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프로젝트'로 레이어제로, '오늘의 펀드'는 점프 캐피탈, '오늘의 플랫폼'은 후오비 프라임리스트가 선정됐다.
2일 기준 체인브로커에 따르면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조3800억 달러를 기록했다. 24시간 거래량은 856억 달러 수준이다. 비트코인은 10만6223달러, 이더리움은 242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탈중앙화금융(DeFi) 분야의 총 예치 자산(TVL)은 1110억 달러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271억 달러가 예치돼 전체의 약 24.4%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트론(54억5000만 달러) ▲BNB 체인(46억7000만 달러) ▲아비트럼(24억2000만 달러) ▲옵티미즘(8억8900만 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거래소별 거래량에서는 바이낸스가 하루 122억2000만 달러로 1위를 기록했다. 뒤이어 ▲비트겟(31억4000만 달러) ▲MEXC 글로벌(27억3000만 달러) ▲바이비트(Bybit, 26억9000만 달러) ▲게이트아이오(Gate.io, 24억7000만 달러) ▲HTX(23억 달러) ▲OKX(19억9000만 달러) ▲크립토닷컴(Crypto.com, 17억6000만 달러)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오늘의 프로젝트 'LayerZero'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암호화폐 프로젝트 수는 총 3504개이며 이 가운데 상승 중인 프로젝트는 319개, 하락 중인 프로젝트는 1026개로 나타났다.
최근 사용자 관심도(조회 수) 상위 프로젝트는 ▲사하라 AI(Sahara AI) ▲아비트럼(Arbitrum) ▲스타크넷(StarkNet) ▲세이 네트워크(Sei Network) ▲온도파이낸스(Ondo Finance) 순으로 집계됐다.
24시간 기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프로젝트는 ▲언 네트워크(Earn Network, +75.8%) ▲사토시싱크(SatoshiSync, +74.3%) ▲웹3워(Web3war, +41.6%) ▲솔라옵(SolarOp, +41.4%) ▲제로스왑(ZeroSwap, +38.9%) ▲칼리(Kali, +33.8%) ▲아스타 프로토콜(Astar Protocol, +27.5%) ▲타룸(Tarum, +25.2%) ▲스태프 파이낸스(Staffin Finance, +24.1%) ▲포탈(Portal, +22.8%) ▲다오라이(daorai DAO, +22.8%) 등이었다.
이날 '오늘의 프로젝트'로 선정된 종목은 레이어제로(LayerZero)로, 투자 수익률(ROI)은 6.03배를 기록했다.
체인브로커에서 산정한 종합 평가 점수는 5.60점으로 전체 302위에 해당한다. 레이어제로는 저수준 통신 프리미티브를 기반으로 크로스체인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가능케 하는 옴니체인 상호운용성 프로토콜이다. '프로젝트 기본 요소(8.50점)', '성능 지표(6.67점)'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오늘의 카테고리 '폴카닷 생태계(Polkadot Ecosystem)'
전체 32개 암호화폐 카테고리 중 상승 부문은 6개, 하락 부문은 26개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폴카닷 생태계(Polkadot Ecosystem) 부문이 ROI 0.45배를 기록하며 ‘오늘의 카테고리’로 선정됐다.
이달 수익률 기준 상위 카테고리는 ▲블록체인 서비스(3.4배) ▲소셜(2.59배) ▲데이터 서비스(2.51배) 순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기준 상위 카테고리는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4910억 달러) ▲중앙화 거래소(1690억 달러) ▲탈중앙화 거래소(237억 달러)이다.
오늘의 펀드 'Jump Capital'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417개 크립토 펀드 중 51개가 24시간 수익률 상승세를 보였으며 363개는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날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는 ▲캐슬 아일랜드 벤처스(Castle Island Ventures, +10.8%) ▲원블록 캐피털(One Block Capital, +6.55%) ▲레미스캡(Lemniscap, +4.09%) ▲제이스퀘어(JSquare, +4.07%) ▲더리빗(Derbit, +3.03%) ▲파카 캐피털(Paka Capital, +2.73%) ▲리프로컬 벤처스(Reciprocal Ventures, +2.62%) 순이다.
