화폐 옵션 프로토콜 이타카, $250만 시드 투자 유치
체인와이어에 따르면 컴포저블 옵션 프로토콜 이타카(ithaca) 파이낸스가 250만 달러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컴벌랜드와 윈터뮤트 벤처스, 룸40 벤처스 등이 이번 라운드를 주도했다. 이외에 액셀라 공동설립자, 드라마 캐피털 공동설립자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 구체적인 투자금 사용처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근 이타카는 이번 분기 말 메인넷을 출시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반에크 고문 "BTC, 기업파산 및 자산 매각에도 영향 없어... 시장 성숙"
반에크 어드바이저 가버 거백스(Gabor Gurbacs)가 X를 통해 "과거 BTC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던 일부 요인들이 더이상 BTC에 타격을 주지 않고 있다. 이는 BTC 시장이 성숙해졌다는 의미"라고 진단했다. 그는 "(FTX, 그레이스케일 등) 다양한 자산 매각 및 기업의 파산 사건이 더이상 암호화폐 시장에는 '재앙'이 아니다. 투자자들은 여전히 BTC를 매집하고 있다. BTC가 하나의 자산으로서 새로운 시대를 맞이한 것 같다"고 전했다.
1월 암호화폐 보안 사고 피해 규모 $7,710만... 전년 比 135%↑
보안업체 서틱(CertiK)이 "1월 암호화폐 해킹, 피싱 스캠, 보안 사고로 인한 피해 규모는 7,710만 달러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한 것이다. 이 중 피싱 피해 규모는 2,960만 달러, 엑시트 스캠은 410만, 플래시론 공격은 1530만, 익스플로잇은 5780만 달러였다"고 전했다.
분석 "미 증시 개장 후 블랙록 IBIT로 6868 BTC 유입 전망"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엠버CN이 X를 통해 "전날 BTC 현물 ETH 자금 유출입 상황을 보면 오늘 미국 증시 개장 이후 그레이스케일 GBTC 주소에서 5066 BTC가 유출되고 나머지 9종 ETF 주소로는 10,738 BTC가 유입될 전망이다. 이중 블랙록 IBIT에만 6868 BTC가 유입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10종 BTC 현물 ETF 커스터디 주소에는 총 643,692 BTC(280억달러)가 보관돼 있다"고 전했다.
中 상하이시, 앤트그룹과 파트너십...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협력
월터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 시정부가 인공지능(AI) 산업 생태계 및 블록체인 산업 혁신 플랫폼 구축을 위해 중국 핀테크 대기업 앤트그룹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싱가포르 법원, 3AC '$1.4억 암호화폐 소유권 소송' 기각 요청 거부
암호화폐 투자사 디파이언스캐피털(DeFiance Capital)과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털(3AC) 청산인 간 1.4억 달러 상당 암호화폐 자산 소유권 분쟁 소송이 진행 중인 가운데, 싱가포르 고등법원이 3AC가 신청한 소 기각 요청을 거부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법원은 3AC의 주장이 근거 없다고 판단했다. 해당 분쟁은 3AC와 독립적으로 운영됐지만 기업 구조 상 이해 관계자에 속하는 디파이언스캐피털이 운용하던 1.4억달러 상당 암호화폐의 소유권에 관한 내용이다. 3AC의 청산인 테네오(Teneo)는 해당 자산은 3AC 자산의 일부로 귀속돼 채권자들에게 분배해야 한다며 재판의 관할권도 싱가포르가 아닌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디파이언스캐피털은 이를 3AC와 무관한 자산으로 인식해 투자자들에게 상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코인데스크, 자체 인센티브 토큰 DESK 지원 중단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자체 인센티브 토큰인 DESK에 대한 지원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미디어는 “DESK는 지난 2021년 처음 공개한 뒤 2022년 폴리곤 블록체인을 통해 발행하면서 서비스 약관상 이를 거래하는 것을 금지해 놨었다. 하지만 일부 이용자들이 최근 DESK를 2차 시장에 내놓고 있는 정황을 파악했다. 그럼에도 이를 막을 뚜렷한 방법이 없어 내부 논의 끝에 DESK 지원을 전면 중단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