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브리핑] 英 재무장관 "6개월 내 스테이블코인 법안 마련" 外

| 하이레 기자

日, 자국 VC에 암호화폐 투자·보유 허용 추진

더블록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최근 정부 내각이 특정 조건을 갖춘 일본 소재 벤처캐피털(VC)에 한해 암호화폐 투자·보유 및 웹3 스타트업 직접 투자를 허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내각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산업경쟁력 강화법 개정안을 심의·통과시켰다.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VC는 암호화폐만 발행하는 프로젝트에 투자가 가능해진다. 개정안은 현재 일본 의회에 제출된 상태다. 현행법상 일본 소재 VC는 암호화폐 보유 또는 투자가 금지돼 있었다. 이로 인해 일본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은 해외 VC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미디어는 설명했다.

英 재무부장관 "6개월 내 스테이블코인 법안 마련"

블룸버그에 따르면 빔 아폴라미(Bim Afolami) 영국 재무부 장관이 19일(현지시간) 코인베이스가 주최한 업계 행사에 참석해 "6개월 내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스테이블코인 입법을 열심히 추진 중이다. 가능한 빨리 이를 마무리 짓고 싶다"고 덧붙였다.

갤럭시 디지털 자산관리 총괄 "주요 자산운용사, 몇 달 내 BTC 현물 ETF 출시"

미국 암호화폐 전문 투자운용사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의 자산 관리 총괄인 스티브 크루즈(Steve Kurz)가 "앞으로 몇 달 안에 더 많은 대형 자산운용사가 BTC 현물 ETF 시장에 뛰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크립토 슬레이트는 "뱅크오브아메리카, 골드만삭스, 웰스파고, JP모건 체이스 등의 BTC 현물 ETF 출시가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멕시코 3대 부호 "BTC 투자, 유망 기업 투자와 비슷"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멕시코 3대 부호 중 한 명인 리카르도 살리나스(Ricardo Salinas Pliego)가 X(구 트위터)에서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것은 유망한 기업에 투자하는 것과 같다. 다만, 암호화폐 시장은 다른 자산군보다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성급히 투자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이클 세일러 "2020년 8월 10일 이후 BTC +333%, 금 -1%"

유투데이에 따르면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의 공동 설립자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가 금과 비교해 비트코인이 급등했다는 게시물을 X에 게시했다. 마이클 세일러에 따르면 2020년 8월 10일 이후 금은 1% 하락한 반면, 비트코인은 333% 상승했다. 한편, 미국 투자자문회사 비앙코 리서치(Bianco Research)의 짐 비앙코(Jim Bianco)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은 큰 실수"라며 "마이클 세일러가 예상하는 것 처럼 비트코인이 60,000 달러까지 상승할 것은 가능한 일이지만,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으로 인해 100만 달러까지 상승은 힘들 것"이라고 언급했다.

前 백악관 관계자 "겐슬러, 재무장관 노리고 의도적 암호화폐 반대"

전 백악관 커뮤니케이션 총괄 안토니 스카라무치 스카이브릿지 대표가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위원장이 암호화폐에 강경하게 대응하는 것은 바이든 정부의 두번째 재무장관을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겐슬러는 대학 교수 시절 블록체인 강의을 담당했으며, 당시 그는 암호화폐를 반대하지 않았다. 현재 미국의 금융규제는 정치의 간섭으로 제대로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美 암호화폐 반대파 의원 "내 출마 막기 위해 암호화폐 기업 자금 투입" 주장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규제에 앞장서고 있는 엘리자베스 워렌(Elizabeth Warren) 의원이 "나와 케이티 포터(Katie Porter) 의원의 상원 출마를 막기 위해 암호화폐 기업 자금이 투입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연설문 작성자였던 존 파브로(Jon Favreau)는 "암호화폐를 규제하려는 워렌과 포터의 행보가 상원 경선에서 암호화폐 지지자들의 도전을 끌어내고 있다"며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분야 슈퍼PAC 자금이 개입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워렌은 디지털자산자금세탁방지법(DAAML)의 통과를 주장한 바 있다.