가장 높은 관심도가 나타난 펀드는 ▲a16z(5.06배) ▲바이낸스 랩스(Binance Labs, 2.81배) ▲코인베이스 벤처스(Coinbase Ventures, 2.27배) ▲판테라 캐피털(Pantera Capital, 1.53배)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오늘의 펀드(Fund of the Day)'로는 미국 시카고 기반 벤처 캐피털 점프 캐피탈(Jump Capital)이 선정됐다. 현재 ROI(투자 수익률)는 4.77배로 집계됐다. 점프 캐피탈은 크립토 벤처에 집중하는 투자사로, 2014년 설립 이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파트너·트레이더들과 함께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을 모색해왔다.
펀드 포트폴리오 내 ROI 기준 상위 프로젝트는 ▲솔라나(615.0배) ▲인젝티브(58.7배) ▲수이(11.2배) ▲세이(SEI, 7.19배) ▲네이머 프로토콜(NEAR, 6.72배) ▲앱토스(4.38배) ▲건질라 게임즈(3.48배) ▲앰프(3.32배) ▲샌텀(2.05배) ▲갤럭시(Galxe, 1.73배) 등이다.
최근 24시간 기준 상승률 상위 종목은 ▲해시플로우(+77.8%) ▲매버릭 프로토콜(+15.7%) ▲포트 파이낸스(+10.2%) ▲UKiLD(+7.62%) ▲디파이랜드(+5.42%) ▲샌텀(+5.29%) ▲스웻 이코노미(+3.77%) ▲에덴(+3.44%) ▲순(SOON, +3.05%) ▲퍼퍼 파이낸스(+1.51%) 순이다.
가장 최근 투자 사례는 ▲순(SOON, 500만 달러) ▲쿠킹시티(Cooking.City, 700만 달러) ▲너바나 랩스(Nirvana Labs, 600만 달러) ▲휴머니티 프로토콜(Humanity Protocol, 2000만 달러) ▲노타베네(Notabene, 1450만 달러) 등이다.
오늘의 플랫폼 '후오비 프라임리스트(Huobi Primelist)'
유망한 신규 프로젝트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론치패드(Launchpad)' 플랫폼은 총 115개로 집계됐다. 이 중 24시간 기준으로 수익률이 상승한 플랫폼은 14개, 하락한 플랫폼은 90개로 나타났다.
전체 론치패드의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22.0배, 평균 ROI는 0.5배로, 여전히 변동성이 큰 시장 흐름을 보이고 있다. 평균 스테이킹 금액은 16.33달러로, 비교적 진입 부담은 낮은 수준이다.
현재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핫 크립토 론치패드는 ▲바이비트(0.955배) ▲폴카스타터(0.465배) ▲바이낸스 런치패드(6.26배)이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바이낸스 런치패드(94.8억 달러) ▲바이낸스 월렛(94.8억 달러) ▲OKX 점프스타트(29.4억 달러)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달 ROI 기준 상위 론치패드는 ▲코인리스트(11.1배) ▲바이낸스 런치패드(6.26배) ▲바이낸스 월렛(5.53배) ▲OKX 월렛(4.4배) ▲OKX 점프스타트(3.26배) ▲페이드 이그니션(1.93배) ▲옥스불(1.53배) ▲엔진스타터(1.42배) ▲쿠코인 스포트라이트(1.24배) ▲바이비트(0.955배) 순으로 확인됐다.
한편, '오늘의 플랫폼(Platform of the Day)'으로는 후오비 프라임리스트(Huobi Primelist)가 선정됐다. 후오비 프라임리스트를 통해 지금까지 총 0.41배의 평균 투자 수익률(ROI)이 기록됐다.
최근 스타터 플랫폼에서 신규 상장된 주요 프로젝트는 ▲히스토리DAO(HistoryDAO, 0.000497배) ▲코이 네트워크(Koi Network, 0.00689배) ▲워켄(Walken, 0.019배) ▲플라토 팜(Plato Farm, 0.00684배)로 나타났다.
24시간 기준 상위 수익률을 기록한 프로젝트는 ▲로트렉스(Lottrex, +7.51%) ▲에르타(Ertha, +2.03%) ▲워켄(Walken, +1.9%) ▲스핏파이어(Spitfire, +0.206%) 순이며, 하락세를 보인 프로젝트는 ▲썬더코어(ThunderCore, –0.308%) ▲앰비어 월렛(Ambire Wallet, –0.482%) ▲골드 피버(Gold Fever, –1.05%) ▲가피 네트워크(Gafi Network, –2.12%) ▲리저브 라이츠(Reserve Rights, –2.49%) ▲비코노미(Biconomy, –3.3%) ▲킹덤엑스(KingdomX, –3.31%) 순으로 확인됐다.