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소 대선후보들, 가상자산 공약 차별화… ‘1560만 코인 투자자 구제’부터 제도화까지

| 연합뉴스

“가상자산 산업을 키우겠다.” 21대 대선에서 송진호 후보가 내세운 이 공약이 온라인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사단법인 글로벌데이터자산공제회 이사장 출신 송 후보는 이번 대선에서 가상자산 산업을 전면에 내세우며 ‘투자자 1천560만 명 구제’를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그동안 가상자산 피해자 보호 정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진 가운데, 송 후보는 이를 해결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최근 열린 후보자 토론회에서도 송 후보는 가상자산 관련 발언으로 존재감을 드러냈다. ‘핫이슈’인 암호화폐 규제 완화와 산업 육성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대해 그는 “가상자산을 투기가 아닌 미래 산업으로 보고 체계적인 제도화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송 후보는 17건의 전과 기록이 있다는 점이 온라인에서 회자되기도 했지만, 정작 정책 면에서는 가상자산 생태계 정비와 투자자 보호 대책 추진 등으로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한편,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유일한 진보 정당 후보로서 노동, 여성, 평등 등 진보 의제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 권 후보는 TV토론에서 보수 후보들을 강하게 비판하며 지지율 0%대에서 1%대로 상승하는 반등을 이뤘다. 그는 “기존 진보 정당 후보 득표율 최고치인 6.17%를 넘겠다”며 당세 확장을 목표로 대선 완주를 선언했다.

무소속 황교안 후보는 공정선거 시스템 개편을 주장하면서 선거관리위원회 해체, 사전투표제 폐지 등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최근 자유통일당 구주와 후보는 사퇴 후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지지를 선언하면서 보수 진영 결집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번 대선에서는 주류 후보들 외에도 다양한 이슈에 집중한 군소 후보들의 목소리가 정책 다양성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