플랜비 "BTC, 2025년까지 $600,000 도달 전망"

비트코인 가격 예측 모델 '스톡 투 플로우(S2F) 모델'을 고안한 네덜란드 애널리스트 플랜비(PlanB)가 X를 통해 "현재 1 BTC가 26 온스의 금과 가치가 같아졌다. 2024년 비트코인 가격은 35 온스(약 $7만)까지 상승할 것이며, 2025년에는 300 온스(약 $60만)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JP모건 "제네시스 보유 GBTC 매각 대금, 대부분 매각 후 현금으로 전환 예상"

DL뉴스에 따르면 파산한 미국 암호화폐 대출 및 트레이딩 업체 제네시스의 GBTC 보유분(3,590만 주, 17억 달러 규모)매각이 결정된 가운데, JP모건 애널리스트 니콜라오스 파니기르초글로(Nikolaos Panigirtzoglou)가 "채권자 청구권의 총 규모를 고려할 때, GBTC 주식의 대부분은 매각되어 현금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JP모건은 “제네시스는 채권자들이 예치한 자산 유형에 따라 현금이나 암호화폐로 상환할 예정”이라며 "고객 예금 대부분은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였지만 채권자 청구권 중 일부는 현금이었다"고 설명했다.

거래소 토큰 가격, FTX 파산 영향에서 회복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토큰들이 강세장의 영향을 받아 FTX 파산 영향에서 회복됐으며, 사상 최고를 달성하거나 높은 가격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바이낸스의 토큰인 BNB는 FTX 파산 사건이 있었던 2022년 11월보다 32% 상승한 352 달러에 도달했다. OKX의 토큰인 OKB는 FTX 파산 당시보다 132% 상승했으며, 비트겟의 토큰인 BGB또한 연간 상승률 159%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인 1.03달러로 상승했다.

분석 "이모티콘과 BTC 가격 상승 사이에 연관성 존재"

코인텔레그래프가 유럽과 아시아 연구원들의 연구를 인용, 긍정적인 정서와 관련된 이모티콘이 시장 상승 움직임을 예측했다고 전했다. 연구원들은 "투자자의 긍정적 정서와 그에 따른 BTC 가격 상승 사이의 연관성은 소셜 미디어 담론이 시장 정서의 바로미터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광범위한 투자자 낙관론을 반영해 잠재적으로 구매를 촉진하고 시장 동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원들은 긍정적 정서와 거래 수익 증가에 관련된 연관성을 발견하기 위해 GPT-4와 X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신 "ETH $3,000 저항 형성... 돌파시 $3,500 까지 상승"

포브스에 따르면 다수 애널리스트들이 ETH의 3,000 달러선 지지 및 저항을 주시하고 있다. 프살리온(Psalion) 매니징 파트너 팀 에네킹(Tim Enneking)은 "3,000 달러에서 단기 저항선이 구축됐다. 저항선이 지지선으로 전환되는데 약 일주일 정도의 시간이 걸리 수 있다"고 분석했다. 거버 가와사키(Gerber Kawasaki) 투자 고문인 브렛 시플링(Brett Sifling)은 "ETH 가격이 3,000 달러를 돌파 한 뒤 3,500 달러에서 더 강한 저항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이머징 에셋 그룹(Emerging Assets Group) 리서치 디렉터 윌리엄 노블(William Noble)은 "현재 ETH 지지선은 2,766 달러이며, 상승 목표치는 3,359 달러다. 다만 ETH 펀더멘털과 관계없이 그레이스케일 시탁 자산 매각으로 인한 매도 압력이 ETH 가격 상승의 방해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번스타인 "1년 내 ETH 현물 ETF 승인 확실시"

미국 투자은행 번스타인이 "5월까지 미국 내 이더리움 현물 ETF가 승인될 가능성은 50%이며, 1년 내 승인 가능성은 거의 100%다. 이더리움은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현물 ETF 승인을 받을 수 있는 유일한 알트코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수익 구조, 친환경 설계 및 다양한 금융 유틸리티는 기관 채택에 적합하다. 스테이킹 수익률이 ETF 설계에 포함된다면 ETF 자체에 힘을 실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수이 TVL, 올 들어 2배 넘게 증가...$5.93억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수이(SUI) TVL(락업예치금)이 올 들어 2.11억달러에서 5.93억달러로 2배 넘게 증가했다고 코인데스크가 디파이라마 데이터를 인용해 전했다. 앱토스, 카르다노, 니어 TVL을 상회하는 규모다. 같은 기간 SUI 가격은 131% 상승했다. 수이 생태계 프로젝트 스캘럽(Scallop)과 나비프로토콜(NAVX) TVL은 올 들어 4배씩 증가했다.

