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비트코인, 업비트 기준 첫 1억원 터치 外

| 하이레 기자

BTC, 업비트 기준 첫 1억원 터치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이 사상 처음으로 1억원을 터치했다.

클레이어, 4월초 테스트넷 마이그레이션 계획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리스크(LSK)의 신규 브랜드 클레이어(Klayr)가 X를 통해 "이달 말이나 4월초 테스트넷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리스크는 리브랜딩 계획을 밝히면서, 리스크 레이어1은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로 전환된다고 밝힌 바 있다.

에일리언스왑 "지난 5일간 거래량 $1.4억 상회"

NFT 애그리게이터 거래 플랫폼 에일리언스왑이 X를 통해 "지난 5일간 에일리언스왑 거래량이 1억 4000만 달러를 넘어서며 멀티체인 NFT 마켓플레이스 중 1위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범죄자 압수 가상자산, 해킹 피해자 손배금으로 배당된다

11일 한국일보에 따르면 서울중앙법원이 지난 1월 해킹 범죄자에게 압수한 가상자산(코인) '이더리움'을 강제 매각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강제매각으로 확보한 현금은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A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승소한 피해자들에게 조만간 배당될 예정이다.

업비트 추정 주소, $326만 ID 매집

스팟온체인이 X를 통해 “업비트 추정 주소(0xa49로 시작)가 ID 가격이 급등하기 전 8시간 동안 253만 ID(326만 달러)를 매집했다. 현재 이 지갑은 총 1억 5120만 ID(1억 9350만 달러)를 보유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관련 지갑을 제외한 ID 보유 주소 중 가장 큰 규모"라고 전했다.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ID는 36.37% 오른 1.2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크립토퀀트 CEO "이번 강세 사이클, 기관 자본 유입으로 소폭 조정"

크립토퀀트의 CEO 주기영은 X를 통해 "이번 비트코인(BTC) 강세 사이클은 자본 유입 덕분에 비교적 소폭의 조정이 나타났다"고 전했다. 그가 공유한 각 강세 사이클 별 조정폭은 다음과 같다.
- 2015 ~ 2018 최대 하락률: -32.93% / 평균 하락률: -10.93%
- 2018 ~ 2021 최대 하락률: -60.24% / 평균 하락률: -19.39%
- 2023 ~ 현재 최대 하락률: -19.11% / 평균 하락률: -5.47%

빗썸, 13일 ETH 입출금 일시 중단

빗썸이 이더리움(ETH) 네트워크 덴쿤 업그레이드 지원으로 13일 오전 10시 이더리움(ETH), 아비트럼(ARB) 계열, 옵티미즘(OP) 계열 가상자산 입출금을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RSS3 "알파 노드 최종 테스트 진행 중"

탈중앙화 정보 배포 플랫폼 RSS3(RSS3)가 공식 X를 통해 "RSS3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알파 노드에 대한 최종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RSS3는 올해 ▲알파 ▲베타 ▲프로덕션 ▲비욘드 등 4단계에 걸쳐 메인넷을 완성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더샌드박스 공동설립자 "사우디 알파이잘대학과 파트너십"

이더리움(ETH) 기반 메타버스 프로젝트 더샌드박스(SAND) 공동 설립자이자 최고운영책임자(COO)인 세바스티앙 보르제(Sebastien Borget)가 X를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 방문해 알파이잘대학교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측은 메타버스 활성화 및 관련 교육, 게임 제작, 크리에이터 경제 활성화, 다운증후군 환자를 위한 가상 세계 활용 방안 등에 대해 협력한다"고 설명했다.

팬시, 셀러비에 ‘소셜 AI’ 기술 적용 예정

팬시(FanC) C2E(Create to Earn), W2E(Watch to Earn) 등의 블록체인 시스템이 구현된 숏폼
생태계인 셀러비(CELEBe)를 통해 소셜 AI 기술 적용에 나선다고 밝혔다. 사용자 경험 및 콘텐츠 품질 향상이 목표다. 크게 3가지 방향으로 AI 기술 적용을 진행 중이다. ▲사용자 활동에 따른 콘텐츠 가치 평가와 디지털 자산화 과정 ▲앱 내 부정행위 감지 ▲콘텐츠 저작권 침해 방지. 팬시는 이와 함께 SBT(Soul Bound Token) 개발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창작자와 사용자의 활동을 인증하고 보상하는 데 쓰일 예정이다.

