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치 토레스(Ritchie Torres) 미국 하원의원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포함한 고위공직자의 디지털 자산 사업 참여를 원천 봉쇄하는 법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7일(현지시간) 더블록에 따르면, 뉴욕 출신 민주당 소속 토레스 의원은 ‘디지털 자산을 통한 대통령 사익 추구 금지법(Stop Presidential Profiteering from Digital Assets Act)’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 법안은 대통령, 부통령, 연방의원, 대통령 지명 고위공직자 및 그 가족을 ‘해당 인물(covered individual)’로 정의하고, 이들의 이름·이미지·초상 등을 활용한 암호화폐 생성·발행·홍보를 불법으로 규정한다.
이번 입법 시도는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과 가족이 암호화폐 시장에 직접 뛰어들며 논란이 커진 가운데 나온 것이다. 트럼프는 2024년 말부터 밈코인 사업을 전개해왔고, 대통령 취임 직전 디지털 자산 기업 ‘월드리버티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을 통해 자체 스테이블코인 USD1도 출시하였다. 최근에는 TRUMP 토큰 보유자 중 상위 220명을 대상으로 한 갈라 디너도 예고되며 정치적 후원과 암호화폐 사업이 얽힌 구조가 문제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전날에는 민주당 상원의원 리처드 블루먼솔(Richard Blumenthal)도 관련 업체인 월드리버티파이낸셜과 Fight Fight Fight LLC에 공식 서한을 보내 이해충돌 및 법률 위반 여부에 대한 조사를 착수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흥미롭게도 토레스 의원은 일반적으로는 암호화폐 산업에 우호적인 입장을 견지해왔다. 지난 3월에는 공화당 원내총무 톰 에머(Tom Emmer)와 함께 ‘의회 암호화폐 코커스(Congressional Crypto Caucus)’를 공동 창립해 관련 법안 입법을 추진 중이다. 그는 지난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암호화폐 규제 방식에 대해 비판하기도 하였다. 다만 그는 ‘공직자의 사익 추구는 산업 전체 신뢰를 훼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법안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