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트럼 커뮤니티, 게임 프로젝트 지원에 2억 ARB 할당 제안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토콜 아비트럼(ARB) 커뮤니티에 생태계 내 게임 프로젝트 지원에 2억 ARB를 할당하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이 발의됐다. 지원금은 2년에 걸쳐 분배된다.
웁살라시큐리티 웹3 보안 플랫폼 체인키퍼, 정식 출시 암시
블록체인 보안 솔루션 센티널 프로토콜(UPP) 개발사 웁살라시큐리티(Uppsala Security)의 인공지능(AI) 기반 웹3 보안 플랫폼 체인키퍼(ChainKeeper)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99% 로딩 완료"라며 정식 출시가 임박했음을 암시했다. 앞서 웁살라시큐리티는 지난 2022년 12월 체인키퍼의 베타 버전을 출시한 바 있다.
BTC $73,000 상회...달러 기준 신고가 재차 경신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73,000 달러를 상회하며 달러 기준 신고가를 재차 경신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73,01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3/12 BTC 현물 ETF에 $10.5억 순유입...역대 최대
소소밸류(SoSoValue)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2일(현지시간) 비트코인 현물 ETF에 10억 5000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역대 최대 일일 순유입량이다. 이중 블랙록 IBIT에만 8.48억달러가 유입됐다. 아크 21셰어스 ARKB와 피델리티 FBTC에는 각각 9296만달러, 5160만달러가 유입됐다. 반면 그레이스케일 GBTC에서 7897만달러가 순유출됐다. BTC 현물 ETF 순자산 가치는 587.7억달러로, 전체 BTC 공급량의 4.21%를 차지한다.
몬테네그로 고등법원 "항소법원, 미국 반대해도 권도형 한국행 확정할 것"
디지털애셋에 따르면 몬테네그로 수도 포드고리차 고등법원 관계자는 "몬테네그로 항소법원은 미국이 권도형 테라폼랩스(TFL) 창립자의 송환을 요청해도 이를 직권으로 기각하는 결정을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고등법원 결정에 대해 항고(불복) 주체는 권도형과 그의 변호인"이라며 "기한까지 항고를 제기하지 않으면 한국으로의 송환 절차가 이뤄지며 항고가 이뤄져도 항소법원이 직권으로 미국의 송환 요청에 대해 기각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5일 권도형이 미국 송환 불복 항소심에서 승소한 뒤 몬테네그로 법원은 그의 한국 송환을 결정한 바 있다.
분석 "BTC 내재변동성 하락... 주말 전 랠리 기대"
암호화폐 옵션 전문 분석 업체 그릭스닷라이브(Greeks.live) 매크로 연구원 애덤(Adam)이 X를 통해 "비트코인 7만 달러 돌파 이후 시장의 열기가 다소 식었다. BTC 내재 변동성 지수(DVOL)가 90%에서 78%까지 하락했고, 지난 3일간 옵션 내재변동성(IV)도 대폭 하락했다. 다만 이번 강세장에선 투심이 다소 진정되면 다시 랠리를 회복하는 경향이 있다. 옵션 데이터를 볼 때 다음 랠리는 주말 전에 올 것으로 보인다. 단기 IV가 크게 하락한 상태인 만큼 단기 옵션을 매수하기에 좋은 시기"라고 분석했다.
메티스 TVL $10억 돌파
L2비트(L2Beat)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 레이어2 솔루션 메티스(METIS)의 총 락업 예치금(TVL)이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현재 TVL은 10.5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METIS는 1.54% 내린 129.8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두바이 경찰청, 카르다노 재단과 보안 분야 협업
워처그루에 따르면 두바이 경찰청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보안 강화를 목적으로 카르다노 재단과 협업을 진행한다. 이번 협업으로 두바이 경찰청의 데이터 공유 및 보안 효율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코어사이언티픽 작년 매출 $5억…전년 대비 $1.3억 감소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채굴 기업 코어사이언티픽(Core Scientific)이 2023년 실적발표를 통해 이 기간 총 매출이 5억 24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억 3790만 달러 감소했다고 밝혔다. 코어사이언티픽은 채굴 장비 판매 사업 정리와 BTC 해시레이트 증가로 인해 수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단, 2023년 연간 순손실은 2억 4,650만 달러로 전년 21억 4,000 달러 대비 크게 감소했다. 코어사이언티픽 주가는 실적 발표일인 12일(현지시간) 4.6% 하락한 3.54 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블라스트, 렌조 ezETH 리스테이킹 지원
이더리움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렌조(Renzo)가 공식 X를 통해 "블러 주도 레이어2 네트워크 블라스트(Blast)에서 ezETH 리스테이킹을 지원한다"고 전했다.
