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비트코인 현물 ETF 1억1300만 달러 순유입 外

| 하이레 기자

스페이스아이디, 모듈형 레이어2 사이버와 파트너십

스페이스아이디(ID)가 공식 X를 통해 모듈형 레이어2 네트워크 사이버(Cyber)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사이버는 스페이스 ID 3.0 스택으로 마이그레이션 할 계획이다. 또 사이버 네트워크 스테이커 및 스페이스ID 클럽 이용자를 대상으로 생태계 에어드랍도 진행한다.

폭스비즈니스 기자 "내가 암호화폐 불법 자문?...근거 없는 소문"

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암호화폐와 관련해 불법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는 논란에 휩싸인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이 X를 통해 "근거 없는 헛소리(trash)"라고 반박했다. 앞서 익명의 X 이용자(@cryptoguy)를 중심으로 테렛이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을 구매하도록 유도했다는 주장이 확산됐다. 테렛은 "평생 주변 사람들에게 재정적 조언을 한 적이 없으며, 현재 나는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지도 않다"고 강조했다.

4/3 BTC 현물 ETF $1.13억 순유입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분석 플랫폼 소소밸류(SoSoValue)에 따르면 3일(현지시간) 비트코인 현물 ETF에 1.13억 달러가 순유입됐다. 피델리티 FBTC 유입액이 1.16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블랙록 IBIT 유입액은 4,203만 달러다. 반면 그레이스케일 GBTC에서는 7,514만 달러가 유출됐다.

1.2억 가로챈 코인투자 사기범…항소심서 집행유예

가상자산(코인)에 투자하면 높은 수익률을 보장해 주겠다며 1억원 이상을 뜯어낸 혐의로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은 40대가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감형받았다. 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동부지법 형사항소 1-1부(장찬 부장판사)는 사기 혐의로 1년 2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은 A씨(41)의 1심을 파기하고 1년 2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 A씨는 지난 2022년 4월 서울 광진구 카페에서 "코인의 가치를 두 배로 올릴 것"이라고 속여 피해자 2명으로부터 1억2000만원을 받아낸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0.08% / 숏 49.92%
바이낸스: 롱 49.09% / 숏 50.91%
OKX: 롱 48.37% / 숏 51.63%
dYdX: 롱 52.36% / 숏 47.64%

외신 "2022년 웜홀 브릿지 해커, $3.5만 상당 W 에어드랍 수령 추정"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웜홀 브릿지에서 3억 2500만 달러의 자금을 탈취한 해커가 3.5만 달러 상당 W 토큰을 수령할 수 있는 에어드랍 대상자에 포함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익명의 X 이용자(@pland_)는 게시글을 통해 "웜홀 팀이 에어드랍 대상 자격에 2022년 크로스체인 브릿지 해킹과 관련된 복수의 월렛 주소를 제외하는 것을 깜빡한 것 같다. 솔라나 기반 에어드랍 체커 Airdrop.link 데이터에 따르면 해커가 소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4개 주소가 일시적으로 에어드랍 클레임을 할 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해커가 에어드랍을 받는다면, 약 3.1만 W(약 3.56만 달러)을 받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익명 트론 주소, 저스트렌드에 $3.7억 상당 USDT 예치

웨일 얼럿(Whale Alert)에 따르면, 한국 시간 기준 4일 14시 32분 경 익명의 트론(TRX) 지갑 주소 TA6bim7LX4j2aUB8V5TTnAPM56e4AzaPAL에서 트론 기반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저스트렌드DAO 주소로 3.7억 USDT가 이체됐다. 해당 익명 주소는 저스트렌드에 해당 물량을 예치, 같은 양의 jUSDT를 민팅한 것으로 나타났다.

톤 생태계 프로젝트 톤엑스, $500만 규모 생태계 펀드 출범

포어사이트뉴스에 따르면, 홍콩에서 진행 중인 디오픈네트워크(TON, 톤)의 'TON 해커 하우스'(TON Hacker House) 행사에서 톤엑스(TonX)의 익명 공동 설립자 '닥터 어썸 도지'(Dr. Awesome Doge)가 500만 달러 규모의 생태계 펀드를 출범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펀드는 TON 생태계 발전을 가속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코인 싸게 팔겠다”… 강남서 백주대낮에 5억대 절도 행각

MBN에 따르면 가상화폐를 싸게 팔겠다며 유인한 뒤 5억 5천만 원을 갈취한 일당이 경찰에 검거됐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30대 남성 3명을 특수절도 혐의로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1일 오후 12시 30분쯤 평소 친분이 있던 A 씨에게 코인을 싸게 팔겠다며 서울 강남구 쪽으로 유인한 뒤, 차량에 현금 5억 5000만원을 실어 놓으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펜들, USDe 풀 한도 $3억→$4억 상향

디파이 수익률 프로토콜 펜들(PENDLE)이 X를 통해 USDe 풀 총 예치 한도를 기존 3억 달러에서 4억 달러로 상향했다고 밝혔다.

