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가총액이 3조4200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오늘의 프로젝트'에 아이오넷(io.net), '오늘의 펀드'에 a16z이 선정됐다.
1일 기준 체인브로커에 따르면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조4200억 달러를 기록했다. 24시간 거래량은 897억 달러 수준이다. 비트코인은 10만6921달러, 이더리움은 246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탈중앙화금융(DeFi) 분야의 총 예치 자산(TVL)은 1130억 달러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271억8000만 달러가 예치돼 전체의 약 24%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트론(54억5800만 달러) ▲BNB 체인(46억7800만 달러) ▲아비트럼(24억2800만 달러) ▲옵티미즘(8억8900만 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거래소별 거래량에서는 바이낸스가 하루 125억8000만 달러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뒤이어 ▲비트겟(31억4000만 달러) ▲MEXC 글로벌(29억4000만 달러) ▲바이비트(Bybit, 25억1000만 달러) ▲게이트아이오(Gate.io, 24억2000만 달러) ▲HTX(23억4000만 달러) ▲OKX(21억3000만 달러) ▲코인베이스(Coinbase, 19억3000만 달러)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오늘의 프로젝트 '아이오넷(io.net)'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암호화폐 프로젝트 수는 총 3504개이며 이 가운데 상승 중인 프로젝트는 379개, 하락 중인 프로젝트는 967개로 나타났다.
최근 사용자 관심도(조회 수) 상위 프로젝트는 ▲사하라 AI(Sahara AI) ▲세이 네트워크(Sei Network) ▲스타크넷(StarkNet) ▲아비트럼(Arbitrum) 순으로 집계됐다.
24시간 기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프로젝트는 ▲디챗(Dechat, +156.0%) ▲해시플로우(Hashflow, +72.0%) ▲아미 오브 포춘 메타(Army Of Fortune Meta, +67.5%) ▲테조스 도메인(Tezos Domains, +54.1%) ▲베리다(Verida, +39.1%) ▲아르카나 네트워크(Arcana Network, +38.5%) ▲워크X(Work X, +33.3%) ▲카멜롯(Camelot, +31.8%) ▲코인직스(Coinzix, +28.3%) 등이었다.
이날 '오늘의 프로젝트'로 선정된 종목은 아이오넷(io.net)으로, 투자 수익률(ROI)은 5.24배를 기록했다.
체인브로커에서 산정한 종합 평가 점수는 5.24점으로 전체 352위에 해당한다. 아이오넷은 솔라나 기반의 GPU 인터넷을 활용해 AI 연산 자원을 통화처럼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로, '프로젝트 기본 요소(5.79점)', '시장·재무 건전성(5.48점)' 등에서 고른 평가를 받았다.
오늘의 카테고리 '마켓플레이스(Marketplace)'
전체 32개 암호화폐 카테고리 중 상승 부문은 5개 하락 부문은 27개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마켓플레이스(Marketplace) 부문이 ROI 0.92배를 기록하며 ‘오늘의 카테고리’로 선정됐다.
수익률 기준 상위 카테고리는 ▲블록체인 서비스(3.38배) ▲소셜(2.87배) ▲데이터 서비스(2.64배) 순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기준 상위 카테고리는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4970억 달러) ▲중앙화 거래소(1700억 달러) ▲탈중앙화 거래소(248억 달러) 순이다.
오늘의 펀드 'a16z'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417개 크립토 펀드 중 94개가 24시간 수익률 상승세를 보였으며 320개는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날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는 ▲체인리지 캐피털(Chain Ridge Capital, +14.6%) ▲크립토스(Kryptos, +7.82%) ▲삼성넥스트(Samsung Next, +4.64%) ▲블록체인 파운더스 펀드(Blockchain Founders Fund, +4.49%) ▲크로노스 리서치(Kronos Research, +4.3%) ▲패브릭 벤처스(Fabric Ventures, +4.03%) ▲아메스텐 캐피털(Amesten Capital, +3.86%) 순이다.
