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내달 중순 캐나다에서 열리는 정상회의에서 북한의 사이버 공격과 암호화폐 해킹 문제를 논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7일 블룸버그는 회의 준비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우크라이나 전쟁과 가자지구 분쟁이 주요 의제가 될 예정이지만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와 같은 사이버 위협이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이 필요한 중대한 문제로 부상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몇 년 사이 북한의 사이버 작전은 점점 더 악의적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탈취한 가상자산이 정권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등 주요 자금원으로 활용되고 있어 국제사회의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북한 연계 해킹 조직 라자루스(Lazarus)가 주도한 공격도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 2월에는 거래소 바이빗(Bybit)에서 약 14억 달러(약 2조 440억 원) 규모의 암호화폐를 훔친 것으로 파악됐으며, 이는 암호화폐 산업 역사상 최대 규모의 해킹 사건이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에 따르면, 북한 관련 해킹 조직들이 2024년 들어 47건의 암호화폐 공격을 통해 총 13억 달러(약 1조 8,980억 원) 이상을 탈취했다. 이 같은 대규모 해킹 피해는 미국, 일본, 한국 정부가 올해 1월 공동으로 경고문을 발표하게 만든 배경이 됐다. 당시 세 나라는 북한이 자국민 기술자를 암호화폐 기업에 잠입시켜 내부자 위협을 조장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번 G7 회의에서 관련 안건이 정식 논의될 경우,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 대응을 위한 다자 협력과 추가 제재 논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암호화폐를 둘러싼 국가 간 사이버 안보 협력이 한층 강화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