NFT 컬렉션 오토글리프 10개, $1450만에 판매

DL뉴스에 따르면 최근 NFT 컬렉션 오토글리프(Autoglyphs) 10개 세트가 5,000 ETH(1,450만 달러)에 판매됐다. 오토클리프는 NFT 중개 플랫폼 파운틴(Fountain)을 통해 판매됐으며, 판매자는 3년 전 오픈씨에서 해당 10개 NFT를 140만 달러에 매수했다고 DL뉴스는 설명했다.

아크, 코인베이스 실적 발표 이후 $9천만 주식 매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캐시 우드가 이끄는 아크인베스트먼트가 지난 16일(현지시간) 코인베이스 실적 발표 이후 3개 산하 펀드(ARKK, ARKW, ARKF)를 통해 9,000만 달러 상당의 코인베이스 주식 499,149주를 매도했다. 이번 매각은 지난해 12월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알트레이어, $1,440만 규모 투자 유치...폴리체인캐피털 주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옵티미스틱 및 ZK 스택 기반 리스테이크드 롤업(restaked rollup) 플랫폼 알트레이어(ALT)가 1,440만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19일(현지시간) 밝혔다. 알트레이어의 이번 투자 라운드는 폴리체인캐피털, 핵VD(Hack VC)의 주도 하에 OKX벤처스, 해시키캐피털, 뱅크리스벤처스, 프리머티브벤처스, 세븐X, 마스크네트워크, IOSG, TRGC 등이 참여했으며, 지난해 9월 마감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알트레이어는 "리스테이크드 롤업 인프라 개발을 중심으로 전략적 파트너십, 생태계 확장과 동시에 글로벌 팀 확대를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Y콤비네이터, 스테이블코인 금융 스타트업에 투자 예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실리콘밸리 유명 스타트업 엑셀레이터인 와이콤비네이터(Y Combinator, YC)가 스타트업을 위한 자금지원 요청 프로그램(RFS) 리스트에 스테이블코인 금융 카테코리를 포함시켰다. YC는 매년 두번 RFS 프로그램을 통해 투자 기업을 선정하는데, 스테이블코인 금융이 포함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YC는 "스테이블코인,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기반 B2B를 구축하는 팀에 자금을 지원하고 싶다"고 밝혔다.

알케미페이, 암호화폐 거래소 패스텍스 계정 연동 선불카드 출시

암호화폐-법정화폐 결제 게이트웨이 알케미페이(ACH)가 공식 미디움을 통해 두바이 VARA 라이선스 취득 암호화폐 거래소 패스택스 익스체인지(Fastex Exchange) 계정 연동 암호화폐 선불카드를 출시한다고 19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패스택스 사용자는 마스터카드 및 비자 기반 선불카드 발급을 신청할 수 있으며, 해당 카드는 패스택스 계정 내 잔액과 연동돼 암호화폐 결제를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월드코인, 버그 바운티 프로그램 진행

블록체인 기반 홍채 스캔 신원 인증 프로젝트 월드코인(WLD)이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버그 바운티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이와 관련 개발사 툴스오브휴머니티(Tools for Humanity)는 "월드코인 재단과 협력해 버그의 치명도에 따라 제보자에게 보상을 지급할 예정이다. 제보 포상금은 $200에서 최대 $5,000까지 제공된다"고 설명했다. 코인니스는 앞서 월드코인의 지갑 앱 월드 앱의 일일 이용자 수가 100만 명을 돌파했다고 전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WLD는 현재 40.51% 오른 7.4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데이터 "BTC, 2021년과 동일한 가격대지만 해시레이트는 3배"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가 X를 통해 "현재 BTC 가격은 2021년과 동일하지만, 네트워크 해시레이트는 2021년 당시의 3배에 달한다"고 전했다. 비티씨닷컴에 따르면, 현재 비트코인 전체 네트워크 해시레이트는 약 557.77 EH/s를 기록하고 있다.