윌리 우 “BTC 자금 유입량 일일 $20억 돌파…규모 더 커질듯”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윌리 우가 X(구 트위터)를 통해 “온체인 지표상 비트코인 네트워크 유입 자금이 일일 20억 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강세장 최대치와 비슷한 수준이다. 단, 과거와 달리 BTC 현물 ETF가 자금 유입을 위한 파이프 역할을 톡톡히 하면서, 이 수치는 훨씬 더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자금 유입량은 온체인에 모두 기록되기 때문에 이 데이터의 신뢰도는 약 90% 이상이다. 아울러 BTC 현물 ETF가 자금 유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 수준으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탈중앙화 AI 네트워크 그래스 "솔라나 기반 레이어2 롤업 구축 중"
탈중앙화 인공지능(AI) 네트워크 그래스(Grass)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솔라나(SOL) 기반 레이어2 데이터 롤업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래스를 통해 축적한 데이터를 솔라나 결제 레이어(Settlement Layer)에 저장해 처리한다는 설명이다. 그래스는 "레이어2 데이터 롤업은 향후 노드 제공자의 투명성 제고와 보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빗썸 농협계좌, 한도 풀기 쉬워진다
비즈워치에 따르면 빗썸과 연결된 실명계좌를 제공하는 농협은행이 지난달 가상자산 거래 실적이 확인될 경우 한도계좌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취지의 공문을 각 영업점에 하달했다. 지침에는 가상자산 거래 목적 계좌 개설 요청 시 거절하지 말라고 검토하라는 지침도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인 시장 활황으로 투자자가 대거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가상자산거래소와 연결된 은행들이 가상자산 투자용 신규계좌에 대한 문턱을 낮추고 있다"고 말했다.
유가랩스, 법원에 '짝퉁' BAYC 월렛 프라이빗키 파기한 관련자 처벌 요청
더블록에 따르면 BAYC 개발사 유가랩스(Yuga Labs)가 미국 법원에 NFT 크리에이터 라이더 립스(Ryder Rips)와 그 파트너 제레미 카헨(Jeremy Cahen)이 월렛 프라이빗 키를 고의 파기했다며 처벌을 요청했다. 라이더 립스와 제레미 카헨은 가짜 BAYC로 알려진 RR/BAYC의 제작자다. 앞서 미국 캘리포니아 지방법원은 이들이 상표권을 침해했다는 유가랩스 측 주장을 인정해 두 사람이 만든 RR/BAYC NFT를 소각하거나 유가랩스에 넘기도록 했다. 이번 프라이빗 키 파기는 RR/BAYC가 들어있던 지갑에서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유가랩스 측은 "프라이빗 키를 파기했더라도 두 사람은 가짜 NFT와 연관돼있으며, 앞선 법원 처분 취지를 무시하며 유가랩스에 해를 끼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 특허청·저작권청 "NFT 마켓, 상표권 침해 만연"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특허청, 저작권청이 최신 보고서에서 "NFT 마켓에 상표권 침해, 오용 문제가 만연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NFT 플랫폼의 익명성, 분산성은 상표권 보호를 저해하며 IP의 무단복제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이를 제재하기 위해 현행 지적재산권법 규정을 개정할 필요는 없다는 판단이다.