어센덱스, 오덜리네트워크와 파트너십

암호화폐 거래소 어센덱스(AscendEX)가 X를 통해 옴니체인 오더북 프로젝트 오덜리네트워크(Orderly Network)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덜리네트워크는 어센덱스에 현물 및 무기한 선물거래 유동성을 제공한다.

데이터 "솔라나 기반 스테이블코인 공급량 $30억 돌파...증가세 지속"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슬레이트가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아르테미스(Artemis)의 데이터를 인용 "솔라나(SOL) 네트워크 상의 스테이블코인 공급량이 30억 달러를 돌파했다. 현재 솔라나 네트워크 내 스테이블코인 공급량은 약 31.21억 달러 규모로, 3개월 전 대비 55.01% 증가했다"고 4일 전했다. 솔라나 기반 스테이블코인 중 USDC의 점유율은 약 75%를 기록, 압도적인 1위를 나타냈다. 2위는 USDT로 약 7.78억 달러의 공급량을 기록했다. 이와 관련 크립토슬레이트는 "스테이블코인 공급량 증가는 유동성 확대를 의미하며, 자본 유입량이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최근 솔라나 생태계 내 디파이(DeFi) 활성화에 따라 상당한 자본 유입이 동반됐음을 의미하는 수치"라고 진단했다.

USDe, 스테이블코인 시총 5위

코인게코에 따르면, 에테나(ENA)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e가 스테이블코인 시총 순위 5위에 올랐다. 현재 USDe의 시가총액은 19.77억 달러를 기록 중이며, 6위 USDD와의 시총 격차는 약 12.5억 달러다. 코인마켓캡 기준 ENA는 현재 9.08% 오른 0.926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하바, 클레이튼과 전략적 파트너십

인터체인 플랫폼 하바(HVH)가 공식 채널을 통해 클레이튼(KLAY) 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하바는 IOK(Ignite On Klaytn) 프로그램 파트너로 합류해, 향후 클레이튼 및 통합 체인에서 NFT 공식 브릿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전략적 토큰 스왑을 통해 클레이튼은 하바의 밸리데이터(HIIP)로 참여하고, 하바는 향후 통합체인의 거버넌스 카운슬(GC)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업비트, 4/11 FIL 입출금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업비트가 파일코인(FIL)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4월 11일 18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멀티체인 캐피털 추정 주소, 아베서 $2000만 ETH 대출받아 코인베이스 입금

온체인 애널리스트 엠버CN이 X를 통해 "멀티체인 캐피털 추정 주소가 9시간 전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아베(AAVE)에서 6,200 ETH(2,052만 달러)를 대출받아 코인베이스로 전송했다. 해당 주소는 지난해 12월에도 아베에서 BTC를 담보로 ETH를 빌린 뒤 코인베이스에 입금한 바 있다.

GSR마켓, 싱가포르 주요 결제기관 정식 라이선스 획득

블룸버그 통신이 암호화폐 마켓메이커로는 드물게 GSR마켓이 싱가포르 통화청(MAS)으로부터 주요결제기관 정식 라이선스를 발급받았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GSR마켓은 현지에서 마켓메이킹 서비스를 영위할 수 있다. 앞서 GSR 마켓은 임시 라이선스를 발급받은 바 있다.

홍콩 시노호프 테크, 멀린체인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외신에 따르면 후오비그룹 관계사이자 홍콩 증시 상장사 시노호프 테크놀러지(Sinohope Technology)가 비트코인 레이어2 멀린체인(Merlin Chain)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마케팅, 고객 서비스, 유동성 지원 및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협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올 1Q 웹3 보안 사고 피해 $5억...전년 동기比 54%↑

블록체인 보안 업체 서틱(CertiK)이 2024년 1분기 웹3 보안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 기간 총 223건의 온체인 보안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한 피해 금액은 5.02억 달러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피해 규모 기준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54% 증가한 수치다. 직전 분기와 비교해서는 3.8% 줄었다. 해당 기간 회수에 성공한 자금은 약 7,797만 달러 수준이었다. 아울러 서틱은 조사 기간 동안 프라이빗 키 유출 사고가 주요 피해 유형이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보고서에는 ▲프라이빗 키 유출 ▲솔리디티 반올림 오류 취약점 ▲BTC 현물 ETF 출시 후 자금 유입 흐름 ▲주요 전통금융 기관의 온체인 금융 진출 ▲레이어2에 미친 이더리움 덴쿤 업그레이드 영향 등을 분석한 내용도 담겼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