분석 "ETH 펀더멘털, BTC보다 건설적.. 전망 낙관적"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분석업체 앰버데이터(Amberdata)의 파생상품 디렉터 그렉 마가디니(Greg Magadini)가 "이더리움(ETH)의 펀더멘털은 비트코인(BTC)보다 건설적"이라며 ETH 강세가 지속될 수 있다는 낙관 전망을 내놨다. 그는 "머지(PoS전환) 이후 ETH 신규 발행량(공급량)은 뚜렷하게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모두가 4월로 예정된 비트코인 반감기에 대해 얘기하고 있지만, 이미 공급량이 감소하고 있는 이더리움에 비할 바는 아니다. 또 ETH/BTC 마켓에 매수세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공급 관련 펀더멘털은 ETH가 BTC보다 낫다"고 설명했다. 한편 ETH 공급량 추적 사이트 울트라사운드머니에 따르면, 이더리움 머지 이후 ETH 신규 발행량은 약 1,047,643 ETH로, 같은 기간 1,407,200 ETH가 소각되거나 유통되지 않아 순 발행량은 전년 대비 0.209% 감소했다. 이에 반해 BTC 발행량은 1.71% 증가했다. 여기에 3월 덴쿤 업그레이드로 가스 수수료가 최적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ETH 현물 ETF 승인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분석했다.

외신 "코인베이스 BTC 보유량 2015년 이래 가장 적어...오늘만 $10억 상당 BTC 출금"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슬레이트가 블록체인 분석업체 아캄(ARKM), 글래스노드, 코인글래스 등의 데이터를 인용 "오늘만 10억 달러 상당의 BTC가 코인베이스에서 빠져 나갔다. 19일 기준 코인베이스는 약 205억 달러 상당의 39만 BTC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 총 공급량의 약 2% 미만으로 2015년 이후 가장 낮은 점유율"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크립토슬레이트는 "이날 출금된 BTC는 새로운 지갑으로 분할 이체됐으며, 출금 트랜잭션의 모든 UTXO가 쪼개졌다. 다만 BTC 수령자들의 출금 목적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제공 업체들에도 라벨이 달리지 않은 익명 주소로 BTC가 옮겨졌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들 물량은 장외거래 데스크에서 새로운 유동성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셀프 커스터디를 통한 장기 보유 목적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트론 TVL $223억 돌파...사상 최대

크랩토랭크가 X를 통해 "레이어1 블록체인 트론(TRX) 내 암호화폐 락업 예치금(TVL) 규모가 223억 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지난 1년간 트론 TVL은 85% 증가했다"고 전했다.

dYdX 커뮤니티, EOS 무기한 선물 마켓 추가 관련 투표 진행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dYdX(DYDX) 커뮤니티에 자체 메인넷 dYdX체인에 EOS 무기한 선물 마켓을 추가하자는 내용의 제안이 발의됐다. 해당 제안은 현재 100%의 찬성표를 받고 있지만, 제안이 채택되기 위한 최소 투표수에는 못 미치고 있다. 투표는 23일 10시 22분(한국시간) 종료된다.

디닷파이 "향후 8주 이내 $350만 상당 DEFI 토큰 소각 예정"
디파이 포트폴리오 추적 및 안티바이러스 웹3 소셜파이 앱 디닷파이(DEFI)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350만 달러 상당의 DEFI 토큰 1,200만 개를 소각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이와 관련 디닷파이는 "이번 소각은 프로젝트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내린 결정이며, 다음주부터 시작해 8주 이내에 소각을 완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DEFI는 현재 1.09% 오른 0.287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아캄 "해킹 피해 픽스드플로트 해커 정보 제공자에 1만 ARKM 바운티 제공"

블록체인 분석업체 아캄(ARKM)이 X를 통해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에 노출, 2,600만 달러 상당 피해를 입은 탈중앙화 거래소(DEX) 픽스드플로트(FixedFloat) 해커 신원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해커가 자금을 반환할 경우 10000 ARKM의 바운티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0,000 ARKM은 현재 시세 기준 1.1만 달러다.

