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정부가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수위를 높이면서 검열 저항성을 갖춘 ‘다크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11일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주기영 최고경영자(CEO)는 X(구 트위터) 게시글을 통해, 기존 스테이블코인이 그간 정부 제약 없이 자산을 저장하는 수단으로 널리 활용돼 왔지만, 조만간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국가가 발행한 모든 스테이블코인은 향후 은행 수준의 엄격한 규제를 받을 수 있으며,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자동으로 세금을 징수하거나, 지갑 동결과 같은 조치가 정부 규정에 따라 가능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제 큰 금액 이체를 위해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던 사용자들이 점차 정부 검열로부터 자유로운 ‘다크 스테이블코인’으로 눈을 돌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전망은 올해 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친(親)암호화폐 정책을 전면에 내세운 행정부를 출범시킨 이후 각국의 규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관련 입법 추진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는 스테이블코인의 법적 결제 수단 지위 확보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이미 ‘암호자산시장규제안(MiCA)’을 도입한 상태다. 해당 규제는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업체의 투명성과 책임을 강화하고, 합법적인 유통을 전제로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요구한다. 유럽에서는 이를 따라 테더(USDT)보다 규정을 충족한 신규 스테이블코인을 찾는 이용자도 늘고 있다.
정치적으로 암호화폐에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규제 강화 움직임은 기존 스테이블코인의 기능에 제약을 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검열 저항적 특성을 내세운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자산이 부각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