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유동성이 발행자와 중앙화 거래소(CEX) 부문에 집중되며, 신규 공급 확대와 보수적 자금 대기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23일 기준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아르테미스에 따르면 최근 7일간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부문에 21억 달러, 중앙화 거래소(CEX)에 14억 달러, 디파이(DeFi) 부문에 7억5270만 달러의 스테이블코인이 유입되며 주요 유입처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블록체인 부문(2740만 달러) ▲브리지(2190만 달러) ▲마켓메이커(1600만 달러) ▲자산운용(1330만 달러) ▲수익형 토큰(580만 달러) 부문에서도 공급이 소폭 증가했다.
반면 ▲게이밍(–780만 달러) ▲인프라(–2830만 달러) 부문은 소폭 감소세를 보였다.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에 직접 유입되는 실질적 유동성으로 간주되며, 그 흐름은 투자 심리와 가격 방향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된다. 특히 공급 증가가 두드러진 체인과 자산군을 중심으로, 실제 수요와 대기 자금 간의 균형을 가늠할 수 있다.
이번 주의 흐름에서 발행사 중심의 신규 발행(21억 달러)과 CEX로의 유입(14억 달러)이 함께 확인되며, 이는 유입 자금이 단기적으로 거래소에 대기 중인 상태로 해석될 수 있다. 실사용보다 보관 목적의 흐름이 강해지는 구간이며, 향후 매수 전환 신호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체인별 주간 스테이블코인 공급량 변화 그래프 / 아르테미스
체인별로 보면, 트론에서 40억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코인이 신규 발행되며 주간 기준 가장 큰 공급 증가를 기록했다.
이어 ▲이더리움은 16억 달러 ▲BNB 체인 5억5900만 달러 ▲수이 3억7140만 달러 ▲아비트럼 2억1400만 달러 ▲폴리곤 1억7830만 달러 ▲소닉 2710만 달러 ▲OP 메인넷 1210만 달러 순으로 공급이 증가했다.
반면 ▲TON은 9330만 달러, ▲솔라나는 4억2150만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코인 공급이 감소하며,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자산별로 보면, 가장 많은 공급 증가를 기록한 스테이블코인은 ▲테더(USDT)로, 약 51억 달러 규모가 신규 발행됐다. ▲USDC(7억6910만 달러) ▲USDe(2억1840만 달러)도 공급 증가가 확인됐다.
이번 주 스테이블코인 공급 데이터는 실질적 신규 발행이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발행과 CEX 유입의 동반 확대는 기관 또는 대규모 자금의 보수적 진입 흐름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중단기적으로는 시장 매수 대기 심리가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