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북한 암호화폐 해킹에 '전례 없는 위협' 경고…글로벌 공조 강화 나서

| 연합뉴스

북한의 암호화폐 해킹 행위가 G7 재무장관 회의에서 도마에 올랐다. 주요 7개국(G7)은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가 "전례 없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이에 대한 긴급 대응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번 회의는 지난 20일부터 캐나다 밴프에서 열렸으며, 주요 의제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문제, 중국의 비시장적 정책 대응, 그리고 북한의 사이버 범죄 활동이 포함됐다. G7은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이 가상자산을 탈취하거나 관련 사기를 저지르는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암호화폐 보안에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G7은 "범죄자들이 가상자산을 자금세탁 수단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대응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암호화폐 이용자의 보호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가상자산에 따른 새롭고 다양한 위험들을 연구하고, 각국은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G7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규탄하며 추가 제재 가능성을 예고했다. 하지만 회의에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한 관세 정책에 대한 공개 비판은 피했다. 미국의 주요 언론에서는 G7이 트럼프 대통령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과 관련해서는 무역 불균형을 유발하는 '비시장적 정책'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는 데 뜻을 모았다. 비록 중국이라는 단어는 성명에 직접 언급되지 않았지만, 그 정책을 겨냥한 의도가 분명하다는 평가다.

암호화폐 산업이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국제 공조를 통한 범죄 대응과 이용자 보호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번 G7 회의는 국가 차원을 넘어선 협력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자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