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스틴 선 "비트코인 레이어2 솔루션·로드맵 공개 예정"
저스틴 선 트론(TRX) 설립자가 X를 통해 비트코인 레이어2 솔루션 및 로드맵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 솔루션은 트론 네트워크의 다양한 토큰을 비트코인 네트워크 및 오디널스와 같은 레이어2와 결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트론을 비트코인과 직접적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550억 달러 규모의 재정 투입 효과를 낳을 수도 있다. 미래에는 USDT, TRX, BTT, JST, SUN, NFT, WIN, USDC 등 트론 토큰을 크로스체인 기술을 통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통합하는 작업이 이뤄질 것이다. 아울러 트론은 앞으로 여러 비트코인 레이어2 프로토콜과 협력해 중요한 파트너십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랩스, 인큐베이션 프로젝트 NFP 등 3곳 선정"
바이낸스 랩스가 X를 통해 "인큐베이션 시즌6 프로젝트로 에테나 랩스(ethena labs), 앤에프 프롬프트(NFP), 쇼균파이(shogunfi)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코인 상장 뒷거래' 전 코인원 임직원·브로커 2심도 실형
연합뉴스에 따르면 가상자산 상장을 두고 수십억원대 뒷돈을 주고받은 거래소 코인원 전 임직원과 브로커가 항소심에서도 실형을 선고받았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항소1부(맹현무 부장판사)는 15일 배임수재 등 혐의로 기소된 전 코인원 상장 담당 이사 전모(42)씨와 전 상장팀장 김모(32)씨에게 각각 1심과 같은 징역 4년과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했다. 19억4천만원, 8억1천만원의 추징 명령도 유지했다. 이들에게 상장을 청탁하며 코인과 현금을 건넨 혐의(배임증재)로 재판에 넘겨진 브로커 황모(39)씨도 1심과 마찬가지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업비트, 톤→토카막네트워크 명칭 변경
업비트가 BTC 마켓에 상장된 프로젝트 톤(TON)의 명칭을 토카막네트워크(Tokamak Network)로 변경한다고 공지했다. 티커는 기존과 동일한 TON으로 유지된다.
외신 "친리플 변호사 존 디튼, 美 공화당 의원 후보 경선 출마 고심"
비인크립토가 보스턴 글로브를 인용해 리플(XRP)에 우호적인 것으로 유명한 미국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존 디튼(John E Deaton)이 미국 메사추세츠 지역구 공화당 의원 후보직 경선 도전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마가 확정될 경우, 존 디튼은 암호화폐에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는 미국 상원의원 엘리자베스 워렌(Elizabeth Warren) 같은 지역구를 두고 맞붙게 된다.
외신 "BTC, 日 거래소서 사상 최고치 경신"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플라이어 엔화마켓에서 BTC가 15일 한때 790만엔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디어는 "달러 기준 BTC는 52,000 달러로 사상 최고치(6.9만 달러) 대비 32% 낮은 수준인데, 이같은 차이는 일본의 유동성 완화 기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일본은 유동성 완화 정책과 인플레이션율 상승 전환이 맞물리면서 엔화 스트레스 현상을 겪고 있다. 미국 연준과 각국 중앙은행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할 때도 일본 중앙은행은 금리를 0%로 유지하면서 막대한 화폐를 발행했다. 또 일본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에만 3.1% 상승해 1982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달러 대비 엔화 가치는 지난해 하락한데 이어 올해 6.4% 더 내렸다"고 설명했다.
보라 랩스, 새 이더리움 토큰 표준 TBA 출시
블록체인 플랫폼 보라(BORA)가 공식 미디움을 통해 "보라 랩스의 첫 번째 서비스인 TBA(Tokenbound Accounts, ERC-6551)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TBA(ERC-6551)는 NFT를 독립적인 이더리움 계정으로 변환하는 새로운 토큰 표준이다. TBA는 NFT를 메타마스크 지갑처럼 이용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라고 보라 랩스는 설명했다.
