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공약 중심에 선 비트코인…여야, '현물 ETF' 도입 경쟁

| 연합뉴스

이번 대선판, 암호화폐가 뜨겁다.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모두 비트코인 등 주요 암호화폐를 기초로 한 '현물 ETF' 도입을 가장 앞세운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한때 금융당국이 경계심을 보였던 가상자산 제도화가 정책 진영의 핵심 공약으로 올라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만큼 관련 규제의 속도 조절이 풀릴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이재명 후보는 “청년이 자산을 키울 기회를 넓히겠다”며 암호화폐 현물 ETF 도입에 힘을 싣고, 거래 수수료도 낮추겠다고 약속했다. 김문수 후보 역시 중산층 자산 증식을 위한 방안으로 현물 ETF 도입과 함께 정부 기관 투자를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증권 계좌만 있으면 암호화폐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ETF 도입은 개인 투자자들의 문턱을 확 낮출 수 있다. 지갑이나 거래소 가입이 필요 없어지고, 기관과 퇴직연금의 대규모 수요 유입도 기대된다.

금융당국은 그간 암호화폐 변동성이 금융시장 안정성을 해친다며 부정적 입장이었지만, 올해 3월 시장 활성화를 위한 현물 ETF 도입 검토를 공식 선언하며 분위기가 확연히 바뀌었다.

여야 모두 정책 발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민주당은 디지털자산위원회를 새로 만들고, 스테이블코인 및 토큰 증권을 아우르는 암호화폐 제도화 장치를 본격 논의 중이다. 국민의힘도 '가상자산 7대 공약'을 통해 ETF 허용 외에도 1거래소 1은행 원칙 폐기, 법제화 등의 구체적 방향을 제시했다.

한편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 자산으로 비축하자며 색다른 시각을 밝혔다. 다만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놓고는 후보들 간 입장 차도 뚜렷하다.

이번 선거에서 암호화폐가 경제 공약의 중심축으로 떠오른 만큼, 정책 변화도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 투자자 입장에선 제도권 진입에 한 발 더 가까워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