가장 높은 관심도가 나타난 펀드는 ▲a16z(5.2배) ▲바이낸스 랩스(Binance Labs, 2.91배) ▲코인베이스 벤처스(Coinbase Ventures, 2.34배) ▲판테라 캐피털(Pantera Capital, 1.56배)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오늘의 펀드(Fund of the Day)'로는 실리콘밸리 대표 VC인 a16z가 선정됐다. 현재 ROI(투자 수익률)는 5.24배로 집계됐다. a16z는 탈중앙화 인프라, 게임, DePIN 등 폭넓은 분야에 걸쳐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활발히 투자해온 벤처 캐피탈이다.
펀드 포트폴리오 내 ROI 기준 상위 프로젝트는 ▲솔라나(614.0배) ▲유니스왑(90.2배) ▲폴리곤(71.2배) ▲아발란체(35.5배) ▲액시 인피니티(28.0배) ▲수이(11.1배) ▲아웨이브(9.04배) ▲니어(6.69배) ▲앱토스(4.39배) 등이다.
최근 24시간 기준 상승률 상위 종목은 ▲디센트럴라이즈드 소셜(+5.54%) ▲랠리(+2.99%) ▲리플렉서 언거버넌스(+1.97%) ▲폴리곤(+0.95%) ▲솔라나(+0.85%) 순이다.
가장 최근 투자 사례는 ▲아이겐레이어(7000만 달러) ▲프리즈마X(1100만 달러) ▲Yupp(3300만 달러) ▲월드코인(1억3500만 달러) ▲카테나랩스(1800만 달러) 등이다.
오늘의 플랫폼 '코인 터미널(Coin Terminal)'
유망한 신규 프로젝트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론치패드(Launchpad)' 플랫폼은 총 115개로 집계됐다. 이 중 24시간 기준으로 수익률이 상승한 플랫폼은 31개, 하락한 플랫폼은 73개로 나타났다.
전체 론치패드의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22.0배, 평균 ROI는 0.5배로, 여전히 변동성이 큰 시장 흐름을 보이고 있다. 평균 스테이킹 금액은 16.34달러로, 비교적 진입 부담은 낮은 수준이다.
현재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핫 크립토 론치패드는 ▲바이비트(0.991배) ▲폴카스타터(0.47배) ▲바이낸스 런치패드(6.4배)이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바이낸스 월렛(952억 달러) ▲바이낸스 런치패드(952억 달러) ▲OKX 점프스타트(29.9억 달러)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달 ROI 기준 상위 론치패드는 ▲코인리스트(11.4배) ▲바이낸스 런치패드(6.36배) ▲바이낸스 월렛(5.77배) ▲OKX 월렛(4.82배) ▲OKX 점프스타트(3.34배) ▲페이드 이그니션(1.94배) ▲옥스불(1.55배) ▲엔진스타터(1.42배) ▲쿠코인 스포트라이트(1.28배) 순으로 확인됐다.
한편, '오늘의 플랫폼(Platform of the Day)'으로는 코인 터미널이 선정됐다. 코인 터미널을 통해 지금까지 총 2370만 달러의 자금이 조달됐으며 평균 투자 수익률은 0.333배, 최고 수익률(ATH ROI)은 10.0배로 집계됐다.
최근 스타터 플랫폼에서 신규 상장된 주요 프로젝트는 ▲ZoRobotics(ROI 1.16배) ▲Pitch Lucy AI(0.146배) ▲Favrr(0.0배) ▲Wagmi Hub(0.0배)로 나타났다.
24시간 기준 상위 수익률을 기록한 프로젝트는 ▲Dechat(+144.0%) ▲Engines of Fury(+8.31%) ▲RWA Inc.(+6.18%) ▲Natai(+3.93%) ▲Ready!(+3.59%) ▲Inspect(+2.88%) ▲AgentWood(+2.17%) ▲Forgotten Playland(+2.03%) ▲Easee(+0.966%) 순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