외신 "이더리움 레이어2 생태계, 올해 괄목할 성장 이룰 것"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이더리움(ETH) 레이어2 생태계는 올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2024년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역사상 가장 주목할만한 해가 될 것이다. 현물 ETF 승인 가능성 외에도 ETH의 소각량 증가에 따른 디플레이션(공급량 감소), 덴쿤 업그레이드에 포함된 개선 제안이자 트랜잭션 수수료를 최대 10배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EIP-4844 활성화 등은 이더리움의 분기점이 될 것이다. 오늘날 규모를 갖춘 이더리움 레이어2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은 틈새 시장을 파고들기 위해 전문 팀원들로 구성된 서브체인으로 분할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폴리곤(MATIC)이 CDK(체인 개발 키트)를 통한 확장으로 세력을 키우고 있다. 옵티미즘(OP) 등 체인도 이와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올해에는 웹3 킬러 앱이 등장하는 해가 될 수 있다. 이는 개인과 기업들이 실생활에서 지속적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하게 될 것이란 의미"라고 설명했다.

아크인베스트 BTC 현물 ETF, $13.95억 상당 BTC 보유

아크인베스트-21쉐어스가 업데이트한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비트코인 현물 ETF ARKB의 BTC 보유량은 26,639.91개로 13억 9500만 달러 상당이다.

포브스 "아시아태평양 웹3 산업 성장세 뚜렷...게임·AI·소셜파이 두각"

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가 "올들어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 웹3 산업의 성장세가 도드라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포브스는 "싱가포르 소재 VC 포사이트벤처스의 7,000만 달러 규모 더블록 인수, NGC벤처스의 지속적인 자금 조달, 레이어제로의 1.49억 달러 규모 투자 유치 등 투자 측면의 대형 호재가 APAC 지역에 집중됐다. 또 웹3 게임, 업계 대형 오프라인 행사, 인공지능(AI) 및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웹3 프로젝트, 소셜파이 등 분야에서 아시아태평양 시장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타크넷 재단 "4000만 STRK 규모 디파이 스프링 프로그램 진행"

zk 롤업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스타크넷(STRK) 재단이 X를 통해 "디파이 스프링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참여 프로토콜에 총 4000만 STRK를 배포할 계획이다. 디파이 스프링 프로그램은 오픈블록랩스와 2월 22일(현지시간) 시작하며, 약 6~8개월 간 지속된다. 보상은 2주에 한번씩 배포된다"고 전했다.

로닌네트워크 "일부 사용자 월렛 잔액 표기 오류... 자금 안전"

P2E 게임 전용 이더리움(ETH) 사이드체인 로닌네트워크(RON)가 X를 통해 "일부 사용자의 월렛 잔액 표기 오류가 발생했다. 다만 모든 사용자의 자금은 안전하며, 현재 서버 확장을 위해 노력 중이며 1~2시간 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주 디지털자산 투자 상품에 $24.5억 순유입...사상 최대 유입

코인쉐어스 주간 자금 흐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서 약 24억 5000만 달러가 순유입되며, 해당 통계 시작 이래 가장 많은 주간 유입량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올들어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 순유입된 자금은 약 52억 달러를 기록했다.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의 운용자산(AUM) 규모는 약 670억 달러를 기록, 2021년1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로의 자금 유입이 전체 유입량의 99% 가까이를 차지했으며, 이더리움(ETH) 상품에는 약 2,100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솔라나(SOL) 투자 상품에서는 약 160만 달러가 순유출됐으며, 아발란체(AVAX), 체인링크(LINK), 폴리곤(MATIC) 투자 상품에 각각 100만 달러, 90만 달러, 90만 달러가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체인 관련주 ETF 상품에서는 지난주 총 1.67억 달러가 순유출됐다.