BTC 채굴자 보유량 4개월 간 2만개 순감소...2021년 7월 이후 가장 적어
약 5.7만 명의 X(구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온체인 애널리스트 온체인칼리지(On-Chain College)가 글래스노드의 데이터를 인용 "비트코인 채굴자들의 BTC 보유량이 약 181만 BTC를 기록, 2021년 7월 이후 가장 적은 규모를 나타냈다"고 15일 분석했다. 이어 그는 "지난 4개월간 채굴자들의 BTC 보유량은 2만 BTC 순감소했다. 향후 3~6개월 내 채굴자 보유량은 2010년 제외 사상 최저 수치를 경신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스팟온체인 "BTC, 제네시스 및 美 정부 보유분 매각 등 하방 리스크 주의해야"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스팟온체인(Spot On Chain)이 X를 통해 "지난 일주일 간 비트코인은 상승세를 지속하며 52,000 달러선을 회복했지만, 단기적으로 하방 압력을 야기할 수 있는 두 가지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해당 리스크는 각각 ▲파산한 미국 암호화폐 대출 및 트레이딩 업체 제네시스의 GBTC 보유분(3,500만 주, 13억 달러 규모) 매각 ▲다크웹 마켓 실크로드로부터 美 정부가 압수한 2,875 BTC(약 1.5억 달러) 처분 등이다. 이와 관련 스팟온체인은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10억 달러 상당의 GBTC 보유분을 매각할 당시 BTC 가격은 49,000 달러에서 39,000 달러까지 하락했다. 또 미국 정부는 약 208,000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법무부는 실크로드 에이전시로부터 압수한 2,933 BTC(당시 시세 기준 약 1.3억 달러)를 처분하겠다고 통지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美 2대 거래소 크라켄, 영국 사용자 셀프커스터디 지갑 검증 절차 시작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거래량 기준 미국 2위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이 최근 영국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셀프커스터디 지갑 검증 절차를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크립토슬레이트 소속 애널리스트 제임스 반 스트라튼(James Van Straten)이 최근 SNS를 통해 공유한 크라켄 발신 이메일에는 "영국 당국의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고객의 셀프커스터디 지갑과 관련 계정 활동에 대한 최신 정보를 유지해야 한다"며 "크라켄 계정과 상호작용 중인 셀프커스터디 지갑에 대한 소유권 및 통제권을 증명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또 크라켄은 오는 2월 23일까지 검증 요청에 응답하지 않으면, 요청된 정보가 제공될 때까지 해당 계정에 대한 활동을 제한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클레이튼·핀시아 체인 병합 제안 찬성 통과
클레이튼(KLAY)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핀시아(FNSA·구 라인블록체인)와의 체인 병합 거버넌스 안건 KGP-25가 찬성 통과됐다고 X를 통해 밝혔다. 클레이튼은 이어 "향후 몇 주 동안 핀시아와의 체인 병합 관련 다음 단계와 주요 마일스톤을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클레이튼과 핀시아는 지난달 16일 공식 커뮤니티를 통해 체인 병합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통합 체인의 명칭은 '프로젝트 드래곤'(PROJECT DRAGON)으로, 토큰은 PDT로 명명됐다. 당시 제안에서는 1KLAY 당 1PDT, 1FNSA 당 148PDT의 교환(마이그레이션) 비율이 책정됐고, 이날 통과된 안건에서도 해당 교환 비율은 유지된 것으로 전해졌다.