업비트, 빗썸 PDA 상장폐지

업비트, 빗썸이 3월 25일 14시 플레이댑(PDA)을 상장폐지한다고 공지했다.

zk링크, 2000만 ZKL 규모 생태계 개발자 지원 프로그램 시작

멀티체인 자산 거래 인프라 프로젝트 zk링크(zkLink)가 2000만 ZKL(총 공급량의 2%) 규모 생태계 개발자 그랜트(보조금)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유동성 파편화를 해결하는 롤업 개발자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어드벤처골드 "런치패드 토큰 출시 계획"

어드벤처골드(AGLD) DAO가 커뮤니티 성장 런치패드 어드벤처러 포지(Adventurer’s Forge) 토큰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토큰 보유 시 추가 보상과 VIP 액세스가 제공되고, 추가로 스테이킹할 시 토큰 얼로케이션(배분)을 위한 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어 AGLD를 보유하고 스테이킹할 경우 다양한 사용사례를 제공할 계획이며, 어드벤처러 포지 런치패드를 통해 시작되는 각 프로젝트에서 AGLD의 추가 유틸리티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시키 익스체인지 CEO "홍콩서 ETH 현물 ETF 활발히 논의"

홍콩 싱다오왕에 따르면, 홍콩 규제 적격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키 익스체인지(HashKey Exchange) CEO 겸 해시키그룹 COO 웡샤오치는 "글로벌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가장 기대하는 상품은 이더리움 현물 ETF이며, 현재 홍콩에서 이더리움 현물 ETF가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미국보다 먼저 ETF가 출시된다면 홍콩도 경쟁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고,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 홍콩의 입지가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홍콩에서 10개 금융기관이 비트코인 현물 ETF를 신청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하베스트 펀드는 지난 1월 첫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위믹스 "오늘 300만 WEMIX 이동 예정"

위믹스(WEMIX)가 오늘 300만 WEMIX의 이동이 있을 것이라고 공시했다. 신규 NCP의 합류 준비를 위한 WEMIX 전송(150만 WEMIX 유통량 증가), 크로마의 40 WONDERS 신규 NCP 합류에 따른 임시 노드 스테이킹 물량 반환(150만 WEMIX 유통량 감소)로 나뉜다.

전날 BSC 기반 DEX 거래량 1위...$25억

디파이라마 데이터에 따르면 3월 10일 기준 BSC 기반 DEX(탈중앙 거래소) 거래량이 24.74억 달러를 기록하며 체인별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이더리움(20.38억 달러), 솔라나(13.61억 달러)가 그 뒤를 이었다.

비트루 해커, 8시간 전 $1634만 ETH 매도

룩온체인이 X를 통해 "작년 4월 14일,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루(Bitrue)를 해킹해 235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탈취한 해커가 8시간 전 4207 ETH를 1634만 DAI에 매도했다. 해당 해커는 현재 4650 ETH(약 1768만 달러), 150억 SHIB(약 470만 달러), 756만 HOT(약 290만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추가적인 매도를 조심해야한다"고 전했다.

스택스 공동 설립자,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세부 정보 공개

무닙 알리(Muneeb Ali) 스택스(STX) 공동 설립자가 X를 통해 스택스 나카모토 업그레이드와 관련된 세부 정보를 공개했다. 알리는 "나카모토 업그레이드는 이전에 발표한 대로 4월 15~29일 사이에 출시될 예정이며, PoX-4 라고 불리는 새로운 PoX 합의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약 두 번의 스택킹(stacking) 주기가 지난 후에 특정 비트코인 블록에서 나카모토 합의 규칙이 활성화 될 것이다. 현재 블록검증, DKG, StackerDB 등이 완료돼 테스트 중에 있다. 스택스 나카모토의 출시는 비트코인 L2의 공식적인 시작을 알린다"고 전했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