트론 TVL $258억 돌파...사상 최대
포사이트뉴스에 따르면 레이어1 블록체인 트론(TRX)의 총 락업 예치금(TVL) 규모가 258억 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현재 TVL은 25,898,740,406 달러를 기록 중이다. 트론 네트워크 이용자 수는 2.17억 명이며, 누적 트랜잭션은 72.77억 건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TRX는 1.00% 내린 0.131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제타마켓, Z 토큰 에어드랍 계획
솔라나(SOL) 기반 디파이 플랫폼 제타마켓(Zeta Markets)이 X(구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로드맵에서 Z 토큰 에어드랍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기존 Z 스코어 보유자는 추후 Z 토큰 에어드랍을 받을 수 있다. 현재 2차 Z 스코어 에어드랍을 진행 중이다.
분석 “1BTC 미만 주소 매도세 지속...개미→고래 손바뀜”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HODL15캐피털(@HODL15Capital)이 X를 통해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1 BTC 미만 보유 주소들의 매도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13일 분석했다. 이와 관련 그는 "이들은 비트코인의 글로벌 탈중앙화를 촉진하고자 하는 집단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물량을 계속 매도하고 있다. 다만 현재 유통 중인 비트코인 1,960만 개 중 0~1 BTC 보유 주소들의 물량은 약 140만 개로 주요 코호트(0~1 BTC, 1~10 BTC, 10~100 BTC, 100 BTC 이상) 중 보유량이 가장 적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이날 "100 BTC 미만 보유 주소들의 물량이 100 BTC 이상 보유 주소들에 흡수되며 손바뀜이 발생하고 있다. 12일(현지시간) 기준 5,777 BTC가 100 BTC 미만 보유 주소에서 빠져나갔고, 100 BTC 이상 보유 주소들은 6,665 BTC를 추가했다"고 부연했다.
일론 머스크 '페페' 밈 업로드에 PEPE 7% 급등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신의 X 계정에 '페페' 밈 이미지를 업로드하자 밈코인 프로젝트 페페(PEPE)가 7% 급등했다. 일론 머스크는 한국시간 기준 13일 12시 20분 해당 포스팅을 게재했고 직후부터 PEPE는 약 7%대 상승 중이다.
블라스트 기반 프로젝트 먼처블, 프리 시드 라운드 마감
블러(BLUR) 주도 레이어2 네트워크 블라스트(Blast) 생태계 프로젝트 먼처블(Munchables)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프리 시드 라운드 자금 조달을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먼처블의 프리 시드 라운드는 매니폴드트레이딩, 메커니즘캐피털의 주도 하에 셀리니캐피털, 히든스트릿캐피털, 듀플리케이트 등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체적인 투자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웹3 소셜 플랫폼 UXLINK, $900만 투자 유치
웹3 소셜 및 인프라 플랫폼 UXLINK가 9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OKX 벤처스, 매트릭스포트 벤처스, UOB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웹1-웹2 인프라 통합 및 OP 스택 레이어2와 아이겐 데이터 가용성(DA) 기술을 활용하는 소셜 유동성 체인 개발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UXLINK는 현재 350만명 수준의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애널리스트 “앰버그룹·윈터뮤트, 에이보 마켓메이커 맡은듯…AEVO 거래소 입금”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X를 통해 “바이낸스가 에이보(AEVO) 런치풀을 진행 중인 가운데 앰버그룹, 윈터뮤트가 AEVO의 마켓 메이커를 맡은 것으로 추정된다. 에이보 프로젝트의 멀티 시그 주소가 18시간 전 앰버그룹 추정 주소로 900만 AEVO를 전송했다. 이후 해당 주소는 이 물량 중 70만개를 OKX로 입금했다. 또한 윈터뮤트는 490만 AEVO를 수령했으며 7시간 전 OKX 등 중앙화 거래소로 일부 물량을 입금했다"고 전했다.
분석 "BTC 현물 ETF 매수세 지속시 600일 내 거래소 보유 BTC 고갈 전망"
암호화폐 인플루언서 BTCosmonaut가 X(이전의 트위터)를 통해 "현재 BTC 현물 ETF가 하루 3000 BTC씩 매수하고 있는데 이같은 매수세가 지속된다면 약 600일 이내에 거래소가 보유하고 있는 BTC가 바닥날 수 있다"고 전했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