분석 "金 ETF 올해 $23.9억 규모 유출...BTC 현물 ETF와 대조"
코인텔레그래프가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의 분석을 인용, 현물 금 가격이 하락하며 주요 금 ETF가 올 들어 23억 9000만 달러의 자금 유출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반면 미국 10개 BTC 현물 ETF에는 올해 총 38억 9000만 달러가 유입됐다. 에릭 발추나스는 "해당 데이터는 금 ETF 자금이 BTC 현물 ETF로 유입됐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금 ETF 자금은 포모(FOMO, 시장에서 혼자만 뒤처지는 것 같은 공포감)로 인해 미국 주식 시장으로 유입되고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호라이즌랩스 "에이프체인 구축 위해 오프체인랩스와 협력중"
웹3 블록체인 개발사 호라이즌랩스가 X를 통해 "에이프코인 자체 체인인 에이프체인 구축을 위해 아비트럼(ARB) 개발사 오프체인랩스와 협력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APE를 레이어제로 옴니체인 펀저블 토큰(OFT)으로 사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에이프체인 로드맵도 조만간 공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에이프체인에서 웹3 게임 출시를 원하는 프로젝트들과도 긴밀히 협력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OFT는 크로스체인 네이티브 토큰 전송에서 래핑된 자산의 리스크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토큰이다. 앞서 에이프코인 커뮤니티는 에이프체인을 아비트럼 오르빗 기반으로 구축하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을 찬성 통과시킨 바 있다.
애니모카브랜드, 아부다비 소재 게임 개발사 파람랩스와 파트너십
블록체인 및 NFT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소재 게임 개발 스튜디오 파람랩스(Param Labs)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애니모카 측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파람랩스의 웹3 제품 출시와 블록체인 및 토크노믹스 설계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애니모카는 파람랩스의 2D NFT→3D 게임용 파일 변환 플랫폼 픽셀투폴리(Pixel To Poly)를 자체 프로젝트 및 포트폴리오 업체에 지원하고, MENA 지역 웹3 게임 생태계 확장을 도모할 계획이다. 한편 파람랩스는 무료 NFT 출시, 웹3 게임 경제 및 인프라를 설명하는 라이트페이퍼를 공개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프리즈마 파이낸스, LRT 담보 기반 스테이블코인 ULTRA 출시 예고
이더리움(ETH)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LST) 기반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프리즈마 파이낸스(PRISMA)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유동성 리스테이킹 토큰(LRT) 담보 기반 스테이블코인 ULTRA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프리즈마LRT 프로토콜을 통해 이더파이(EETH)의 LRT인 weETH를 담보로 ULTRA를 대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리즈마는 LRT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LRT를 보유하며 챙길 수 있는 보상, 포인트 등을 포기할 필요 없이 ULTRA로 추가적인 디파이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프리즈마LRT는 출시 초기 이더파이의 weETH만을 담보로 우선 지원하며, 향후 LRT 담보군을 확대할 계획이다.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문웰, 이더리움 기반 체인 전반 USDC 통합 대출 지원
더블록에 따르면, 탈중앙화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문웰(WELL)이 이더리움(ETH) 기반 네트워크 전반 USDC 통합 대출 도구 'USDC 애니웨어'(USDC Anywhere)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USDC 발행사 서클의 크로스체인 프로토콜을 활용, 암호화폐 담보 대출로 사용자의 아비트럼, 아발란체, 베이스, 이더리움, 옵티미즘, 폴리곤 지갑에 차용한 USDC를 즉시 이체할 수 있다는 게 문웰 측의 설명이다. 또 USDC 애니웨어 서비스는 코인베이스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베이스(Base)가 중추적인 네트워크로 작동하며, 상호운용성 프로토콜 소켓을 활용해 사용자의 트랜잭션 수수료(가스비)를 자동 정산한다.
에이프코인, 아비트럼 기반 자체 체인 구축 제안 통과
스냅샷에 따르면 에이프코인(APE) 커뮤니티가 자체 체인인 에이프체인을 아비트럼(ARB) 오르빗 기반으로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아비트럼 오르빗은 아비트럼의 니트로 테크 스택을 활용, 맞춤형 전용 체인을 출시하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해당 제안은 찬성률 50.35%로 통과됐다. 네트워크 구축은 웹3 블록체인 개발사 호라이즌랩스가 맡는다. 앞서 에이프코인 커뮤니티는 지난 8일 에이프체인 구축을 위한 거버넌스 제안을 95.47% 찬성률로 통과시킨 바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