ECB 집행이사 "CBDC 발행, 은행에 부정적 영향 없어"

렛저인사이트에 따르면 피에로 시폴로네(Piero Cipollone) 유럽중앙은행(ECB) 집행이사를 포함한 ECB 고위 임원들이 경제정책연구센터(CEPR) 기고문을 통해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는 은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디지털유로 발행으로 인한 은행 예금 이탈 우려를 잘 알고 있지만, CBDC는 오히려 은행에 새로운 서비스나 상품을 출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고 분석했다.

애널리스트 "BTC, 반감기 전 단기 조정 후 최고 $58,000까지 상승 전망"

약 69.4만명의 X 팔로워를 보유한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마이클 반 데 포페(Michaël van de Poppe)가 X를 통해 "바이낸스 BTC/USDT 주봉 차트는 상당한 모멘텀을 보여주며 좋은 그림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개인적으로 BTC는 단기 조정을 겪은 뒤 최종적으로 54,000~58,000 달러까지 상승하며 반감기 전 상승을 마무리지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분석 "BTC 장기홀더 공급량 중 6.5% 손실 상태... 강세장 초기 유사"

글래스노드가 X를 통해 "현재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LTH)의 공급량 중 6.5%인 77.7만 BTC가 손실 상태다. 이는 과거 강세장 초기 때와 비슷한 수준이다"라고 분석했다.

에드워드 스노든 "BTC, 화폐 역사 상 가장 중요한 발전"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기밀자료를 폭로한 내부고발자 에드워드 스노든(Edward Snowden)이 X(구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은 화폐가 등장한 이래 가장 중요한 발전이다. 환영받지 못할 말이지만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 말을 믿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도 더 이상 설득할 시간이 없다"고 덧붙였다.

웹3 소셜 프로토콜 비블, $700만 시드 투자 유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웹3 소셜 프로토콜 비블(Beoble)이 700만 달러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해시키, 삼성넥스트, DCG, DWF벤처스, 노무라 레이저 디지털, 사이퍼 캐피털, 블록체인 파운더스 펀드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 투자금은 멀티체인 통합, 인앱 소셜 거래, OTC 등 기능이 포함된 비블 V2 출시에 사용된다. 비블 V2는 다음달 출시될 계획이다.

알케미페이, 알리페이HK 등 기업과 파트너십 체결...NFT 구매 지원

암호화폐-법정화폐 결제 게이트웨이 알케미페이(ACH)가 공식 미디움을 통해 알리페이HK, DANA, QRIS, GCash 등 홍콩 및 동남아 결제 서비스 업체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를 통해 자체 NFT 간편구매 서비스 'NFT 체크아웃'의 지원 범위를 확장한다는 게 알케미페이 측의 설명이다.

애널리스트 "BTC, 6개월 내 신고가 경신 확률 85%"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분석 플랫폼 인투더블록 소속 리서치 총괄 루카스 아우투무로(Lucas Outumuro)가 "비트코인이 향후 6개월 이내에 신고점을 경신할 확률은 85%"라고 진단했다. 그는 BTC의 신고가 경신을 견인할 주요 촉매제 5개로 ▲반감기 도래 ▲현물 ETF를 통한 신규 수요 유입 ▲미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글로벌 주요 헤지펀드의 BTC 매집 가능성 등을 지목했다.

오아시스, 서드파티 SDK 통해 유니티·언리얼엔진 등 게임엔진 지원

게임 특화 블록체인 오아시스(OAS)가 공식 채널을 통해 서드파티(third-party) SDK를 통해 유니티, 언리얼엔진 등 업계 최고 수준의 게임엔진을 지원한다고 19일 밝혔다. 이와 관련 오아시스는 "블록체인과 웹3는 게임 경제에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올 잠재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는 개발자가 보다 다양하고 개선된 웹3 게임 스택을 활용할 수 있을 때 실현될 수 있다. 최신 트렌드를 따라가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기술과 클래식 게임 기능의 결합을 지원하는 더 많은 플랫폼과 도구가 필요하다. 개발자들이 재미있는 게임 개발에만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론 머스크, ARKB, 26,639 BTC 보유 내용 리트윗

일론 머스크가 아크 21셰어스 비트코인 ETF(ARKB)의 비트코인 보유량이26,639.91개에 도달했다는 내용을 리트윗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